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GDM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 사례 및 간호진단
본 내용은
"
GDM case study, 간호진단 3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7
문서 내 토픽
  • 1. 임신성 당뇨병(GDM)
    36세 초산모가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아 39주 1일에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함. 환자는 임신 전부터 당뇨약 노보래피드를 4단위로 복용하다가 8월 중순에 중단함. 분만 전 혈당 111, 분만 후 102로 측정되었으며, CRP 수치는 분만 후 17.25로 상승함. 가족력으로 당뇨가 있으며, 식이요법과 인슐린 치료로 관리됨.
  • 2. 제왕절개 분만 및 산후 관리
    2019년 9월 17일 경막외 마취하에 제왕절개 분만을 시행함. 마취제로 Botropase 2ml, Trolac 30mg을 사용하였고, 분만 소요시간은 약 45분이었음. 분만 후 자궁무력증 및 출혈 방지를 위해 carbetocin 100mcg을 투여함. 신생아는 여아로 체중 3.48kg, 신장 50cm, 아프가 점수 9점으로 정상 범위임. 산후 조리는 남편, 시댁, 친가가 돌아가며 도움을 제공하기로 함.
  • 3. 간호진단 및 중재
    3가지 간호진단이 수립됨: 1) 혈당수치 상승과 관련된 대사 불균형 증후군의 위험 - 8시간마다 혈당 측정, 영양사 처방 식단 준수 교육, 약물 복용 방법 지도 시행. 2) 분만 후 자궁질병 예방과 관련된 지식향상 - 산전·산후관리 교육, 팜플렛 제공. 3) 부모 역할 향상을 위한 준비 - 남편 포함 모성간호 교육, 아기 돌봄 방법 지도. 단기목표는 2일 내 교육 완료, 장기목표는 퇴원 전까지 적절한 산후관리 수행.
  • 4. 투약 관리 및 부작용 모니터링
    분만 후 철결핍성 빈혈 치료를 위해 Bolgre, 간기능 개선을 위해 고덱스, 담석 예방을 위해 우루사 등 다양한 약물을 투여함. 정맥주사로 Venoferrum, Flumarin, Lasix, Multibule, Oxytocin, 알부민 등을 사용하였고, 경구약으로 Motilitone, Atrial, Magmill 등을 복용함. 각 약물의 부작용 모니터링과 금기사항 확인이 필수적임.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임신성 당뇨병(GDM)
    임신성 당뇨병은 임신 중 발생하는 중요한 대사 질환으로, 모체와 태아 모두에게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조기 선별검사와 적절한 혈당 관리가 필수적이며, 식이요법과 운동을 통한 생활습관 개선이 1차 치료입니다. 인슐린 치료가 필요한 경우 안전성이 입증되었으므로 적극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 산후 추적관찰을 통해 제2형 당뇨병 발생 위험을 감시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장기적인 모성 건강 관리의 핵심입니다.
  • 2. 제왕절개 분만 및 산후 관리
    제왕절개는 필요한 경우 모체와 태아의 생명을 보호하는 중요한 수술이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감염, 출혈, 혈전증 등의 합병증 위험이 높습니다. 수술 후 적절한 통증 관리, 항생제 예방, 조기 이동 및 호흡 운동이 회복을 촉진합니다. 산후 관리에서는 자궁 수축 상태, 오로 배출, 상처 치유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해야 하며, 심리적 지지도 중요합니다. 모유수유 지원과 신생아 관리도 통합적으로 제공되어야 합니다.
  • 3. 간호진단 및 중재
    간호진단은 간호사가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문적 판단으로, 환자의 건강 문제를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해결하는 기초입니다. 정확한 사정을 통해 근거 기반의 간호진단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중재를 계획해야 합니다. 산과 환자의 경우 신체적 문제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문제까지 포괄적으로 진단하고 중재해야 합니다. 중재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평가하여 간호계획을 수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입니다.
  • 4. 투약 관리 및 부작용 모니터링
    산과 환자의 투약 관리는 모체와 태아 안전을 모두 고려해야 하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약물의 기형 유발성, 태반 통과성, 모유 배출 등을 충분히 이해하고 투약해야 합니다. 정확한 용량, 투약 경로, 투약 시간을 준수하고, 투약 전후 환자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의료진에 보고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하며, 환자 교육을 통해 자가 모니터링 능력을 강화해야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