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 황달의 간호사례 및 광선요법 관리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황달 간호사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9
문서 내 토픽
-
1. 신생아 황달의 진단 및 검사생후 6일째 황달 증상을 보인 신생아 사례에서 Total Bilirubin 19.8mg/dL로 측정되었다. 모유 황달의 확진을 위해 모유 수유 중단 후 빌리루빈 수치 변화를 관찰하고, 말초혈액 도말검사, G6PD 검사, 혈색소 및 망상적혈구 수 검사를 통해 적혈구 이상을 확인한다. 감염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WBC, CRP, ESR, 세균 배양 검사, 소변 검사를 시행하며, 간 기능 저하를 평가하기 위해 간 초음파 검사와 간 효소치 검사를 진행한다.
-
2. 광선요법의 간호 문제 및 관리광선요법 시 발생 가능한 간호 문제로는 고체온, 피부 손상, 안구 손상, 설사, 탈수, 영양 부족, 청동색아기증후군, 반동효과가 있다. 보육기 온도와 신생아 체온을 2시간마다 확인하고, 2시간마다 체위 변경으로 피부 손상을 예방한다. 안대를 4~6시간마다 확인하고 8시간마다 교환하며, 수유 시에는 안대를 제거한다. 설사로 인한 피부 자극 방지와 탈수 예방을 위해 4시간마다 I/O를 기록한다.
-
3. 모유 황달의 원인 및 특징모유 황달은 생후 1주일 이후에 나타나는 생리적 황달로, glucuronyl transferase의 결합 작용을 방해하는 요소로 인해 발생한다. 모유 수유아가 배변하지 않으면 대변의 빌리루빈이 체내로 재흡수되어 황달이 발생할 수 있다. 모유 수유 중단 후 빌리루빈 수치가 급격히 감소하고 재개 후 증가하지 않으면 모유 황달로 진단된다.
-
4. 신생아 황달의 감별 진단신생아 황달의 원인으로는 모유 황달, 적혈구 비정상 파괴, 감염, 간 기능 저하, 담관 폐쇄 등이 있다. 적혈구 이상은 G6PD 결핍, 유전성구상 적혈구모세포증 등 유전적 요인으로 발생하며 가족력 사정이 필요하다. 감염은 선천성 감염 질환, 신생아 패혈증, 선천성 매독, 톡소플라즈마, 거대세포 바이러스 감염 등을 포함한다. 담관 폐쇄는 선천성 기형, 암, 결석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
-
1. 신생아 황달의 진단 및 검사신생아 황달의 진단은 임상적 관찰과 객관적 검사의 조합이 필수적입니다. 피부와 공막의 황변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중요하지만 주관적이므로, 경피 빌리루빈 측정기와 혈청 빌리루빈 검사를 통한 객관적 평가가 필수입니다. 특히 생후 연령에 따른 치료 기준선을 고려하여 위험도를 판단해야 합니다. 용혈성 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직접 쿰스 검사, 혈액형 검사, 망상적혈구 수 등의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조기 진단과 적절한 검사를 통해 심각한 합병증인 핵황달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모든 신생아에 대한 체계적인 황달 선별검사 프로토콜의 확립이 중요합니다.
-
2. 광선요법의 간호 문제 및 관리광선요법은 신생아 황달의 주요 치료법으로서 효과적이지만 여러 간호 문제를 야기합니다. 광선요법 중 신생아의 체온 유지가 중요한데, 과열이나 저체온증을 예방하기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눈 보호를 위한 안대 착용은 필수이며, 피부 손상 예방을 위해 정기적인 체위 변경이 요구됩니다. 광선요법 중 수분 손실이 증가하므로 적절한 수유와 수분 공급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모유 수유 중단으로 인한 수유 곤란, 부모의 불안감 증가 등 심리사회적 문제도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면서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간호의 핵심입니다.
-
3. 모유 황달의 원인 및 특징모유 황달은 모유 수유와 관련된 흔한 생리적 현상으로, 모유 섭취 부족으로 인한 장내 빌리루빈 재흡수 증가가 주요 원인입니다. 초기 모유 황달은 생후 3-5일에 나타나며 모유 수유 빈도 증가로 개선됩니다. 반면 모유 성분 황달은 모유의 특정 성분이 빌리루빈 재흡수를 촉진하여 발생하며,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습니다. 모유 황달의 특징은 일반적으로 생리적 범위 내에서 진행되지만, 개별 신생아의 위험 요인을 고려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모유 수유의 이점을 고려하면서도 적절한 수유 기술 교육과 수유 빈도 증가를 통해 황달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신생아 황달의 감별 진단신생아 황달의 감별 진단은 생리적 황달과 병리적 황달을 구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생후 24시간 이내의 황달, 급속한 빌리루빈 상승, 직접 빌리루빈 상승은 병리적 원인을 시사합니다. 용혈성 질환, 감염, 갑상선 기능 저하증, 담도 폐쇄 등 다양한 원인을 감별하기 위해 임상 병력, 신체 검진, 실험실 검사가 필요합니다. 혈액형 부적합, 적혈구 효소 결핍증, 대사 질환 등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직접 빌리루빈이 상승한 경우 담도 폐쇄나 신생아 간염 등 심각한 질환의 가능성을 배제해야 합니다. 체계적인 감별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결정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아동간호학실습case (신생아 황달) A+ 간호진단4개, 과정2개1.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생후 2~3일 정도에 정상적으로 나타나지만 일주일 이내로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하지만 이것이 심해지면 신생아에게 치명적이다. 신생아 황달은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관찰될 정도로 신생아기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다. 이렇게 병리적인 황달일 경우 신생아에게 심각하기 때문에 자연황달과 병리적 황달을 명확히 구...2025.05.11 · 의학/약학
-
신생아 황달1.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의 피부와 점막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으로, 주로 빌리루빈 수치 증가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 사례에서는 재태기간 34주 1일의 신생아가 출생 후 피부가 노랗게 변하고 잘 먹지 않아 응급실을 거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였습니다. 입원 3일째 총 빌리루빈 수치가 16.20mg/dl로 확인되었고, 광선요법을 받고 있습니다. ...2025.01.03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 실습 황달 케이스 스터디1.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신생아기에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질환이지만 대부분이 양성의 결과를 나타낸다. 그러나 심한 간접 황달을 치료하지 않는 경우 신경계에 손상을 주며, 심각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황달을 일으키는 물질은 혈중 빌리루빈이라는 물질로 이는 대부분 적혈구가 파괴되어서 만들어진다. 생성된 빌리루빈은 간에서 대사되어 담즙으로 배설되게 ...2025.05.10 · 의학/약학
-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1.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신생아 황달은 생후 2~3일 정도에 정상적으로 나타나지만 일주일 이내로 자연적으로 사라진다. 하지만 이것이 심해지면 신생아에게 위험하다. 신생아 황달은 만삭아의 60%, 미숙아의 80%에서 볼 수 있는 흔하게 나타나고 동양인에서 많이 관찰되고 있다. 병리적인 황달일 경우 신생아에게 심각하기 때문에 자연황달과 병리적 황달을 명확히 ...2025.05.04 · 의학/약학
-
신생아 황달 및 저칼슘혈증 간호사례 연구1.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 신생아 황달은 혈액 내 빌리루빈 수치 상승으로 피부, 공막, 손톱이 노란색으로 변하는 질환이다. 빌리루빈은 적혈구 파괴로 생기는 헤모글로빈의 분해산물로, 간에서 포합형으로 변환되어 대변으로 배출된다. 신생아에게 흔하며 생리적 황달, 모유수유 관련 황달, 병리적 황달(용혈성 황달) 등으로 분류된다. 혈청빌리...2025.11.15 · 의학/약학
-
[A+인증o/고위험 신생아] 신생아 황달 케이스1. 신생아 황달 신생아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증가하여 피부에 빌리루빈이 축적되어 신생아의 피부와 눈 흰자위의 색이 노랗게 변하는 것을 말한다. 황달이 발생하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출생 직후의 신생아에서 나타나는 황달은 성인의 황달과는 다르다. 치료 역시 차이가 크게 나기 때문에 별도로 '신생아 황달'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신생아 ...2025.01.20 · 의학/약학
-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 황달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2개 ] 23페이지
신생아실 사례보고서-Case Study--Neonatal Jaundice-▶ 실습기간 : 2018.10.26.~2018.11.06.▶ 실습장소 : 000병원 신생아실/신생아중환자실1. 환아의 일반적 사항성명○○○ 아기출생일2018.10.25. 09:20성별남재태연령39+2주진단명Neonatal Jaundice체중출생시 3250g내원시 3010g건강문제? skin color : icteric, jaundice? newborn rash (+) : 미간, 볼, 목, 왼쪽 옆구리, 엉덩이 위쪽? cord 냄새 심함? 10/26부터 5일 동...2021.03.13· 23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2 저널리뷰_아기마사지가 광선요법을 받는 황달 신생아의 경피 빌리루빈치, 수유와 배설에 미치는 영향_A+ 6페이지
아동 간호학Journal Review Report● 논문명 : 아기마사지가 광선요법을 받는 황달 신생아의 경피 빌리루빈치, 수유와 배설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명/권.호.페이지 : 한국모자보건학회지/제22권.제1호.25-34P.● 저자 : 정성진, 박미경● Print publication date : January. 2018● DOI : 10.21896/jksmch.2018.22.1.25? 실습교과목 : 아동간호학실습 II? 담당교수 : OOO 교수님? 실습병원 /실습부서 : OO병원 /NR? 실습기간 : 2024.11.04.(월) ...2025.03.08· 6페이지 -
아동실습 보고서 케이스 -황달- 20페이지
2025년도 1학기아동간호학실습(1)사례연구 보고서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실습기관학년 / 분반학 번이 름지도교수제출일자목차Ⅰ.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1Ⅱ. 본문11. 정의(Definition)2. 원인(Etiology) 및 병태 생리(Pathophysiology)3. 임상 양상(Clinical Manifestestation)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5. 치료 및 간호(Treatment & nursing)Ⅲ. 간호사례41. 간호력(Nusing history taking)2. 신체검진(Ph...2025.05.11· 20페이지 -
아동실습,신생아황달,간호진단,간호과정,Neonatal Jaundice 15페이지
신생아 황달(Neonatal Jaundice)제출일전공과목학번담당교수이름Ⅰ. 서론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대상자 선정이유실습기간동안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치료가 광성요법(photo theraphy)였다. 책과 수업을 통해 배운 지식들이 눈앞에서 펼쳐진 모습을 보니 그저 신기 그 자체였다. 빛을 통해 어떤 원리를 통해 황달 증세가 완화될 수 있는지 말이다. 그러면서 자연스레 신생아 황달은 어떤 질병인지 어떻게 치료와 간호중재가 이루어지는지 궁금하였고 더 자세히 공부하여 알아보고자 선정하게 되었다.? 대상자 질환에 대한 통계치와...2024.10.17· 15페이지 -
아동간호학실습 - 신생아 황달 (간호진단과 간호과정 2개) 16페이지
아동간호학 실습 Ⅰ진단명 : neonatal jundice(신생아 황달)실습기관 : 병원 NICU실습기간 :지도교수 :학번 :이름 :제출일 :목 차Ⅰ. 서론 p. 11. 연구의 필요성2. 사례연구기간 및 방법3.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① 정의② 병태생리③ 종류와 원인④ 증상⑤ 진단검사⑥ 치료 및 간호⑦ 부작용 및 합병증Ⅱ. 본론 p. 51. 간호사정① 신생아 관련 정보② 산모 관련 정보③ 신체검진④ 신생아 기본욕구에 대한 정보⑤ 검사결과⑥ 투약2. 간호과정# 미성숙한 간 기능과 관련된 신생아 황달# 구토, 설사와 관련된 체액 불균형 ...2023.01.24· 1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