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람음성알균: 나이세리아의 특성과 임상
본 내용은
"
그람음성알균 핵심요약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6
문서 내 토픽
-
1. 나이세리아(Neisseria) 개요나이세리아는 그람음성 쌍알균으로 직경 0.6~1.0μm이며, 산화효소 양성, 카탈라아제 생산한다. 임균(N.gonorrhoeae)과 수막염균(N.meningitidis)은 사람에게만 질병을 일으키고, 나머지는 입인두, 코인두 점막에 존재한다. 35~37도에서 5% 이산화탄소 환경에서 호기성 배양되며, 얇은 펩티도글리칸층을 가진다. 다당질 협막은 병원성 인자로 13가지 혈청군으로 분류된다.
-
2. 임균(N.gonorrhoeae) 감염임질은 클라미디아 다음으로 흔한 성접촉전염병이며, 15-24세에서 발병률이 높다. 성접촉으로 전파되며 여성 50%, 남성 20% 확률로 감염된다. 남성은 요도에 제한되어 누런 농액성 요도 분비물, 배뇨장애가 95%에서 나타나고, 여성은 자궁경부 감염으로 질분비물, 배뇨통, 복통이 발생한다. 합병증으로 부고환염, 전립선염, 난관염, 골반염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
3. 수막염균(N.meningitidis) 감염수막염균은 비말전염으로 가족, 군대 등 가까이 지내는 사람들 사이에서 전파된다. IgA 단백분해효소를 생산하며 섬모는 비인두 점막 부착을 돕는다. 수막염은 갑작스러운 두통, 발열, 수막자극, 목의 강직, 구토 등이 특징이며 몇 시간 내에 혼수상태에 빠질 수 있다. 수막알균혈증은 혈관내 응고, 순환허탈, 치명적 쇼크를 유발할 수 있다.
-
4. 병원성 인자 및 면역회피임균의 주요 독력 인자는 섬모, PorB, Opa 단백이며, LOS(lipooligosaccharide)는 TNF-α 분비를 자극한다. Pilin은 포식작용에 저항성을 보이고, IgA 분해효소는 옵소닌화에 보호적이다. 수막염균의 다당질 협막은 항포식작용을 하며, 특이 항체 결핍된 사람에게 뇌수막질환을 일으킨다. 영유아는 모유수유의 수동면역으로 보호되지만 6개월 후 감소한다.
-
1. 나이세리아(Neisseria) 개요나이세리아는 그람음성 쌍구균으로 인간에게 중요한 병원체입니다. 이 속의 세균들은 주로 상기도와 생식기 점막에 정착하며, 특정 종은 심각한 감염을 유발합니다. 나이세리아의 분류와 특성 이해는 임상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배양 조건, 생화학적 특성, 항원 구조 등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감염 질환의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선택에 중요합니다. 현대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이 전통적 배양법을 보완하면서 진단의 정확성이 향상되고 있습니다.
-
2. 임균(N.gonorrhoeae) 감염임균 감염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세균성 성병으로, 공중보건상 중요한 문제입니다. 남성에서는 요도염, 여성에서는 자궁경부염을 주로 일으키며, 치료하지 않으면 골반염이나 불임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항생제 내성의 증가, 특히 다제내성 임균의 출현은 치료 선택지를 제한하고 있어 심각한 우려사항입니다. 조기 진단, 적절한 항생제 치료, 성 파트너 추적 조사 등의 종합적 관리가 필수적이며, 예방을 위한 안전한 성 관행과 정기적 검진이 중요합니다.
-
3. 수막염균(N.meningitidis) 감염수막염균은 세균성 수막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급속한 진행과 높은 사망률로 인해 의료 현장에서 가장 두려운 감염 질환 중 하나입니다. 혈청형에 따른 병원성의 차이와 항생제 내성의 증가는 치료를 복잡하게 만듭니다. 백신 개발과 예방접종 프로그램의 확대는 감염 예방에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새로운 혈청형의 출현과 백신 회피 변이주의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조기 항생제 투여, 적절한 격리 조치, 접촉자 예방투약 등의 신속한 대응이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
4. 병원성 인자 및 면역회피나이세리아의 병원성은 다양한 표면 단백질과 독소에 의해 매개되며, 특히 필리, 포린, 리포다당류 등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세균들은 정교한 면역회피 메커니즘을 진화시켰는데, 항원 변이, 보체 저항성, 철 획득 시스템 등이 숙주 면역계를 회피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특히 항원 변이의 빈도와 다양성은 백신 개발과 면역 형성을 어렵게 만듭니다. 이러한 병원성 인자들의 분자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더 효과적인 백신 개발, 새로운 치료법 개발, 그리고 감염 예방 전략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
미생물학 '그람양성알균, 그람양성막대균, 그람음성알균, 장내세균' 요약 11페이지
미생물학 그람양성알균, 그람양성막대균, 그람음성알균, 장내세균 요약11장. 그람양성알균- 모두 아포(spore)를 형성하지 않음- 그람양성알균 분류 방법 : 카탈라아제 생성 여부→ 카탈라아제 :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세균입장에서는 분해하는 것이 유리)1. 포도알균(Staphylococcus)- 산소성이면서 카탈라아제 양성인 세균1)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 혈장응고효소를 생산 즉, 병원성이 가장 큼① 구조와 생리- 협막과 점액층 : 포도알균의 세포벽 가장 바깥층은 다당체로 구성된 협막으로 덮여...2021.04.30· 11페이지 -
여성건강간호학 케이스스터디 PID 골반 내 감염 A+ 자료 칭찬 다수 21페이지
여성건강간호학실습1()질환보고서 / 사례보고서[ Pelvic Inflammatory Disease: PID ]실습병원 :실습부서지도교수 :제출자 :제출일 : 2021년 06월 4일목차Ⅰ. 서론 ------------------------------------3p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2. 연구기간 및 방법Ⅱ. 문헌고찰 -------------------------------3pⅢ. 간호과정 -------------------------------6p1. 간호사정1) 일반적 사항2) 건강력3) 현병력 및 주호소4) 신체사정5) 기...2021.07.08· 21페이지 -
각 미생물에 대해서 16페이지
1)고름사슬알균(Streptococcus pyogenes)-다양한 화농성 및 비화농성 질병을 일으킨다.-세균성 인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다.*역학-A군 사슬알균은 건강한 어린이와 젊은 성인의 입인두에 집락화를 이루고 있다.-세균은 호흡기 비말을 통해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A군 사슬알균에 의한 성홍열(scarlet fever) ->법정감염병으로 지정*일반성상-사슬이 짧고 액체배지에서 자라면 더 길게 배열된다.-세포벽에는 군특이 탄수화물 항원과 형특이 M단백이 존재한다.*발병기전-M단백은 보체인자 C3b와 결합을 방해하여 포식...2019.09.28· 16페이지 -
세균학 및 실험 레포트 22페이지
세균학 및 실험 REPORT1. 병원성 미생물의 분류, 특성, 진단, 증상, 예방, 치료, pathogenesis2. Antibiotics 종류에 따른 작용Mechanism과 저항성Mechanism3. Reference1. 병원성 미생물의 분류, 특성, 진단, 증상, 예방, 치료, pathogenesis병원성 미생물 species : 수막구균(Neisseria meningitidis)A. Neisseria Genus나이세리아과(family)는 최근에 재분류가 이루어져 기존의 몇몇 속(genus)은 빠지고 새롭게 몇몇 속이 추가되었다...2014.12.23· 22페이지 -
세균의 특징과 그에따른 부작용 19페이지
미생물학 report과목:교수님:학과:학번:이름:#staphylococcus aureus'포도상구균'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세균의 하나로서 식중독뿐만 아니라 피부의 화농·중이염·방광염등 화농성질환을 일으키는 원인균으로 우리나라에 있어 살모넬라균 및 장염비브리오균 다음으로 식중독을 많이 일으키는 세균이다.포도상구균은 수십종이 있지만 그중에서도 황색의 색소를 생산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식중독을 일으키며 기타 포도상구균에 의한 식중독 발생 사례는 현재까지 없다.황색포도상구균은 비교적 열에 강한 세균이지만 80℃에서 30분간 가열하...2013.05.20· 1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