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각도를 이용한 삼성분계 상평형도 작성 실험
본 내용은
"
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 예비레포트 [논문개념 참고 A+ 1등]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8
문서 내 토픽
-
1. 상(Phase)과 상평형(Phase Equilibrium)상은 물질을 구분하는 기준으로 균일한 계를 의미하며 고체, 액체, 기체, 플라즈마로 나뉜다. 상평형은 2가지 이상의 상이 열역학적으로 평형을 이루는 상태로, 각 상의 화학포텐셜이 동일하며 깁스 상률이 성립한다. 상평형도는 압력과 온도 조건에 따라 물질의 상태를 나타내며, 경계선은 상이 공존하며 평형을 이루는 조건을 뜻한다. 삼중점에서는 세 가지 상이 공존하고, 임계점을 지나면 초임계 상태가 된다.
-
2. 깁스 상률(Gibbs Phase Rule)깁스 상률은 상평형을 이루는 계에서 자유도를 결정하는 방법으로, 성분의 수(C), 상의 수(P), 반응의 수, 제한조건의 수를 이용하여 계산된다. 자유도는 계의 상태를 정의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세기 변수의 수를 의미한다. 본 실험에서는 정온, 정압 조건에서 삼성분계를 다루므로 F=3-P로 표현되며, 단일상에서는 F=2, 두 상 평형에서는 F=1이다.
-
3. 삼각도(Triangular Diagram)삼성분계의 조성을 온도와 압력이 일정할 때 2차원으로 도식화하는 방법이다. 각 꼭짓점에서 단일 성분은 100wt%를 나타내며, 꼭짓점에서 멀어질수록 해당 성분의 조성이 감소한다. 삼각도 내부의 점에서 특정 성분의 조성은 해당 성분이 포함된 두 변을 지나는 직선과 수선의 교점으로 확인할 수 있다.
-
4. 상 경계 곡선과 대응선(Binodal Curve & Tie Line)상 경계 곡선은 삼각도에서 상의 분리가 발생한 영역을 구분한 경계선으로, 경계선 바깥은 단일 상, 내부는 분리된 상으로 존재한다. 대응선은 경계 곡선 위의 두 점을 이은 직선으로, 평형인 두 상의 조성을 나타낸다. 지렛대 법칙으로 각 상의 무게 비를 구할 수 있으며, 대응선의 길이가 0이 되는 상계점에서는 두 상의 조성이 동일하다.
-
1. 상(Phase)과 상평형(Phase Equilibrium)상과 상평형은 물질의 거시적 성질을 이해하는 기초적이면서도 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 상은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균일한 물질의 부분을 의미하며, 상평형은 서로 다른 상들이 열역학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공존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개념은 재료공학, 화학공학, 야금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물질의 거동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특히 온도, 압력, 조성 등의 변수에 따라 상의 종류와 개수가 변하는 현상을 이해함으로써 산업 공정의 최적화와 신소재 개발이 가능해집니다. 상평형의 원리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열역학적 안정성을 판단하고 물질의 성질을 예측하는 데 있어 매우 실용적이고 가치 있는 접근입니다.
-
2. 깁스 상률(Gibbs Phase Rule)깁스 상률은 열역학 시스템에서 자유도의 개수를 결정하는 강력한 도구로, F = C - P + 2 식으로 표현됩니다. 이 법칙은 주어진 조성의 시스템에서 몇 개의 상이 공존할 수 있으며, 각 상의 성질을 완전히 결정하기 위해 몇 개의 변수를 지정해야 하는지를 명확히 보여줍니다. 깁스 상률의 우수성은 복잡한 다성분 시스템에서도 체계적으로 상평형을 분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상태도 해석, 공정 설계, 물질의 안정성 판단 등이 가능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서 공정 조건을 최적화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이상적 거동을 가정하므로 실제 시스템과의 편차를 고려한 보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3. 삼각도(Triangular Diagram)삼각도는 3성분 시스템의 조성을 2차원 평면에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우수한 도구입니다. 정삼각형의 각 꼭짓점이 순수 성분을 나타내고, 내부의 점들이 다양한 조성을 표현하는 방식은 직관적이고 이해하기 쉽습니다. 삼각도를 통해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상의 존재 영역, 상 경계, 그리고 상 변화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어 상태도 해석에 매우 효율적입니다. 특히 야금학, 세라믹 공학, 화학공학 등에서 3성분 합금이나 혼합물의 거동을 분석할 때 필수적입니다. 다만 4성분 이상의 시스템에는 직접 적용이 어려우며, 정확한 해석을 위해서는 삼각도 읽기 기술과 상평형 이론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요구됩니다.
-
4. 상 경계 곡선과 대응선(Binodal Curve & Tie Line)상 경계 곡선(binodal curve)과 대응선(tie line)은 상태도에서 상평형을 나타내는 핵심 요소들입니다. 상 경계 곡선은 서로 다른 상들이 공존할 수 있는 조성의 한계를 나타내며, 이 곡선 내부의 영역에서는 두 개 이상의 상이 공존합니다. 대응선은 평형 상태에 있는 두 상의 조성을 연결하는 선으로, 이를 통해 각 상의 정확한 조성과 상대적 양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두 개념의 조합은 주어진 전체 조성에서 어떤 상들이 형성되고, 각 상의 조성과 양이 무엇인지를 정량적으로 파악하게 해줍니다. 특히 레버 규칙(lever rule)과 함께 사용되면 상의 양을 계산할 수 있어 공정 설계와 미세조직 예측에 매우 실용적입니다.
-
[단위조작이론및실험2_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_결과레포트] 2021 12페이지
결과리포트실험 제목 :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 실 험조 :학 번 :이 름 :1. AbstractAcetone-Toluene-증류수의 3성분 계의 상호 용해도 관계를 파악하고 연구하기 위하여 이 실험은 진행되었다. 또한, 파악한 상호 용해도를 바탕으로 3 성분계의 상평형도를 작성하고 그것을 이해하였다. 임의의 조성에 해당하는 각 성분 값을 삼각도 상에 배열하고 상경계도를 찾아냈다. 실험(1)에서는 질량%를 각각 다르게 설정해준 아세톤 수용액(증류수-아세톤)에 톨루엔을 적정해주었고, 실험(2)에서는 질량%를 각각 다르게 설정한 아세톤-...2022.09.20· 12페이지 -
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_예비레포트 A+ 15페이지
예비레포트실험제목 :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조 :학 번 :이 름 :1. 실험 목적삼성분계(Three-component system)에 대한 상평형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상평형도를 작성할 수 있다. 특히 아세톤(Acetone), 톨루엔(Toluene), 물(Water)로 이루어진 임의의 조성 용액을 삼각도(Tertiary diagram) 상에 배열함으로써 1상 및 2상 영역을 구분하고 상경계도를 도출할 수 있다.2. 바탕 이론(1) 상(Phase)과 상전이(Phase Transition)상은 물질이 균일한 물리적 성질을 유지하는...2025.03.08· 15페이지 -
삼성분계(상평형) 측정 결과레포트 23페이지
삼성분계 ( 상평형 ) 결과 ppt목차 1. 실험목적 2. 실험이론 3. 실험기구 및 방법 4. 실험결과 5. 토의 및 고찰 6. 연구과제실험목적 두 종류의 서로 녹지 않는 액체와 각각의 두 액체와 섞일 수 있는 또 다른 액체의 삼성분계 용해도 곡선을 작성하고 그 계를 이해하며 용해도 효과를 통해 상률의 의미를 알아본다 . 그리고 여러 종류의 삼성분계 용해도 곡선을 알아본다 .실험이론 주어진 수의 성분을 포함하는 평형 계에 존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 들에 대한 최소한의 독립변수 ( 온도 , 압력 , 농도 ) 의 영향에 관계되는 ...2020.12.06· 23페이지 -
(물리약학실습)상평형도 결과 9페이지
상평형 (Phase equilibria)1. Introduction① 실험 목표상평형에 대해 이해하고 한 쌍의 부분 섞임성의 액체를 갖는 3성분계에서조성의 변화에 따른 triangular diagram을 작성하여 binodal curve 그려본다.이론적으로는 상률의 의미, tie line을 통한 상층과 하층의 조성을 계산할 수 있다.② 상률 (Phase rule)J. Willard Gibbs는 주어진 수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평형계에서 존재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상들 (고체․ 액체․기체) 에 대한 최소한의 독립변수들(온도․압력․농...2022.05.16· 9페이지 -
분석화학실험 A+ ( 예비 레포트 )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 Gran plot 9페이지
제출일자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 gran plot학 과 :학 번 :성 명 :1. 서론산-염기 적정에서 종말점을 알아내는 방법 중의 하나인 Grand polt 법에 대해서 이해하고,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실험에 대해 Grand plot을 이용하여 종말점을 찾아내고 약산의 산해리 상수를 구한다.2. 실험 이론Grand plot은 산-염기 적정 시에 종말점에 이르는 당량의 80~90 %를 진행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종말점을 구하는데 사용하는 방법이다. 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는 경우에 약산의 산-해리평형과 평형상수는 다음과 같이 ...2023.08.31· 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