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하광학 실험보고서: 렌즈를 이용한 상의 형성
본 내용은
"
과고 물리 1등급의 기하광학 실험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9
문서 내 토픽
-
1. 렌즈 방정식 및 초점거리물체와 렌즈에 의해 맺혀진 상의 위치는 렌즈 방정식 1/a + 1/b = 1/f로 표현된다. 여기서 a는 렌즈와 물체 간의 거리, b는 렌즈와 상까지의 거리, f는 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초점거리는 평행광선이 렌즈를 통과하여 한 점에 모이는 지점까지의 거리로 정의되며, 매질의 굴절률과 렌즈의 곡률 반경에 의해 결정된다.
-
2. 광선추적법(Ray-tracing)의 세 가지 원리렌즈의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광선추적법은 세 가지 기본 원리로 구성된다. 첫째, 렌즈 주축에 평행하게 입사한 광선은 렌즈를 통과하며 반대편 초점을 통과한다. 둘째, 렌즈 초점을 지나며 입사한 광선은 렌즈를 통과 후 평행하게 진행한다. 셋째, 렌즈의 중심을 통과한 광선은 굴절 없이 일직선으로 진행한다.
-
3. 볼록렌즈의 상 형성볼록렌즈에서 물체의 위치에 따라 상의 성질이 달라진다. 물체가 초점거리의 2배보다 멀 때는 축소된 도립 실상이 형성되고, 초점거리와 2배 사이에 있을 때는 확대된 도립 실상이 형성된다. 초점 위치에서는 상이 맺히지 않으며, 초점보다 가까울 때는 확대된 정립 허상이 형성된다.
-
4. 오목렌즈의 상 형성오목렌즈는 물체의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축소된 정립 허상을 형성한다. 허상은 렌즈 반대편에서 물체를 바라봤을 때 마치 한 점에서 출발한 것처럼 보이는 상으로, 렌즈에서 허상까지의 거리가 초점거리이다.
-
1. 렌즈 방정식 및 초점거리렌즈 방정식은 광학의 기초를 이루는 핵심 개념으로, 물체거리, 상거리, 초점거리 간의 수학적 관계를 명확히 설명합니다. 1/f = 1/do + 1/di 형태의 렌즈 방정식은 렌즈의 성질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해주며, 초점거리는 렌즈의 굴절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매개변수입니다. 이를 통해 카메라, 현미경, 망원경 등 실제 광학기기의 설계와 작동 원리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부호 규약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다양한 렌즈 상황을 올바르게 분석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광선추적법(Ray-tracing)의 세 가지 원리광선추적법의 세 가지 기본 원리는 광학 현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첫째, 렌즈 중심을 통과하는 광선은 굴절하지 않고 직진하며, 둘째, 초점을 향하는 광선은 렌즈 후 평행하게 진행하고, 셋째, 평행 광선은 렌즈 후 초점을 통과합니다. 이 세 원리만으로도 렌즈에 의한 상의 위치와 크기를 기하학적으로 정확히 결정할 수 있습니다. 복잡한 수식 없이도 광학 현상을 시각화할 수 있어 학습과 실무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입니다.
-
3. 볼록렌즈의 상 형성볼록렌즈는 물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상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집니다. 물체가 초점 너머에 있을 때는 실상이 형성되며, 초점 내에 있을 때는 허상이 형성됩니다. 특히 물체거리가 변함에 따라 상의 크기, 방향, 성질이 연속적으로 변하는 과정은 렌즈의 광학적 성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합니다. 이러한 특성은 카메라의 초점 조절, 확대경의 작동 원리 등 실생활의 많은 응용에 직접 적용되므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요합니다.
-
4. 오목렌즈의 상 형성오목렌즈는 항상 허상을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며, 이는 볼록렌즈와의 근본적인 차이입니다. 물체의 위치와 관계없이 오목렌즈를 통과한 광선은 발산하므로, 상은 항상 물체와 같은 쪽에 형성되고 축소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오목렌즈는 주로 시야각을 넓히거나 상을 축소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광선추적법을 적용하면 오목렌즈의 상 형성 과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으며, 안경의 근시 교정, 카메라의 광각 렌즈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빛의 속도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22페이지
현대물리실험 결과보고서빛의 속도 측정학과:학번:이름:공동실험자:담당교수:담당조교:실험날짜:제출날짜:빛 속도 측정의 역사●갈릴레오 (Galileo)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사람들은 빛의 속도가 무한하다고 추측하였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가정에 처음으로 의문을 제기한 사람은 유명한 이탈리아 물리학자인 갈릴레오이다. 그는 빛의 속도를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그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두 사람 (A 와 B라고 부르자)이 뚜껑 씌운 등불을 들고 약 1마일 정도 떨어져 있는 산봉우리 위에 올라간다. 먼저 A가 등불의 뚜껑을 벗기고,...2024.02.01· 22페이지 -
광학실험 렌즈 예비보고서 13페이지
광학실험예비 보고서(2021.09.29.)1. Determining the focal lengths at collecting lenses through autocollimation2. Determining the focal lengths at collecting lenses using Bessel’s method3. Verifying the imaging laws with a collecting lens4. Magnifier and Microscope5. Kepler’s telescope1. 실험 목표1. Autocollimatio...2022.05.23· 13페이지 -
인천대학교 일반물리학실험 거울과 렌즈 과제 14페이지
실험제목 : 거울과 렌즈제출일 :담당 교수 :담당 조교 :학과 :학번 :이름 :Ⅰ. 개요 (Introduction)렌즈에 의해 빛이 굴절하는 현상을 이해하고 렌즈와 거울에 의하여 상이 형성되는 원리를 알아보는 것입니다.Ⅱ. 이론 (Theory)■ 볼록렌즈:- 평행한 광선 다발이 볼록렌즈를 향해 입사하면 볼록렌즈를 지나서 렌즈 앞의 한 점에 모이게 되는데 이 점을 렌즈의 초점이라고 합니다. 또한 볼록렌즈의 초점을 지난 빛은 다시 퍼져 나아갑니다.- 볼록렌즈의 가장자리 첫 번째 입사 경계면에서 렌즈에 입사한 광선이 굴절법칙에 의해 렌즈...2020.12.14· 14페이지 -
[물리학및실험2] 전반사 및 초점거리 실험 예비보고서(A+) 4페이지
전반사 및 초점거리 실험예비 보고서- 1 -2014103915전자전파공학과1. 실험목적입사각과 반사각을 측정하여 반사의 법칙을 이해하고 빛의 굴절시험을 통해 굴절의 법칙을 확인하고 굴절률을 측정한다. 또한, 렌즈의 초점거리를 결정하고 렌즈에 의한 상의 배율을 측정한다.2. 관련이론1) 반사와 굴절그림 33-16b 빛이 두 매질의 경계면을 통과해서 진행하는 것을 굴절이라고 부르며 빛이 굴절되었다고 한다. 광선이 표면에 수직하지 않는 한 표면에서 굴절된 빛은 진행방향을 바꾼다.반사법칙: 반사광선은 입사평면의 안에 놓이고 반사각은 입사각...2020.11.28· 4페이지 -
[금속공학실험] Cu와 Mg 합금의 변형거동 19페이지
금속공학실험 결과보고서Cu와 Mg 합금의 변형 거동1. Introduction본 실험은 순수한 Cu(99.997%)와 Mg alloy(AZ31, Mg-3%Al-1%Zn) 두 시편에 대해서 tensile test로 stress-strain curve를 plot하며, 변형에 의해 hardness와 미세조직이 각각 어떻게 변화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Hardness 측정과 미세조직 관찰은 각각의 시편의 변형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 행해진다. Hardness는 Vickers Hardness test로 측정하며, 미세조직은 OM...2025.02.03· 1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