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식 수술 전후 간호 및 폐합병증 관리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 간이식 케이스, 전/후 간호, 폐합병증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9
문서 내 토픽
-
1. 간이식 수술간이식은 기능을 못하거나 파손된 간을 공여자의 간으로 대체하는 수술입니다. 뇌사자 간이식(전간이식, 축소간이식, 분할간이식)과 생체 간이식(우엽이식, 좌엽이식, 2:1이식)의 종류가 있습니다. 수술 방법은 전신마취 후 인공기도, 중심정맥관, 동맥관 등을 삽입하고 피부를 절개하여 손상된 간을 적출한 후 기증자의 간을 이식하며 복강 내 배액관을 삽입하고 피부를 봉합합니다.
-
2. 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는 환자 사정, 환자 준비, 회복 교육으로 구성됩니다. 간호사정에서는 수술 후 사망에 대한 불안과 수술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나이, C형간염, 비만)을 확인합니다. 수술 3일전부터 격리요법을 시작하고, 2일전부터 면역억제제를 투여하며, 1일전에는 관장과 금식을 실시합니다. 회복 교육으로 기침, 심호흡, 인스피로미터 사용법을 교육합니다.
-
3. 수술 후 호흡기계 간호수술 후 호흡기계 중심 간호는 ABGA 수치를 4~6시간마다 모니터링하고, 환자 호흡상태와 흉부 X-ray, ABG 수치를 확인하여 산소공급을 조절합니다. 2시간마다 체위변경과 기관 내 흡인을 실시합니다. 통증관리, 심리적 지지, 퇴원계획 교육도 포함되며, 면역억제제 복용으로 인한 우울감과 피로감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폐합병증 종류 및 치료간이식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폐합병증으로는 무기폐(호흡음 감소, dyspnea), 폐렴(발열, 가래, leukocytosis), 폐부종(orthopnea, 체중증가), 폐색전증(흉통, 청색증, shock)이 있습니다. 치료는 기침과 심호흡 격려, 체위변경, 산소공급, 수액공급, 항생제 투여, 항응고제 투여 등이 포함됩니다.
-
1. 간이식 수술간이식 수술은 말기 간질환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기술의 발전으로 수술 성공률이 높아졌지만, 공여자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수술 전 철저한 평가와 준비, 수술 후 면역억제제 관리가 장기 생존율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간이식은 단순한 수술을 넘어 환자의 삶의 질을 근본적으로 개선하는 의료 행위로, 의료진의 전문성과 환자의 적극적 참여가 모두 필요합니다.
-
2. 수술 전 간호수술 전 간호는 수술의 성공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신체적 준비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기저질환 관리, 감염 예방, 영양 상태 개선 등 체계적인 준비 과정을 통해 수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간이식 환자의 경우 말기 간질환으로 인한 전신 상태가 악화되어 있으므로, 더욱 세심한 사전 평가와 최적화된 준비가 필요합니다.
-
3. 수술 후 호흡기계 간호수술 후 호흡기계 간호는 환자의 회복과 합병증 예방에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적절한 산소 공급, 기도 관리, 호흡 운동 지도가 폐 기능 회복을 촉진합니다. 간이식 수술 후 환자들은 마취 회복 과정에서 호흡 억제, 기침 반사 감소 등의 위험이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조기 이동과 호흡 운동을 통한 적극적 간호가 폐합병증 예방의 핵심입니다.
-
4. 폐합병증 종류 및 치료수술 후 폐합병증은 환자의 회복을 지연시키고 사망률을 높이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무기폐, 폐렴, 급성호흡곤란증후군 등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각각의 특성에 맞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예방이 치료보다 중요하므로 수술 후 조기 호흡 운동, 기침 유도, 체위 변경 등의 간호 중재가 필수적입니다.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환자의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PSLT, 간이식, 간경화증 케이스 A+ 12페이지
Clinical Practice FOR Adult Nursing c - 12024-1학기 성인간호학실습B 임상실습사례보고서 [병동 / 중환자실]▣ 실습생 정보교과목명성인간호학실습B학 반H학 번이 름실습 조3조기 관 명실습 기간2024. 2.5 . ~ 2024. 2.17실습부서SICU담당 교수▣ 대상자 정보성별 / 나이F/50주진단명PSLT부진단명alcoholic hepatitiis with ascites, Alcoholic cirrhosis수 술 명Liver transplantationⅠ. 서론1. 선정 배경중환자실은 성인 실습을 ...2024.11.20· 12페이지 -
중환자실 케이스스터디, 간경변증, 간성혼수 15페이지
Ⅰ.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WHO의 조사에 의하면 만성 간질환으로 인해 연간 140만 명이 사망하고 있고, 미국에서는 전체 사망원인의 9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간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OECD 국가중 1위라는 불명예를 지켜오고 있다. 2002년 통계청의 발표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간질환을 국민전체의 5대 사망원인(뇌혈관질환, 심장질환, 교통사고, 암, 만성 간질환)중 하나로, 간질환으로 인한 남성 사망이 활동적인 사회활동이 요구되는 40대, 50대 모두에서 사망률 2위를 차지하고 있다.이는 국내 만성 간질환의 특징으...2013.06.03· 15페이지 -
[성인간호학] GS 간호실습점검표 및 진단적검사 check list. 9페이지
울산과학대학 간호과 일반외과 간호 실습 점검표아산 103병동 UM 확인 :번호내용경험자가실습평가경험한 간호활동OSI하중상수술 전 간호1수술동의서 받기(informed concent)인턴선생님께서 OP예정인 환자와 보호자에게수술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설명하시고수술 후 부작용이나 합병증, 치료의 변화 등에 대해 충분한 설명을 한 후, 동의함을서류상 작성하여 서면으로 남긴다.2수술전교육(preoperation)심호흡기침3/28v수술 후 폐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심호흡과기침을 해야 하는데 이는 수술 전에 환자와보호자에게 미리 교육을 해야...2009.08.30· 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