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파민경로와 항정신병 약물의 작용 메커니즘
본 내용은
"
도파민경로 4wa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4
문서 내 토픽
-
1. 흑질선조체 경로(Nigrostriatal Pathway)흑질선조체 경로는 흑색질에서 기저신경절로 연결되며, 운동기능, 움직임 조절, 기분조절, 환각, 쾌감, 동기부여 등을 담당합니다. 항정신병 약물에 의해 이 경로의 도파민이 차단되면 파킨슨 증후군, 추체외로 증상, 지연성 운동장애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게 됩니다.
-
2. 중변연계 경로(Mesolimbic Pathway)중뇌 뇌실개(VTA)에서 변연계의 측중격핵(nucleus accumbens)으로 연결되는 경로로, 기쁨과 약물남용으로 인한 강한 쾌감과 연관이 있습니다. 이 경로의 도파민 차단은 조현병의 양성 반응과 관련되어 정신기능 왜곡, 와해된 언어, 환청, 망상, 불안 등의 과도한 반응을 일으킵니다.
-
3. 중피질계 경로(Mesocortical Pathway)중뇌 뇌실개(VTA)에서 대뇌피질까지 연결되는 경로로, 조현병의 음성증상 및 인지적 영향과 연관이 있습니다. 도파민 차단 시 감정표현 감소, 감정둔화, 기억력 감소, 의욕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됩니다.
-
4. 결절누부두 경로(Tuberoinfundibular Pathway)시상하부에서 시작되어 뇌 전엽으로 연결되는 경로로, 프로락틴 분비를 억제하는 기능을 합니다. 항정신병 약물로 인해 이 경로의 도파민이 억제되면 프로락틴이 증가하여 여성의 무월경, 남성의 유즙분비 등의 부작용이 발생합니다.
-
1. 흑질선조체 경로(Nigrostriatal Pathway)흑질선조체 경로는 도파민 신경계에서 가장 잘 알려진 경로 중 하나이며, 운동 제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이 경로의 도파민 뉴런이 손상되면 파킨슨병과 같은 운동 장애가 발생하는데, 이는 이 경로의 중요성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흑질의 도파민 뉴런이 선조체로 투사되어 운동 계획과 실행을 조절하는 이 메커니즘은 신경과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모델이 되었습니다. 파킨슨병 치료법 개발에 있어서도 이 경로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며, 도파민 대체 요법이나 심부 뇌 자극 같은 치료법들이 이 경로를 표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흑질선조체 경로는 신경퇴행성 질환 연구와 치료 개발에 있어 가장 중요한 도파민 경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
2. 중변연계 경로(Mesolimbic Pathway)중변연계 경로는 보상과 동기 부여 시스템의 핵심을 담당하는 도파민 경로로, 인간의 행동 동기와 쾌감 반응을 조절합니다. 이 경로는 약물 중독, 도박 중독 등 중독 질환의 신경생물학적 기초를 이루고 있어 중독 연구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정신분열증과 같은 정신질환에서 도파민 과활동이 이 경로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보상 학습과 강화 학습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도 중변연계 경로의 역할은 필수적입니다. 이 경로에 대한 연구는 중독 치료법 개발과 정신질환 치료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3. 중피질계 경로(Mesocortical Pathway)중피질계 경로는 인지 기능, 의사결정, 감정 조절 등 고등 뇌 기능을 담당하는 도파민 경로입니다. 이 경로의 도파민 기능 저하는 정신분열증의 음성 증상과 인지 결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의 신경생물학적 기초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전전두엽 피질로의 도파민 투사는 작업 기억, 계획 수립, 충동 제어 등 실행 기능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중피질계 경로에 대한 이해는 인지 장애와 정신질환의 치료법 개발에 매우 중요하며, 특히 정신분열증의 음성 증상 치료에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
4. 결절누부두 경로(Tuberoinfundibular Pathway)결절누부두 경로는 도파민이 신경내분비 조절에 사용되는 유일한 경로로,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특히 프로락틴 억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경로는 다른 도파민 경로들과 달리 신경전달이 아닌 호르몬 조절 기능을 수행하며, 생식 기능, 유즙 분비, 스트레스 반응 등을 조절합니다. 항정신병약물이 이 경로의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면 프로락틴 상승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합니다. 결절누부두 경로에 대한 이해는 내분비 질환과 약물 부작용 관리에 필수적이며, 더 선택적인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생명과학] 의학 85가지 세특 주제와 예시(간호학과)(의예과)(수의예과)(치의예과)(한의예과) 30페이지
그림입니다.원본 그림의 이름: 제목을-입력해주세요_-008.jpg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2480pixel, 세로 3508pixel1. 호르몬의 종류와 역할을 정리하고 탐구학년(2)교과(과학)과목(생명과학)『세부 능력 및 특기 사항』내분비계의 복잡한 조절 메커니즘에 흥미를 느껴 호르몬의 종류와 역할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탐구함. 인슐린, 아드레날린, 성장호르몬, 갑상선호르몬, 성호르몬 등 주요 호르몬의 분비 기관과 표적 기관을 도식화하여 발표함. 특히 스트레스 상황에서 아드레날린이 심박수와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 자료를 ...2025.08.15· 30페이지 -
조현병의 정의와 간호 11페이지
1. 조현병의 정의조현병(정신분열병 : schizophrenia)은 개인이 정보를 지각하고 처리하는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뇌기능장애로 인지, 지각, 감정, 행동, 사회영역 즉 인간관계장애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정신병으로 세계 10대 질환 중 한가지이다. (WHO)2. 조현병의 원인1. 생물학적 요인a. 유전학 : 연구결과에 따르면1) 개인이 가족(부모, 형제, 친척)력을 가지고 있을 경우(일반 인구에서 조현병이 발병할 위험은 평생 1%인 반면, 조현병 대상자의 형제자매 또는 자녀에게서는 각각 5%와 10%의 발병위험이 있다. (An...2020.04.07· 11페이지 -
정신위생 보완대체요법 8페이지
보완대체요법보완대체요법(CAM, compli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은 생물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을 양상을 포함하는 전인간호에 초점을 맞춘 넓은 범위의 치료 철학, 접근법, 요법을 기술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이다.보완대체요법은 종종 독자적으로 사용되거나(대체요법) 다른 보완대체요법과 결합하여 사용되거나, 다른 전통 치료법과 함께 사용(보완요법 혹은 통합요법)된다.미 국립 보완대체의학연구소(NCCAM)는 보완대체요법 종합의료체계를 5가지 영역의 범주로 정하고, 생물학적 기반요법, 에너지 요법,...2014.06.01· 8페이지 -
걷기와 우울증의 관계 8페이지
걷기와 우울증의 관계걷기 운동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모두에게 잘 알려진 사실이다. 걷기는 비만,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의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나 우울증 등의 정신 건강에도 좋은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렇다면 걷기가 정신 건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최근 우울증이라는 정신 장애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나 일각에서는 몇 해 전 여배우 이은주의 자살 뒤 자살률이 하루 평균 0.84명에서 2.13명으로 늘어났다는 통계로 ‘베르테르 현상’(자살연쇄 반응...2009.12.08· 8페이지 -
[의학]신경전달물질 5페이지
신경전달물질 (neurotransmitter)1. 신경전달물질의 정의- 신경전달물질은 신경세포나 근육에 정보를 전달하는 물질로 뉴런의 세포질에서 합성되며, 이러한 합성은 음식섭취나 약물복용과 같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보통 신경전막(神經前幕) 부근에 있는 400∼500A의 시냅스과립(synaptic vesicle) 속에 고농도로 축적되어 있다.신경으로부터의 전기적 자극이 신경섬유를 지나 신경종말부에 이르면 시냅스과립의 어떤 것은 그 내용물을 소량(素量;일정수의 분자의 덩어리)으로서 시냅스 틈에 방출한다. 이 과정에는...2005.10.16· 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