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영체제: 주기억 장치의 종류, 특징 및 현황
본 내용은
"
운영체제 ) 주기억 장치와 보조기억 장치 중 주기억 장치의 종류와 특징을 각각 설명하고 요즘 많이 사용되고 있는 주기억 장치도 포함하여 조사하고, 장단점을 작성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5
문서 내 토픽
-
1. 주기억 장치(Primary Memory)주기억 장치는 CPU가 직접 접근하여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장치입니다. ROM(읽기 전용 메모리)과 RAM(임의 접근 메모리)으로 구성됩니다. ROM은 비휘발성으로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유지되며 BIOS, 글자 폰트 등을 저장합니다. RAM은 휘발성으로 현재 사용 중인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지만 전원이 꺼지면 내용이 사라집니다. RAM은 DRAM(동적램)과 SRAM(정적램)으로 분류되며, DRAM은 일반적인 주기억장치로 저렴하고 접근 속도가 낮지만 집적도가 높습니다.
-
2. 보조기억 장치(Secondary Memory)보조기억 장치는 주기억장치의 휘발성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만들어진 비휘발성 장치입니다. 속도는 느리지만 저장용량이 크고 전원이 꺼져도 내용이 유지됩니다. 종류로는 하드디스크, SSD, 플로피디스크, 자기테이프, CD-ROM, DVD, Blu-Ray가 있습니다. 하드디스크는 저장용량이 크지만 충격에 약하고, SSD는 반도체를 이용하여 고속 입출력이 가능하며 외부 충격에 강하지만 가격이 비쌉니다.
-
3. DRAM(동적 램)DRAM은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주기억 장치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약 70%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콘덴서로 구성되어 일정 시간마다 주기적인 재충전이 필요한 휘발성 메모리입니다. 가격이 저렴하고 CPU의 연산 작업을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으며, 낸드플래시보다 1만 배 빠른 속도를 자랑합니다. 병렬로 연결하면 CPU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충분히 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
4.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메모리 반도체에서 많이 사용되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입니다. 한 번 저장된 내용은 전원이 없어도 약 10년간 유지되며, 약 20V의 전압으로 지울 수 있습니다. 크기를 작게 만들 수 있어 여러 영상을 저장할 수 있지만 저장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삼성전자가 개발한 14나노 평면형 낸드플래시는 플로팅게이트 크기를 12.5% 줄여 생산 원가를 감소시켰으며, 평면형 낸드플래시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사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
1. 주기억 장치(Primary Memory)주기억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 구성 요소로서 CPU가 직접 접근할 수 있는 고속 메모리입니다. RAM과 캐시 메모리로 구성되며, 프로그램 실행 중 필요한 데이터와 명령어를 임시로 저장합니다. 속도가 매우 빠르지만 전원이 꺼지면 데이터가 소실되는 휘발성 특성을 가집니다. 현대 컴퓨팅에서 시스템 성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용량이 클수록 멀티태스킹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유리합니다. 가격이 비싼 편이지만 필수적인 하드웨어 자원입니다.
-
2. 보조기억 장치(Secondary Memory)보조기억 장치는 대용량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로, HDD와 SSD가 주요 예입니다. 주기억 장치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용량이 크고 전원 차단 후에도 데이터가 유지됩니다. 운영체제, 응용프로그램, 사용자 파일 등을 저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최근 SSD의 보급으로 접근 속도가 크게 개선되었으며, 클라우드 스토리지의 발전으로 저장 방식도 다양화되고 있습니다. 데이터 보안과 백업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
3. DRAM(동적 램)DRAM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주기억 장치 기술로, 축전기에 전하를 저장하여 데이터를 표현합니다.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높은 집적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다만 주기적인 리프레시가 필요하고 전원 공급이 중단되면 데이터가 소실됩니다. 지속적인 기술 발전으로 용량과 속도가 향상되고 있으며, DDR4, DDR5 등 새로운 표준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게이밍, 영상 편집, 데이터 분석 등 고성능 작업에 필수적인 컴포넌트입니다.
-
4.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현대 SSD의 핵심 기술로, 전자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전원 없이도 정보를 유지합니다. 높은 저장 밀도, 빠른 읽기 속도, 낮은 전력 소비가 장점입니다. 스마트폰, 태블릿, USB 드라이브 등 다양한 기기에 사용되며, 기술 발전으로 용량이 증가하고 가격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다만 쓰기 횟수 제한과 수명 문제가 있으며, 대용량 저장에는 여전히 비용이 높은 편입니다. 미래 데이터 저장 기술의 중심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임베디드 시스템 개요 4페이지
임베디드 시스템 개요- PC는 범용 목적의 컴퓨터. 임베디드 시스템은 특정제품이나 솔루션에서 특화, 전용화 되어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주어진 작업을 수행하도록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설계. 자동차, 항공기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제품에 내장되어 시스템을 제어하고, 특정 목적을 수행- 개인적 경험. 샤오미 창업자, 레이쥔은 중국판 아래한글을 개발했음. 태풍앞에서는 돼지도 난다는 걸 깨닫고 모바일로 전환(태풍이 모바일). 이후 폰에 집어넣을 ROM 개발했다는 발언. ROM(read only memory; 고정기억장치)이 embedded S...2021.08.05· 4페이지 -
컴퓨터활용능력 2급 필기 요약 정리 7페이지
문자데이터 표현하는 코드- EBCDIC, Unicode, ASCⅡ/ Parity Bit 는 에러 검출 코드[작업관리자]에서 설명할 수 있는 작업- 작업끝내기를 종료할 수 있다.- 현재 실행중인 프로세스와 프로세스에서 실행되는 서비스를 볼 수 있다.- CPU 사용정도와 CPU 사용 현황을 확인할 수 있다.* 실행중인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순서는 변경x, 우선순위는 변경o[포맷]창에서 설정 가능한 항목- 용량 - 볼륨레이블입력- 파일 시스템 선택 - 빠른 포맷 설정- 할당단위크기멀티미디어 특징- 멀티미디어는 단방향x > 쌍 양방향, 비선...2021.01.09· 7페이지 -
[경영정보론] 스마트 워치(연동형 스마트 워치 중심으로) - 스마트 워치의 정의와 발전 과정 및 시장 현황, 스마트 워치의 강점과 약점, 스마트 워치 기술 응용분야와 대표적 기업 및 발전 방향 11페이지
스마트 워치(연동형 스마트 워치 중심으로)목차1. 스마트 워치 정의2. 스마트 워치 기술 성숙도 및 관련 시장에서의 현황3. 기술의 강점과 약점4. 기술 응용분야 및 대표적 기업5. 관련시장의 변화6. 기술의 진화 및 발전 방향1. 스마트 워치 정의스마트워치는 일반 시계보다 향상된 기능들을 장착하고 있는 임베디드 시스템 손목 시계를 말한다. 스마트워치는 크게 연동형 스마트워치와 단독형 스마트워치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카메라, 가속도계, 온도계, 고도계, 기압계, 나침반, 크로노그래프, 계산기, 휴대 전화, 터치스크린,...2017.02.11· 11페이지 -
컴퓨터 시스템 중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13페이지
Ⅰ. 서 론 ------------------------------------ 03Ⅱ. 컴퓨터 시스템의 하드웨어의 정의 ------------------- 04Ⅲ. 직렬처리방식 ---------------------------------- 051. 직렬처리방식의 정의 및 특징2. 직렬처리방식 하드웨어의 종류Ⅳ. 병렬처리방식 ----------------------------------- 061. 병렬처리방식의 정의 및 특징2. 병렬처리기법의 분류Ⅴ.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종류 -------------------------- 111. ...2009.10.16· 13페이지 -
[영재교육과정][영재]영재의 개념, 영재의 특성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념, 영재교육과정의 당위성, 영재교육과정의 현황, 영재교육과정의 개발운영, 영재교육과정의 교육기관 및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분석 15페이지
영재의 개념, 영재의 특성과 영재교육과정의 개념, 영재교육과정의 당위성, 영재교육과정의 현황, 영재교육과정의 개발운영, 영재교육과정의 교육기관 및 향후 영재교육과정의 제고 방안 분석Ⅰ. 서론Ⅱ. 영재의 개념1. 인지적 측면2. 정의적 측면Ⅲ. 영재의 특성Ⅳ. 영재교육과정의 개념1. 미국 교육부(USOE, 1976)의 이론2. Virgil Ward(1961)의 이론Ⅴ. 영재교육과정의 당위성Ⅵ. 영재교육과정의 현황1. 속진 학습2. 심화 학습Ⅶ. 영재교육과정의 개발운영1. 영재교육과정의 특성과 개발 원리2. 영재 교수?학습 자료의 개발...2011.03.30·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