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신우신염(APN) 소아 환자 간호 사례보고서
본 내용은
"
(A+) 급성 신우신염 APN acute pyelonephritis CASE STUDY 케이스 사례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21
문서 내 토픽
-
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급성 신우신염은 신장과 요관의 감염으로 발생하는 상부요로감염이다. 주로 장내 세균(E. coli 80%)의 상행 감염으로 발생하며, 신생아 및 영유아에서 설명되지 않는 발열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진단은 소변 배양검사, 요분석검사, 혈액검사(WBC, CRP 증가), 영상검사(신초음파, VCUG)를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항생제 정맥투여 후 경구 항생제로 전환하여 7~14일간 투여하며, 제때 치료하지 않으면 신장 농양, 패혈증, 만성 신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다.
-
2. 소아 요로감염의 위험요인 및 예방소아 요로감염의 위험요인으로는 여아(짧은 요도), 비포경 수술 남아, 방광요관역류, 배뇨 장애, 변비, 불충분한 생식기 위생 등이 있다. 예방법으로는 충분한 수분 섭취, 규칙적인 배뇨, 적절한 회음부 간호(여아는 앞에서 뒤로 닦기), 모유수유 권장, 포경수술 고려 등이 있다. 반복적인 요로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항생제 적절한 용량 투여와 지속적 복용이 중요하다.
-
3. 소아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관리설사와 구토로 인한 체액 부족은 나트륨(Na) 증가, 칼륨(K) 감소 등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한다. 탈수 징후는 피부 탄력성 저하, 점막 건조, 체중 감소, 소변량 감소 등이다. 관리는 정맥 수액 요법(5% Dextrose, NaK 2호, Normal saline), 충분한 수분 섭취 교육, 섭취량과 배설량 측정, 회음부 간호를 통해 이루어진다. 정기적인 진단검사로 전해질 수치를 모니터링하고 정상범위 유지를 목표로 한다.
-
4. 소아 낙상 위험 평가 및 예방생후 4개월 영아는 낙상 고위험군으로 The Humpty Dumpty Scale을 이용한 평가가 필요하다. 낙상 위험요인으로는 침대 높이, 사이드레일 미설치, 보호자 부재, 환아의 운동능력 증가 등이 있다. 예방 수칙은 사이드레일 올리기, 보호자 상주, 아기띠 사용, 낙상주의 스티커 부착 등이다. 보호자 교육을 통해 낙상의 위험성을 인식하고 예방수칙을 실천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
1. 급성 신우신염(Acute Pyelonephritis, APN)급성 신우신염은 소아 환자에서 심각한 감염성 질환으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항생제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임상 증상으로는 발열, 옆구리 통증, 배뇨곤란 등이 나타나며, 소변 검사와 배양검사를 통해 확진됩니다. 특히 영아나 어린 소아에서는 비특이적 증상만 나타날 수 있어 의료진의 높은 임상적 의심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항생제 치료로 대부분 회복되지만, 치료 지연 시 패혈증이나 신반흔 형성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심 증상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 개시가 환자의 예후를 크게 좌우하므로,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과 부모의 적절한 관찰이 필수적입니다.
-
2. 소아 요로감염의 위험요인 및 예방소아 요로감염의 위험요인은 다양하며, 여아, 요로 기형, 배뇨 습관 이상, 변비 등이 주요 요인입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충분한 수분 섭취, 규칙적인 배뇨 습관, 올바른 배변 습관 형성이 중요합니다. 특히 여아의 경우 배변 후 앞에서 뒤로 닦는 올바른 위생 습관이 감염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요로 기형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추적 관찰과 예방적 항생제 사용을 고려해야 합니다. 부모 교육을 통한 생활 습관 개선과 조기 증상 인식이 재발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므로, 의료진의 체계적인 상담과 지도가 필요합니다.
-
3. 소아 탈수 및 전해질 불균형 관리소아의 탈수는 신체 수분 손실로 인한 심각한 상태로, 설사, 구토, 발열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탈수의 정도에 따라 경증, 중등증, 중증으로 분류되며, 각 단계별 적절한 수액 치료가 필요합니다. 경증 탈수는 경구 수액 치료로, 중등증 이상은 정맥 수액 치료로 관리합니다. 전해질 불균형, 특히 저나트륨혈증과 고칼륨혈증은 신경계 증상과 심장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수입니다. 소아의 신진대사 특성상 탈수 진행이 빠르므로, 부모의 조기 인식과 의료진의 신속한 개입이 합병증 예방에 중요합니다.
-
4. 소아 낙상 위험 평가 및 예방소아 낙상은 예방 가능한 손상으로, 발달 단계별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영아기 침대 추락, 유아기 계단 낙상, 학령기 높은 곳에서의 추락 등 연령별 특성이 있습니다. 낙상 위험 평가는 아동의 발달 수준, 환경 요인, 기저 질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예방 전략으로는 안전한 환경 조성, 보호 장비 사용, 감시 강화, 부모 교육 등이 있습니다. 특히 입원 중인 소아의 경우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활용한 체계적 평가와 개별화된 예방 계획 수립이 필수적입니다. 의료진과 부모의 협력을 통한 다층적 예방 접근이 소아 손상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
아동간호학실습 급성신우신염 CASE STUDY 27페이지
아동간호학실습II임상실습 (경상대 병원소아과 43W)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사례연구 보고서case study담당 교수학번이름실습 기간실습 장소제출일학교학과간호학과목차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진술 ……………………………………… P. 32. 문헌고찰 (해부생리 및 질환) ……………………………………… P. 4~8Ⅱ. 본론1. 간호 사정 …………………………………………………………………… P. 9~222. 간호 진단 …………………………………………………………………… P. 23~25Ⅲ. 결론 ……………………...2023.12.05· 27페이지 -
A+ 신우신염&제2형 당뇨병 사례보고서 (간호진단 10개, 간호과정 2개, 진단검사 O, 약물 O, PBL O, 문헌고찰 O) 48쪽 48페이지
신우신염& 제2형 당뇨병사례보고서(문헌고찰 O,간호진단 10개, 간호과정 2개, 진단검사 O, 약물 O, PBL O)목 차1. PBL을 통한 간호사례2. 문헌고찰 ① Acute Pyelonephritis ② Type 2 diabetes mellitus3. 진단검사 ???????? 1) 일반혈액검사???????? 2) 혈청화학검사???????? 3) 전해질검사???????? 4) 혈액응고검사???????? 5) 혈액가스분석검사???????? 6) 객담, 소변, 대변 검사 등???????? 7) 영상의학검사 등 특수검사4. 약물5. 간...2024.06.20· 48페이지 -
APN 검사 케이스 보고서 '과제 A++' 3페이지
APN 검사 케이스 보고서 APN(Advanced Practice Nurse) 검사 케이스는 고급 실무 간호사들이 환자의 상태를 평가하고 진단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다양한 검사와 절차를 포함한다. APN은 의료 시스템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환자의 건강 상태를 면밀히 파악하여 치료 방침을 제시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이 보고서는 APN이 수행하는 검사와 절차, 그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케이스를 중심으로 설명하고, 그에 따른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는 방법에 대해 다룬다. 1. APN의 역할과 책임 APN...2025.01.12· 3페이지 -
아동간호학 급성신우신염(APN) 사례보고서(케이스) 31페이지
사례보고서(임상사례-아동)환아 성별M환아 나이2개월 8일진료과소아청소년과진단명APN(급성 신우신염)Ⅰ. 문헌고찰질병명급성신우신염(APN)질병의 정의 및 특성요로감염은 소아에서 비교적 흔한 세균성 감염의 하나로, 특히 영아에게서 가장 높은 유병율을 보인다. 요로감염은 침범부위에 따라 하부요로감염(요도, 방광)과 상부요로감염(요관, 신우(콩팥깔때기), 신배(콩팥잔), 신실질)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신우신염은 신우와 신배를 포함하는 상부요로감염이다. 소아에게 있어서 급성신우신염은 나이 든 영아나 성인의 경우와 달리, 발열 이외의 다른 전...2024.05.03· 31페이지 -
응급간호학 급성신우신염(acute pylonephritis) 케이스스터디 - 간호진단 5개 14페이지
1. 임상 사례 연구보고서실습기관OOOO병원실습부서응급실실습기간00.00.00~00.00.00대상자 성명김OO성별/연령F/32세진단명Acute pyelonephritisC/C- Lt flank pain- fever- chilling- dysuria, frequency, suprapubic discomfort, 잔뇨감환자분류(Triage)(최초)KTAS - ALAALO / 3분류일시: 20OO-OO-OO OO:OO:OO2. 객관적, 주관적 자료수집2. 원인 및 증상? V/S 131/65 ? 104 ? 20 ? 38.4 ? 38.6℃ ...2023.11.07· 14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