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학 중간·기말 요점정리: 세균 및 바이러스
본 내용은
"
미생물학 중간, 기말 요점정리 A+ 받은자료 의학교육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3
문서 내 토픽
-
1. 그람양성 구균 (Gram-positive Cocci)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피부, 코, 장에 상주하며 고름염증, 물집고름딱지증, 독성쇼크증후군을 일으킨다. 화농연쇄상구균(Streptococcus pyogenes)은 인두염, 편도염, 농가진, 성홍열을 유발하며 전격형 감염은 높은 치사율을 보인다. 폐렴사슬알균(Streptococcus pneumoniae)은 폐렴, 중이염, 부비강염을 일으키며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다.
-
2. 그람음성 막대균 (Gram-negative Rods)병원성 대장균(E. coli)은 EPEC, ETEC, EIEC, EHEC 등으로 분류되며 설사, 혈변, 용혈요독증후군을 유발한다. 살모넬라균은 오염된 음식을 통해 경구감염되어 급성 위장염을 일으킨다. 클레브시엘라 폐렴막대균은 요로감염, 호흡기감염, 패혈증을 유발한다. 콜레라균과 장염 비브리오균은 심한 물설사를 일으키는 식중독의 원인이다.
-
3. 호흡기 감염 세균 (Respiratory Pathogens)인플루엔자균(Haemophilus influenzae) b형은 영유아에게 폐렴, 수막염, 패혈증을 일으키며 Hib백신으로 예방된다.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은 기침발작과 쌕쌕거림을 주요 증상으로 하며 DTP 백신으로 예방 가능하다. 레지오넬라 뉴모필라는 레지오넬라 폐렴과 폰티악열을 일으킨다.
-
4. 성매개감염병 세균 (Sexually Transmitted Bacteria)임균(Neisseria gonorrhoeae)은 요도염, 자궁목관염을 일으키며 혈류 감염 시 파종성 임균 감염병(DGI)을 유발한다. 매독균(Treponema pallidum)은 4개 병기로 진행하며 태아 수직감염으로 선천매독을 일으킨다. 트라코마 클라미디아(Chlamydia trachomatis)는 요도염, 결막염, 부속기염을 유발하는 가장 흔한 성매개병 원인균이다.
-
5. 항산균 (Acid-fast Bacilli)결핵균(Mycobacterium tuberculosis)은 공기감염으로 전파되며 1차 결핵과 2차 결핵으로 나뉜다. 4제 항결핵제로 2개월, 2제로 4개월 치료한다. 나병균(Mycobacterium leprae)은 수~수십년의 잠복기를 거쳐 한센병을 일으키며 다제병용요법(MDT)으로 치료한다. BCG 백신으로 결핵 예방이 가능하다.
-
6. 혐기성 및 기회감염 세균 (Anaerobes and Opportunistic Pathogens)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면역저하 환자에게 폐렴, 요로감염, 패혈증을 일으키는 기회감염균이다. 액티노마이시스속은 방선균증을 일으키며 고름집에서 방사상 형태를 보인다. 노카르디아속은 만성 화농성 육아종염증을 일으키며 뇌에 친화성이 있어 중추신경 합병증을 유발한다.
-
7. 벡터 매개 세균 (Vector-borne Bacteria)페스트균(Yersinia pestis)은 벼룩이 매개하여 샘페스트와 허파페스트를 일으킨다. 라임병 보렐리아(Borrelia burgdorferi)는 참진드기에 물려 이동홍반, 관절염, 신경계 질환을 유발한다. 쯔쯔가무시병 원인균(Orientia tsutsugamushi)은 진드기 흡혈 시 체내 침입하여 열성 발진성 질환을 일으킨다.
-
8. 정상 상재균 (Normal Flora)비피도박테륨속은 대장의 상재균으로 산성 환경을 만들어 병원균 번식을 억제하며 영유아에서 우세한 균이다. 락토바실루스속은 유산균으로 입, 장, 질에 상주하며 젖산 생성으로 pH를 산성으로 유지하여 감염을 방지한다.
-
9. 기타 중요 병원균 (Other Important Pathogens)탄저균(Bacillus anthracis)은 코흐가 처음 순수배양한 균으로 편모가 없고 아포를 형성한다. 디프테리아균(Corynebacterium diphtheriae)은 거짓막을 형성하고 신경마비를 야기하는 디프테리아독소를 생산한다. 리스테리아증은 인수공통 식품매개성 감염병으로 고령자와 임산부에서 중증화 위험이 높다.
-
10. 비세균성 병원체 (Non-bacterial Pathogens)폐렴미코플라스마(Mycoplasma pneumoniae)는 사람에게만 서식하며 지역감염폐렴의 20~30%를 차지한다. 리케차 프로바체키(Rickettsia prowazekii)는 발진티푸스의 병원체이다. 렙토스피라속은 인수공통감염병의 원인균으로 오염된 물이나 토양을 통해 감염된다.
-
1. 그람양성 구균 (Gram-positive Cocci)그람양성 구균은 임상 미생물학에서 가장 중요한 병원균 중 하나입니다. 특히 포도상구균과 연쇄상구균은 피부감염, 폐렴, 패혈증 등 다양한 질환을 유발합니다.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의 증가는 항생제 내성 문제를 심화시키고 있어 감시와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이들 균의 병원성 기전 이해와 신속한 동정은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매우 중요하며, 지속적인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감염 관리 프로토콜 준수가 필요합니다.
-
2. 그람음성 막대균 (Gram-negative Rods)그람음성 막대균은 장내세균과 비발효균을 포함하여 병원 감염의 주요 원인입니다. 특히 대장균, 클렙시엘라, 슈도모나스 등은 요로감염, 복강내감염, 패혈증을 유발합니다. 광범위 항생제 내성균의 출현으로 인해 치료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습니다. 정확한 동정과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한 표적 치료가 중요하며, 감염 예방과 항생제 적절 사용이 필수적입니다.
-
3. 호흡기 감염 세균 (Respiratory Pathogens)호흡기 감염 세균은 폐렴, 기관지염 등 상당한 이환율과 사망률을 초래합니다. 폐렴구균,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마이코플라즈마 등이 주요 병원균입니다. 백신 접종과 항생제 내성 감시가 중요한 공중보건 과제입니다. 임상 증상과 영상 소견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므로 미생물학적 검사가 필수적이며, 경험적 항생제 치료와 배양 결과에 따른 치료 조정이 필요합니다.
-
4. 성매개감염병 세균 (Sexually Transmitted Bacteria)성매개감염병 세균은 임질균과 매독 스피로헤타 등으로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공중보건 문제입니다. 항생제 내성의 증가로 인해 치료 옵션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그리고 성 파트너 추적이 질병 확산 방지에 필수적입니다. 예방 교육과 안전한 성 관행 홍보가 감염률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5. 항산균 (Acid-fast Bacilli)항산균, 특히 결핵균은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감염병입니다. 다제내성 결핵의 증가는 치료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신속한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적 검사의 도입이 중요합니다. 장기간의 항결핵제 치료와 환자 순응도 관리가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공중보건 차원의 감시와 접촉자 추적, 그리고 예방 치료가 질병 통제에 필수적입니다.
-
6. 혐기성 및 기회감염 세균 (Anaerobes and Opportunistic Pathogens)혐기성 세균과 기회감염 병원균은 면역 저하 환자에서 심각한 감염을 유발합니다. 정확한 표본 채취와 배양 기법이 동정에 중요합니다. 이들 균은 종종 다제내성을 보이므로 항생제 감수성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기저 질환 관리와 면역 기능 회복이 감염 치료의 중요한 부분이며, 예방적 항생제 사용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
7. 벡터 매개 세균 (Vector-borne Bacteria)벡터 매개 세균 감염은 지리적 분포와 계절성을 보이며 공중보건상 중요합니다. 라임병, 렙토스피라증, 리케차 감염 등이 주요 질환입니다. 벡터 관리와 개인 보호가 예방의 핵심입니다. 임상 의심과 혈청학적 검사를 통한 조기 진단이 중요하며, 항생제 치료의 시기가 예후에 영향을 미칩니다. 지역 역학 정보 파악이 진단에 도움이 됩니다.
-
8. 정상 상재균 (Normal Flora)정상 상재균은 숙주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은 병원성 미생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면역 체계 발달을 돕습니다. 항생제 사용은 정상 상재균을 파괴하여 기회감염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정상 상재균과 병원균의 구별은 임상 해석에 중요합니다. 프로바이오틱스와 같은 정상 상재균 보존 전략이 감염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9. 기타 중요 병원균 (Other Important Pathogens)이 범주의 병원균들은 특정 임상 상황에서 중요한 감염을 유발합니다. 각 균의 특성과 병원성 기전을 이해하는 것이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신종 병원균의 출현과 기존 균의 항생제 내성 증가는 지속적인 감시와 연구를 요구합니다. 임상 미생물학 검사실의 역량 강화와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합니다.
-
10. 비세균성 병원체 (Non-bacterial Pathogens)비세균성 병원체인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은 감염병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각 병원체의 특성에 맞는 진단 방법과 치료 전략이 필요합니다. 항바이러스제와 항진균제의 내성 증가도 주요 관심사입니다. 감염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과 위생 관리가 중요합니다. 다양한 병원체에 대한 통합적 감시 체계 구축이 공중보건 강화에 필수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