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기본간호학 주사 및 경구투약 실습 보고서
본 내용은
"
기본간호학 실습 보고서(참고용) / 경구투약, 피내주사, 피하주사, 근육주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7
문서 내 토픽
  • 1. 경구투약
    국소적, 전신적 효과가 있는 약물을 위장관을 통해 흡수되도록 구강으로 투여하는 방법이다. 투약 전 손위생과 대상자 확인, 약물 설명이 필수이며, 흡인 예방을 위해 파울러씨 체위를 취하게 한다. 알약은 한 알씩 복용하도록 하고, 약물을 완전히 다 삼킬 때까지 대상자 옆에서 관찰해야 한다. 투약 후 편안한 체위를 취하도록 도와주고 간호기록지에 기록한다.
  • 2. 피내주사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과민반응을 알아보기 위한 주사 방법이다. 약물을 0.1mL로 희석하여 표피에서 진피로 들어가도록 10~15도의 각도로 삽입한다. 피부에 3~5mm의 낭포가 생길 때까지 약물을 천천히 주입하고, 낭포의 둘레를 볼펜으로 표시한 후 마사지하지 않는다. 15분 뒤에 주사부위의 반응을 관찰하고 기록한다.
  • 3. 피하주사
    근육주사나 정맥주사보다 약물 흡수를 느리게 하기 위한 주사 방법이다. 예방백신, 인슐린, 헤파린 등의 약물을 투여할 때 사용된다. 주사바늘을 45~90도로 삽입하는데, 비만한 대상자는 90도, 마른 체형은 45도로 한다. 주사 부위에 타박상이나 부종이 있는지 확인하고 이전 주사부위를 피해 교대로 주사한다. 주사 후 마사지하지 않는다.
  • 4. 근육주사
    피하조직에 자극을 주는 약물을 근육 깊숙이 주사하고 피하주사보다 더 많은 양의 약물을 투여하는 방법이다. 주사바늘을 90도로 피부에 빠르게 삽입하되 1~2mm 정도는 남겨둔다. 삽입 후 혈액 역류를 확인하여 혈액이 나오지 않을 때만 약물을 천천히 주입한다. 약물 주입 후 소독솜으로 누르면서 빠르게 주사기를 빼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경구투약
    경구투약은 의약품 투여의 가장 기본적이고 안전한 방법입니다. 환자가 스스로 복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높고, 특별한 의료 기술이 필요하지 않아 가정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소화기계 질환이 있거나 음식물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는 제한적이며, 약물의 흡수가 불규칙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간을 통한 대사로 인해 약효가 감소할 수 있고, 위산에 의해 분해되는 약물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 순응도가 높고 비용 효율적이어서 만성질환 관리에 매우 유용한 투약 방법입니다.
  • 2. 피내주사
    피내주사는 표피와 진피 사이의 얕은 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주로 투베르쿨린 검사나 알레르기 검사에 사용됩니다. 국소적 반응을 관찰하기에 적합하며 흡수가 느려서 약물의 지속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주입 부위가 제한적이고 대량의 약물을 투여하기 어렵다는 제약이 있습니다. 또한 정확한 기술이 필요하며 부정확한 시술로 인해 피하주사나 근육주사가 될 수 있습니다. 임상적으로는 진단 목적이나 백신 접종 등 특정 상황에서만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투약 방법입니다.
  • 3. 피하주사
    피하주사는 피부 아래 지방층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인슐린이나 에피네프린 같은 중요한 약물 투여에 널리 사용됩니다. 경구투약보다 빠른 흡수가 가능하면서도 근육주사보다는 통증이 적어서 환자 순응도가 좋습니다. 자가 주사가 가능해 만성질환 환자들이 집에서 독립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주입 부위에 국소 반응이 발생할 수 있고, 반복 주사로 인한 지방위축이나 지방증식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대량의 약물 투여에는 부적합하며, 정확한 기술과 무균 조건이 필요합니다.
  • 4. 근육주사
    근육주사는 약물을 근육 조직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으로, 빠르고 확실한 약물 흡수가 가능합니다. 대량의 약물을 투여할 수 있고, 경구투약이 불가능한 환자에게 효과적인 대안입니다. 항생제, 백신, 호르몬 제제 등 다양한 약물에 사용되며 임상에서 매우 중요한 투약 방법입니다. 그러나 주사 부위의 통증과 불편감이 있으며, 신경이나 혈관 손상의 위험이 있습니다. 반복 주사로 인한 근육 손상이나 경화가 발생할 수 있고, 정확한 해부학적 지식과 기술이 필요합니다. 또한 감염 위험이 있어 무균 조건 준수가 필수적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