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직업 표현 학습을 위한 과업 기반 영어 공개수업 지도안
본 내용은
"
[수업지도안] 수업 방법 개선 연구 교사 영어 공개수업 지도안 예시입니다. 단원 <My father is a pilot> 주제 학생들은 자신의 직업에 관해 묻고 답할 수 있다. 학생들은 직업 이름을 주제로 게임을 할 수 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12
문서 내 토픽
  • 1. 과업 기반 교수법(Task-Based Teaching)
    과업 기반 교수법은 학습자 중심의 접근방법으로, 학생들이 목표언어의 언어 요소 자체보다는 목표언어를 사용해서 달성해야 할 과업을 중심으로 학습한다. 정보 차 활동(information gap)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상호 활동하면서 진정한 의사소통에 접근할 수 있다. 교사는 학습의 촉진자이며, 학생은 능동적 참여자로서 소집단별 활동을 통해 언어를 총체적으로 사용하게 된다.
  • 2. 직업 표현 학습 단원(My father is a pilot)
    6학년 영어 7단원으로, 직업에 관하여 묻고 대답하는 표현을 학습한다. 의사소통 기능은 사실적 정보와 사실 묘사이며, 주요 표현은 'Does your mother work? She's a teacher.'이다. 어휘는 doctor, driver, officer, pilot, police, singer, work 등을 포함하며, 학생들이 자신의 직업에 관해 묻고 답할 수 있고 직업 이름을 주제로 게임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3. Information Gap 활동
    정보 차 활동은 두 사람 간의 정보에 공백을 만들어 정보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학생들이 스스로 생각하고 상대방의 정보를 활용하도록 하는 활동이다. 본 수업에서는 서로 다른 내용의 학습지를 보면서 짝과 함께 묻고 대답하며 여러 사람의 장래희망을 정리하고, 암기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장을 읽는 게임을 수행한다.
  • 4. 초등 영어 교수학습 평가
    평가는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관찰법과 평가지를 활용한다. 학생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종합적으로 관찰하되 심리적 부담감을 줄이고, 유창성에 초점을 두며, 참여 의지와 적극성, 이해와 표현 정도를 평가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과업 기반 교수법(Task-Based Teaching)
    과업 기반 교수법은 학생들이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언어를 사용하도록 유도하는 효과적인 교수 방법입니다. 이 접근법은 문법 규칙의 암기보다는 실제 과업 수행을 통해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게 합니다. 학생들이 구체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력하면서 동기부여가 높아지고, 언어 사용의 맥락이 명확해집니다. 특히 초등학생들에게는 게임, 프로젝트, 문제 해결 활동 등 다양한 과업을 통해 영어 학습을 재미있고 의미 있게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교사의 충분한 준비와 학생 수준에 맞는 과업 설계가 중요하며, 모든 학생이 동등하게 참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필수적입니다.
  • 2. 직업 표현 학습 단원(My father is a pilot)
    직업 표현 학습은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주제로, 가족 구성원의 직업을 통해 실용적인 영어 표현을 배울 수 있습니다. 이 단원은 be 동사의 사용, 직업 관련 어휘, 그리고 간단한 문장 구조를 자연스럽게 습득하게 합니다. 학생들이 자신의 가족 배경을 소개하면서 개인적 연결고리를 만들 수 있어 학습 동기가 높아집니다. 다양한 직업을 소개함으로써 학생들의 진로 인식도 확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학생이 가족 구성원을 가지고 있지 않을 수 있으므로, 포용적인 수업 설계와 다양한 표현 방식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Information Gap 활동
    Information Gap 활동은 학생들 간의 정보 차이를 이용하여 실제 의사소통의 필요성을 만드는 매우 효과적인 교수 전략입니다. 한 학생이 가진 정보를 다른 학생이 얻기 위해 질문하고 답변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언어 상호작용이 일어납니다. 이 활동은 학생들의 청취 능력과 표현 능력을 동시에 발달시키며, 실제 의사소통 상황을 모방합니다. 특히 초등학생들에게는 그림 맞추기, 숨겨진 물건 찾기 등 시각적이고 재미있는 형태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명확한 지시사항과 충분한 어휘 제시가 필요하며, 학생들의 수준 차이를 고려한 과제 설계가 성공의 핵심입니다.
  • 4. 초등 영어 교수학습 평가
    초등 영어 교수학습 평가는 학생의 종합적인 언어 능력을 파악하고 학습을 지원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초등 단계에서는 지필 평가보다는 관찰, 포트폴리오, 수행 평가 등 다양한 형태의 평가가 더 적절합니다. 학생들의 자신감과 학습 동기를 유지하기 위해 형성평가에 중점을 두고, 피드백은 격려적이고 구체적이어야 합니다. 평가 결과는 학생의 강점을 인정하고 개선 영역을 지원하는 데 활용되어야 합니다. 또한 학생 자신이 자신의 학습을 평가하는 자기평가 기회를 제공하여 메타인지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평가가 학습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학생의 진정한 영어 능력을 파악할 수 있는 균형 잡힌 평가 체계 구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