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비 용어 개념 정리
본 내용은
"
건축설비 용어 개념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9
문서 내 토픽
-
1. EPS (Electric Pipe Shaft)전기 전용 통로로 건축물 건설 시 설계도면에 표시되어 동력용전선, 전등용전선, 전열용전선 등 여러 종류의 전기 관련 전선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흐르는 통로를 의미한다. 콘크리트로 구획하여 만들어지며, 화재 발생 시 연도 역할을 하므로 방화 실란트나 방화보드로 밀실하게 막아야 한다. 일반적으로 1500 X 1500 mm 사이즈로 설치하고 건물 전체에 2곳 이상 분리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
2. TPS (Telecommunication Pipe Shaft)통신 전용 통로로 통신용 케이블, BAS(자동제어용 케이블), HAS(홈오토메이션 케이블) 등 여러 종류의 통신 관련 전선이 수직 또는 수평으로 흐르는 통로이다. EPS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로 구획하여 만들어지며, 정보화건축물의 경우 전자기적 장애(EMC)를 고려하여 전력 배선과 병행되지 않도록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
3. PS/PD (Pipe Shaft/Pipe Duct)설비배관 통로로 기계설비의 급수, 배수, 온수의 이동통로이다. 건축기계설비용 배관이 지나가는 공간으로 수직으로 구성되며, PS와 PD는 흔히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전기실과 설비 배관실은 엄격히 구분되어야 하며, 변기 뒤로는 여러 가지 배관들이 지나가기 때문에 충분한 벽 두께를 확보해야 한다.
-
4. AD (Air Duct) 및 DA (Dry Area)AD는 배기, 환기, 통풍을 위한 공간으로 복도나 화장실 부근에 위치하며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이다. DA는 지하실 환기를 위한 통로로 지하층과 지상층의 환기가 어려운 곳에 설치되며, 지상층으로 오프닝 된 구간을 확보하여 외기와 접하는 공간이다. 시스템 에어컨이나 항온항습기 사용 시 함께 병행된다.
-
1. EPS (Electric Pipe Shaft)EPS는 건물의 전기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필수적인 인프라입니다. 전력 배선, 조명 회로, 그리고 각종 전기 설비를 수직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건설 비용을 절감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특히 고층 건물에서는 EPS의 적절한 설계와 배치가 건물의 안전성과 기능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다만 화재 안전 기준을 엄격히 준수하고 정기적인 점검이 필요하며, 향후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스마트 전기 시스템으로의 진화가 중요합니다.
-
2. TPS (Telecommunication Pipe Shaft)TPS는 현대 건물의 통신 인프라를 담당하는 중요한 요소로, 통신선, 데이터 케이블, 광섬유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고속 인터넷과 안정적인 통신 환경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TPS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충분한 용량의 TPS 확보는 향후 통신 기술 업그레이드에 대한 유연성을 제공하며, 건물의 가치를 높입니다. 다만 케이블 간섭 방지와 적절한 환기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
3. PS/PD (Pipe Shaft/Pipe Duct)PS/PD는 건물의 급수, 배수, 난방, 냉방 등 다양한 배관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핵심 인프라입니다. 효율적인 PS/PD 설계는 건설 기간 단축, 유지보수 접근성 향상, 그리고 공간 활용도 증대를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누수 방지, 방음, 진동 제어 등 기술적 고려사항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관리가 건물의 장기적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친환경 배관 기술 도입도 향후 고려할 가치 있는 방향입니다.
-
4. AD (Air Duct) 및 DA (Dry Area)AD와 DA는 건물의 실내 환경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공기 순환과 환기는 쾌적한 실내 환경, 에너지 효율성, 그리고 건강한 거주 환경을 조성합니다. DA의 건조한 환경 유지는 곰팡이 방지와 구조 안정성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현대 건물에서는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고효율 환기 시스템과 공기질 관리 기술의 도입이 중요하며, 코로나 이후 실내 공기질에 대한 관심 증대로 AD/DA의 설계 기준이 더욱 강화되어야 합니다.
-
리모델링 사례조사(성적-A+) 34페이지
사례 분석목차 INDEX 01 용어 정리 02 사례 분석CONTENTS 01 용어 정리02 리모델링 개념 리모델링 (Remodeling) 건축물의 노후화를 억제하거나 기능 향상 등을 위하여 대수선하거나 일부 증축하는 행위02 리모델링 개념 리모델링 (Remodeling) 15 년 이상 경과된 건축물에 대하여 증 · 개축등의 리모델링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건폐율 , 높이제한등의 건축기준을 완화하여 적용02 리모델링 개념 리모델링의 장점 1. 저비용 토공사 , 골조공사 및 보존부위에 대한 공사비 투입이 거의 없어 신축에 비해 현격히 줄어...2023.07.30· 34페이지 -
본인이 생각하는 외식산업의 범위를 정리한 후에 외식산업이 타 산업(제조, 금융, ICT 등)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제시하시오. 4페이지
REPORT주제: 1주 2강에서 제시한 외식산업의 특성과 범위 및 타산업과의 관련성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외식산업의 범위를 정리한 후에 외식산업이 타 산업(제조, 금융, ICT 등)과 어떠한 관련성을 보이는지를 제시하시오.1. 서론2. 본론⑴ 외식산업의 범위⑵ 타산업과의 관련성⑶ 푸드테크(Food-tech)3. 결론4. 참고문헌과목명 : 외식산업창업및경영1. 서론21세기의 외식산업은 급속한 성장을 거듭하여 거대한 산업으로 발전하여 왔다. 국민소득과 여가시간의 증대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외식산업은 선진국의 경제여건과...2024.09.15· 4페이지 -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건물자동화, 방제공학 등 건축설비가 고도화 됨에 따라 6페이지
건축환경설비주제: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건물자동화, 방제공학 등 건축설비가 고도화 됨에 따라 건축에서 건축설비의 비중도 점점 높아지는 추세입니다.그렇다면 분업화에 따라 건축에서 도시공학, 조경학 등이 분리되어 새로운 학문으로 출발하기도 합니다.또한 전문대학들과 일부 4년제 대학들도 건축설비학과나 소방설비학과 등으로 분화하는 추세도 있습니다. 그것에 대한 여러분의 견해를 과제로 제출해 주시면 됩니다.I.서론II.본론1. 건축설비의 의미2. 건축설비의 중요성3. 건축설비의 분업화에 대한 소견III.결론IV. 참...2022.06.30· 6페이지 -
건축공학 BIM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조사한 과제자료 6페이지
BIM Handbook건축주와 시설관리자를 위한 BIM학 번:소 속:제출자:제출일:이번 BIM 수업을 들으면서 깨달은 것이 BIM이라고하면 레빗이라는 프로그램밖에 떠오르지 않았는데 건축설계의 한단계 더 진화한 개념이라는 것이다. 스마트폰이 세상에 처음 등장했던 것은 혁신이었지만 그것이 상용화 대중화되는 길이 점진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보면 우리도 새로운 개념을 서서히 적응해가야 한다. 손으로 설계도면을 작도하던 시대에서 캐드가 등장했을 때 소수의 인원만 사용하던 것이 지금은 작도에 관계된 사람들이 대부분 사용하고 있고 이제 캐드는 당...2022.08.29· 6페이지 -
베리어프리, 유니버셜 디자인에 대한이해 10페이지
장애인 복지 핵심 이슈배리어프리와 유니버설디자인에 대한 이해1) 배리어프리(1) 배리어프리의 배경 및 개념배리어프리( Barrier-free)두산백과, doopedia.co.kr란 1974년 국제연합 장애인 생활환경전문가 회의에서 ‘장벽 없는 건축설계(Barrier Free Design)’에 관한 보고서의 건축학 분야에서 시작되었고 이후 미국, 일본, 스웨덴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다름없이 편하게 살 수 있게 하자는 뜻에서 거주할 주택이나 공공시설을 지을 때 ‘문턱 없애는’ 운동을 시작으로 여러 나라로 확산이 되...2024.12.20· 10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