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의 성장 잠재력 증대 요인 및 물류 중심 현황 분석
문서 내 토픽
  • 1. 인구 대국 인도
    인도는 2023년 중국을 추월하고 세계 1위의 인구 대국으로 부상했습니다. 인도의 인구는 14억 1,700만 명으로 중국(14억 1,175만 명)을 넘어섰으며, 2050년에는 인구가 16억 6,800만 명에 달해 고령화로 인구가 감소하는 중국(13억 1,700만 명)을 크게 앞서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풍부한 젊은 노동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진정한 대국으로 부상할 수 있을지 결정될 것입니다.
  • 2. 글로벌 공급망 재편
    미-중 갈등, 팬데믹 등으로 공급망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생산 기지를 중국 이외 국가로 다변화하는 움직임이 나타나면서 인도 내 생산물량을 확대하려는 기업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애플의 위탁생산업체 Foxconn은 2년 내에 인도 iPhone 공장의 인력 4배 확대를 계획하고 있으며, 인도 정부는 중국으로부터 생산시설을 이전하려는 기업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3. 인도 정부의 제조업 육성책
    모디 정부는 인도 제조업 육성을 위한 'Make In India'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을 2014년 15%에서 2022년 25%(1조 달러)까지 늘리고, 1억 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인도 제조업 육성을 도모하고 있으며, 특히 생산 연계 인센티브(PLI) 제도를 통해 애플, HP 등 글로벌 기업의 인도 생산 기지 확대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글로벌 공급망 재편
    최근 코로나19 팬데믹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해 글로벌 공급망이 크게 교란되면서 세계 경제에 큰 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각국 정부와 기업들은 공급망의 안정성과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주요 방향은 공급원의 다변화, 핵심 부품의 국내 생산 확대, 공급망 디지털화 등입니다. 또한 지정학적 리스크를 낮추기 위해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동남아시아, 인도 등 다른 지역으로 공급망을 재편하려는 움직임도 있습니다. 이러한 공급망 재편은 단기적으로 비용 증가와 생산성 저하 등의 부작용이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급망의 안정성과 회복력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만 이 과정에서 각국 간 무역 마찰과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의 부작용도 우려되므로, 국제 협력을 통한 균형 있는 접근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
2024 인도 현황 조사 보고 - 인도의 성장 잠재력 증대 요인 및 물류 중심 현황 분석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2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