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평구조시스템: 케이블, 막, 트러스 구조와 사례
본 내용은
"
수평구조시스템(케이블구조, 막구조, 트러스구조)과 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8
문서 내 토픽
-
1. 케이블 구조케이블 구조는 하중을 인장응력만으로 저항하는 경제적 구조방식이다. 새그(처진 높이)와 추력의 관계를 이용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며, 현수구조와 사장구조로 분류된다. 송도 고가교는 비대칭 사장교로 강주탑과 케이블로 구성되어 있고, 뮌헨 올림픽 경기장은 9개의 인장 형태 케이블 네트로 지붕을 구성했으며, 필라델피아 로렌스 컨벤션 센터는 백스테이를 사용한 현수구조의 사례이다.
-
2. 막 구조막 구조는 천막 같은 막재료에 인장력이 발생하는 구조로, 선적 케이블 구조가 면의 형태로 확장된 것이다. 현수 막구조, 골조 막구조, 공기 막구조로 분류되며, 폴리에스테르, 유리 섬유 등 인장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한다. 서울 식물원은 ETFE 재료의 2중막 공기팽창식, 도쿄 돔은 1중막 공기지지 방식, 제주 월드컵 경기장은 입체트러스 위 인장 막구조를 갖추고 있다.
-
3. 트러스 구조트러스 구조는 부재가 삼각형으로 결합되고 절점이 회전단으로 지지되는 구조로, 축력만 발생하고 모멘트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현재, 하현재, 사재로 구성되며 프랫, 하우, 워렌 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간사이 공항은 이중 상현재 트러스, 싱가폴 공항은 프랫 트러스, 홍릉삼림과학관은 팬 트러스를 사용한 사례이다.
-
4. 수평구조시스템의 건축 적용수평구조시스템은 대규모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하는 현대 건축 기법이다. 케이블, 막, 트러스 구조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공항, 경기장, 식물원 등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되며, 경제성, 미관성, 구조 효율성을 동시에 달성한다. 이들 구조는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사용되어 장대 비정형 구조물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
1. 케이블 구조케이블 구조는 인장력을 주요 저항 메커니즘으로 활용하는 혁신적인 건축 시스템입니다. 이 구조는 높은 강도 대비 경량의 특성으로 인해 대공간 건축물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현수교나 케이블 지붕 구조에서 보듯이, 케이블은 최소한의 재료로 최대의 스팬을 달성할 수 있게 해줍니다. 다만 케이블 구조는 압축력에 약하고 처짐이 발생할 수 있어 보강이 필요하며, 시공 난이도가 높고 유지보수가 복잡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적 가치와 기능성을 동시에 제공하는 우수한 구조 시스템으로 평가됩니다.
-
2. 막 구조막 구조는 얇은 막 재료가 인장력과 곡률을 통해 하중을 지탱하는 독특한 건축 시스템입니다. 텐트 구조나 에어돔 같은 형태로 구현되며, 뛰어난 경량성과 투명성으로 인해 현대 건축에서 주목받고 있습니다. 막 구조는 자연광 활용, 에너지 효율성, 그리고 독특한 미학적 표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내구성, 방음성, 단열성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재료의 수명 관리와 유지보수가 중요합니다. 임시 구조물부터 영구 건축물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잠재력 있는 구조 시스템입니다.
-
3. 트러스 구조트러스 구조는 삼각형 단위로 구성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구조 시스템으로, 건축과 토목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형식 중 하나입니다. 우수한 강성, 경제성, 그리고 예측 가능한 거동으로 인해 신뢰성 높은 구조입니다. 트러스는 긴 스팬을 효율적으로 지탱할 수 있으며, 부재의 응력 상태가 명확하여 설계와 시공이 상대적으로 용이합니다. 다만 부재 수가 많아 시공 복잡도가 높을 수 있고, 절점 설계가 중요합니다. 현대 건축에서도 지붕, 교량, 대공간 구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구조적 안정성과 경제성의 균형을 잘 맞춘 우수한 시스템입니다.
-
4. 수평구조시스템의 건축 적용수평구조시스템은 바닥, 지붕 등 수평 부재를 효율적으로 설계하는 중요한 건축 기술입니다. 보, 슬래브, 데크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며, 건물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현대 건축에서는 철근콘크리트, 철강, 목재 등 다양한 재료를 활용한 수평구조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효율적인 수평구조 설계는 건설비 절감, 시공 기간 단축, 그리고 공간 활용성 향상을 가능하게 합니다. 특히 대공간 건축물에서는 케이블, 막, 트러스 등 고급 수평구조 시스템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평구조시스템의 선택은 건물의 용도, 규모, 경제성, 미적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
케이블 & 막 구조물 45페이지
Cable Membrane STRUCTURESINDEX. 1 Cable Structures 1 – 1 이론적 개념 1 – 2 적용사례 1 - 3 적용사례 분석 2 – 1 이론적 개념 2 – 2 적용사례 2 - 3 적용사례 분석 2 Membrane Structures 3 Design for membrane Structures 3 – 1 구조시스템에 따른 분류 3 – 2 구조해석법 종류 3 - 3 구조해석시 고려사항Cable structure 정의 1 케이블 구조 건축물이란 ? 구조요소 중에서 인장력만을 전달하고 휨이나 압축에는 저항하...2021.03.13· 45페이지 -
대공간 구조의 개념 및 적용사례(A+레포트) 15페이지
대공간 구조의 개념 및 적용사례목 차Ⅰ. 서론 : 대공간 구조의 개요3Ⅱ. 본론42-1. 막구조41) 이론적 개념42) 적용사례62-2. 케이블구조91) 이론적 개념92) 적용사례102-3. 셀구조111) 이론적 개념112) 적용사례13Ⅲ. 결론14Ⅳ. 참고문헌14Ⅰ. 서론 : 대공간 구조의 개요[대공간 구조의 정의 및 배경]대공간 구조(large span spatial structures)란 3차원적인 힘의 흐름과 면내력에 의해 외부하중에 대한 저항 능력을 확보하는 형태 저항형 구조이다. 발전 배경은 단순한 피신처(원시시대의 비,...2021.12.27· 15페이지 -
수평구조시스템 17페이지
1. 수평 확장 구조시스템2~32. 구조시스템 분류 및 사례32.1 트러스 구조3~62.2 돔 구조7~102.3 케이블 구조11~153. 결론164. 참고문헌171. 수평 확장 구조시스템건축 및 구조 설계에서 건물의 수평적인 확장을 지원하는 구조시스템을 의미한다. 수직적인 확장이 아니라 건축물이 넓어지는 방향, 즉 가로로 확장될 때 사용하는 구조적 방법론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이는 여러 층이 아니라 단일 층 또는 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지면에 넓게 펼쳐지는 형태의 건축물에 주로 사용되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다시 말해, 기존 ...2024.11.27· 17페이지 -
장스팬 건축물 제주월드컵 경기장 33페이지
장스팬 건축물 사례조사 - 제주 월드컵 경기장제주도 월드컵 경기장 개요 평면도 / 단면도 도면 구조개요 분석 지붕구조 분석 지붕 막 구조 재설계 CONTENTS제주도 월드컵 경기장 위치 : 제주 서귀포시 법환동 914 건축가 : 황일인 시공 : 풍림산업 건축면적 : 22188.10 ㎡ 대지면적 : 134,122 ㎡ 연면적 : 75,967.46 ㎡ 건폐율 : 16.54% 용적률 : 24.13% 층수 : 지하 2 층 , 지상 4 층 구조 : 스탠드 -P.C R.C, 지붕 - 케이블 및 트러스 현수구조 외부마감 : 지붕 - 테쯔론 코팅 ...2022.09.29· 33페이지 -
기계종합설계 텐세그리티 구조 보고서 25페이지
2022학년도종합설계보고서기계시스템종합설계보고서이 논문을 종합설계 최종 보고서로 제출함.목 차제 1장 서 론1.1 연구 배경1.2 연구 일정1.3 연구 목적1.4 연구 진행 절차제 2장 이론적 배경2.1 일반적인 비닐하우스 구조 및 원리2.2 텐세그리티 구조 및 원리, 적용사례2.3 텐세그리티를 적용한 비닐하우스2.4 트러스 구조 및 원리, 적용사례제 3장 비닐하우스 가격 산출 및 구조 모델링 사진3.1 구조물 가격 산출 및 비교3.2 구조 모델링제 4장 비닐하우스 구조 해석 결과4.1 일반 비닐하우스 해석 결과4.2 텐세그리티형 ...2022.06.22· 2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