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리다의 『죽음의 선물』 1-2장 분석
본 내용은
"
데리다의 <<죽음의 선물>>(The Gift of Death) 1장 2장 분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7
문서 내 토픽
-
1. 기독교적 신비와 책임의 탄생데리다는 서구 종교와 책임의 계보를 분석하며 기독교를 책임의 관점에서 이해한다. 고대 주신제적 신비, 플라톤적 신비, 기독교적 신비의 세 단계에서 각 신비가 앞선 신비를 내재화하고 복속화하는 과정을 통해 책임이 탄생한다. 이 과정에서 신비들은 체계적으로 억압되지만 동시에 체계 유지의 필수 구성요소로 남아있다. 기독교적 신비는 죽음의 선물로서의 죽음이라는 역설과 책임의 역설을 배태하는 공간이 된다.
-
2. 죽음의 역설과 대체불가능성데리다는 죽음의 역설을 대체불가능성으로 설명하며 책임의 궁극적 가능조건으로 간주한다. 책임은 대체할 수 없는 고유성을 요구하며, 죽음에 대한 염려만이 대체불가능성을 제공한다. 하이데거의 논의를 바탕으로 죽음은 현존재 자신이 떠맡아야 할 최종의 존재가능성이며, 누구도 타인의 죽음을 대신할 수 없다. 이러한 대체불가능성에서 책임 있는 주체와 자아가 생겨난다.
-
3. 플라톤적 전환과 자아의 각성플라톤의 신비에서 영혼이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자신에게로 돌아가는 움직임을 통해 죽음에 대한 의식이 생겨난다. 이 과정에서 자아와 책임이 최초로 생겨나며, 영혼은 선이라는 초월적 객관물과 관계하게 된다. 기독교적 신비에 이르면 선은 자신을 망각하는 선함으로, 스스로를 부인하여 사랑으로 변모되며, 주체는 독특한 타자를 향해 열리게 된다.
-
4. 책임의 계보학과 종교의 의미데리다는 '종교란 바로 책임이며 책임이 아니라면 아무것도 아니다'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종교의 기원과 계보를 망각한 서구사회에서 종교를 사건의 계시나 도그마가 아닌 하나의 가능성으로 사유할 때만이 역사로서의 책임에 접근할 수 있다. 계보학의 작업은 의미작용 내에서 체계적으로 억압되고 배제되지만 흔적으로 남아있는 요소들을 찾아내어 고유한 자리를 부여하는 것이다.
-
1. 기독교적 신비와 책임의 탄생기독교 전통에서 신비와 책임의 관계는 깊은 철학적 의미를 지닙니다. 신비로운 신의 존재 앞에서 인간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을 인식하게 됩니다. 이는 단순한 도덕적 의무를 넘어 존재론적 차원의 책임을 의미합니다. 기독교적 신비는 인간의 이성으로 완전히 파악할 수 없는 영역이며, 이러한 한계 속에서 오히려 책임의 진정한 의미가 드러납니다. 신앙과 책임은 상호보완적 관계로, 신비에 대한 경외심이 책임감을 강화하고, 책임의식이 신비에 대한 깊은 이해로 이어집니다. 이러한 관계는 현대 사회에서도 의미 있는 성찰의 대상이 됩니다.
-
2. 죽음의 역설과 대체불가능성죽음은 인간 존재의 가장 근본적인 역설입니다. 죽음은 모든 인간에게 보편적이면서도 각 개인에게는 절대적으로 고유한 경험입니다. 이러한 역설 속에서 각 개인의 대체불가능성이 명확해집니다. 죽음 앞에서 인간은 자신이 유일무이한 존재임을 깨닫게 되며, 이는 삶의 의미를 재정의하게 합니다. 죽음의 불가피성은 삶의 소중함을 강조하고, 개인의 고유한 가치를 부각시킵니다. 따라서 죽음의 역설을 인정하는 것은 자신과 타인의 대체불가능성을 존중하는 태도로 이어지며, 이는 윤리적 삶의 기초가 됩니다.
-
3. 플라톤적 전환과 자아의 각성플라톤적 전환은 감각적 현상의 세계에서 이성적 진리의 세계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자아는 단순한 개인적 욕망을 넘어 보편적 진리를 추구하는 존재로 각성됩니다. 자아의 각성은 자신의 무지를 인식하는 것에서 시작되며, 이를 통해 진정한 앎을 향한 여정이 시작됩니다. 플라톤적 전환은 개인의 정신적 성장뿐만 아니라 사회적 책임감의 형성으로도 이어집니다. 현대에서도 이러한 전환은 개인이 자신의 한계를 인식하고 더 높은 가치를 추구하도록 격려합니다. 자아의 각성은 지속적인 성찰과 학습의 과정이며, 이는 인간의 정신적 성숙을 위한 필수적 단계입니다.
-
4. 책임의 계보학과 종교의 의미책임의 계보학은 책임 개념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고 발전했는지를 추적합니다. 종교는 이 계보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특히 일신교 전통에서 책임의 개념이 심화되었습니다. 종교적 신앙은 초월적 존재 앞에서의 책임을 강조하며, 이는 개인의 행동에 대한 도덕적 책임으로 확장됩니다. 종교의 의미는 단순한 신앙 체계를 넘어 인간의 책임 의식을 형성하는 문화적 기제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책임의 계보학을 통해 우리는 현대의 책임 개념이 어떤 종교적, 철학적 전통에서 비롯되었는지 이해할 수 있으며, 이는 책임의 의미를 더욱 깊이 있게 성찰하도록 합니다.
-
현대문화와 현대사회 필기 정리 15페이지
20120314 현대문화와 현대사회지젝 : 하나의 주제에 집중하지 않아서 어렵다.우리의 무의식은 바깥에 있다. 우리 내부에는 아무것도 없다. (대 전제)syntaxis 통사론, 문장론. 주어와 술어간의 logic, causality 논리와 인과관계를 따지는 것.parataxis 통사론과 반대인 문장구성방식.지젝의 스타일도 parataxis 병렬. 사실을 나열하는 것.혼란하게 만드는 것은 ideology. 현대는 이데올로기가 없는 것처럼 보이지만, 우리의 신체에 내면화가 되어있다고 할 수 있음. 오히려 더 위험할 수 도. 우리의 일상...2012.12.07· 15페이지 -
[미술비평] 반고흐의 구두에 대한 논쟁 6페이지
반 고흐의 < 구두 > 에 대한 논쟁I. 생 애하이데거 (Heidegger, Martin) [1889.9.26~1976.5.26]20세기 독일의 실존철학을 대표한다. 1889년 9월 26일 바덴주(州) 메스키르히에서 출생하였다. 프라이부르크대학교에서 E.후설에게 현상학(現象學)을 배웠다. 1923년 마르부르크대학교 교수, 1928년 후설의 뒤를 이어 프라이부르크대학교 교수, 1933 1934년 총장을 지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나치스에 협력하였다는 이유로 전후에 한때 추방되었다. 후에 다시 복직하여 강의를 하였지만, 전전 전후...2003.11.06·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