•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건축설비 용어 개념 정리
본 내용은
"
건축설비 용어 개념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9
문서 내 토픽
  • 1. EPS (Electric Pipe Shaft)
    전기 전용 통로로 건축물 건설 시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동력용전선, 전등용전선, 전열용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 관련 전선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흐르는 통로를 의미한다. 콘크리트로 구획하여 만들어지며, 화재 발생 시 연도 역할을 하므로 방화 실란트나 방화보드로 밀실하게 막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1500 X 1500 mm 사이즈로 설치하고 건물 전체에 2곳 이상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 2. TPS (Telecommunication Pipe Shaft)
    통신 전용 통로로 통신용 케이블, BAS(자동제어용 케이블), HAS(홈오토메이션 케이블) 등 여러 종류의 통신 관련 전선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흐르는 통로이다. EPS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로 구획하여 만들어지며, 정보화건축물의 경우 전자기적 장애(EMC)를 고려하여 전력 배선과 병행되지 않도록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 3. PS/PD (Pipe Shaft/Pipe Duct)
    설비배관 통로로 기계설비의 급수, 배수, 온수의 이동통로이다. 건축기계설비용 배관이 지나가는 공간으로 수직으로 구성되며, PS와 PD는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전기실과 설비 배관실은 엄격히 구분되어야 하며, 변기 뒤로는 여러 가지 배관들이 지나가기 때문에 충분한 벽 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 4. AD (Air Duct) 및 DA (Dry Area)
    AD는 배기, 환기, 통풍을 위한 공간으로 복도나 화장실 부근에 위치하며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이다. DA는 지하실 환기를 위한 통로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환기가 어려운 곳에 설치되며, 지상층으로 오프닝 된 구간을 확보하여 외기와 접하는 공간이다. 시스템 에어컨이나 항온항습기 사용 시 함께 병행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EPS (Electric Pipe Shaft)
    EPS는 건물의 전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입니다. 전력 배선, 조명 회로, 그리고 각종 전기 설비를 수직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건설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특히 고층 건물에서는 EPS의 적절한 설계와 배치가 건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다만 화재 안전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향후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스마트 전기 시스템으로의 진화가 중요합니다.
  • 2. TPS (Telecommunication Pipe Shaft)
    TPS는 현대 건물의 통신 인프라를 담당하는 중요한 요소로, 통신선, 데이터 케이블, 광섬유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고속 인터넷과 안정적인 통신 환경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TPS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충분한 용량의 TPS 확보는 향후 통신 기술 업그레이드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하며, 건물의 가치를 높입니다. 다만 케이블 간섭 방지와 적절한 환기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3. PS/PD (Pipe Shaft/Pipe Duct)
    PS/PD는 건물의 급수, 배수, 난방, 냉방 등 다양한 배관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효율적인 PS/PD 설계는 건설 기간 단축, 유지보수 접근성 향상, 그리고 공간 활용도 증대를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누수 방지, 방음, 진동 제어 등 기술적 고려사항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건물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친환경 배관 기술 도입도 향후 고려할 가치 있는 방향입니다.
  • 4. AD (Air Duct) 및 DA (Dry Area)
    AD와 DA는 건물의 실내 환경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공기 순환과 환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 에너지 효율성, 그리고 건강한 거주 환경을 조성합니다. DA의 건조한 환경 유지는 곰팡이 방지와 구조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현대 건물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효율 환기 시스템과 공기질 관리 기술의 도입이 중요하며, 코로나 이후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 증대로 AD/DA의 설계 기준이 더욱 강화되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