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요점정리: 호흡, 영양, 소화, 내분비
본 내용은
"
생리학 요점정리 (기말) A+ 받은자료 수문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6
문서 내 토픽
-
1. 호흡생리호흡은 대기와 혈액 사이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교환하는 과정으로 폐환기, 외부호흡, 가스운반, 내부호흡의 4가지 기능적 과정으로 구성된다. 호흡계통은 기체교환, 항상성 유지, 방어기전, 발성, 후각 기능을 수행한다. 폐포는 기체교환의 기본 단위이며, 폐표면활성제가 폐포 확장을 돕는다. 호흡 조절은 신경성 조절과 화학적 조절로 이루어지며, PCO2가 PO2와 pH보다 환기에 더 중요한 화학적 조절인자이다.
-
2. 영양소와 물질대사영양소는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비타민, 무기염류로 구성되며 신체 구성과 유지의 재료가 된다. 탄수화물은 에너지 저장 생체분자로 단당류, 이당류, 다당류로 분류된다. 지방은 에너지원이자 단열작용과 지용성 비타민 흡수를 촉진한다.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효소, 수용체, 면역글로불린 등의 기능을 한다. 물질대사는 동화작용과 이화작용으로 나뉘며,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대사를 통해 에너지를 생산한다.
-
3. 소화생리소화계통은 음식 섭취, 기계적·화학적 소화, 꿈틀운동, 분비, 흡수, 배출의 순서로 작동한다. 입안에서 침의 아밀라아제가 탄수화물 소화를 시작하고, 위에서 위액이 단백질을 분해한다. 소장은 주요 흡수 기관으로 담즙과 소화효소가 영양소 소화를 돕는다. 간은 담즙 생성, 해독작용,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대사를 수행한다. 영양소 흡수는 주로 소장에서 일어나며, 단당류와 아미노산은 혈관으로, 지방산은 림프관으로 운반된다.
-
4. 내분비계통과 호르몬내분비계통은 호르몬을 혈액으로 직접 분비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뇌하수체는 성장호르몬, 갑상샘호르몬, 부신겉질호르몬 등을 분비한다. 갑상샘은 대사활동과 체온을 조절하며, 부갑상샘은 혈중 칼슘 농도를 조절한다. 부신은 스트레스 호르몬과 전해질 조절 호르몬을 분비한다. 이자는 인슐린과 글루카곤으로 혈당을 조절하고, 생식샘은 성호르몬을 분비한다. 송과체는 멜라토닌을 분비하여 수면과 하루주기리듬을 조절한다.
-
1. 호흡생리호흡생리는 생명 유지의 핵심 메커니즘으로, 산소 흡수와 이산화탄소 배출을 통해 세포 에너지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폐의 환기, 가스 교환, 산소 운반 등 복잡한 과정들이 정교하게 조절되어야 효율적인 호흡이 이루어집니다. 특히 횡격막과 호흡근의 역할, 그리고 뇌의 호흡중추에 의한 조절은 매우 중요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공기 오염과 흡연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이 증가하고 있어, 호흡생리에 대한 이해는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운동 시 호흡량 증가, 고산지에서의 적응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호흡 조절 메커니즘도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
2. 영양소와 물질대사영양소와 물질대사는 신체의 에너지 공급과 구조 유지의 기초입니다.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 주요 영양소들이 소화, 흡수, 대사되는 과정은 정밀하게 조절됩니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에서의 ATP 생성은 모든 생명 활동의 원동력입니다. 개인의 대사율 차이는 유전, 나이, 활동량 등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체중 관리와 건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현대의 과영양 문제와 대사증후군 증가는 올바른 영양 섭취와 대사 이해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또한 개인맞춤형 영양 관리의 필요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습니다.
-
3. 소화생리소화생리는 음식물을 영양소로 변환하여 흡수 가능한 형태로 만드는 복잡한 과정입니다.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기관의 각 부위에서 기계적, 화학적 소화가 단계적으로 진행되며, 다양한 효소와 호르몬이 정교하게 조절합니다. 위산의 역할, 췌장 효소의 중요성, 담즙의 지방 유화 작용 등 각 단계의 메커니즘은 매우 흥미롭습니다. 장내 미생물의 역할이 최근 주목받고 있으며, 장 건강이 전체 면역계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합니다. 소화 장애와 관련된 질환들의 이해와 예방을 위해 소화생리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이 필수적입니다.
-
4. 내분비계통과 호르몬내분비계통과 호르몬은 신체의 항상성 유지와 생리적 조절의 중추입니다. 뇌하수체, 갑상선, 부신, 췌장 등 다양한 내분비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들은 혈액을 통해 표적 세포에 도달하여 생리 작용을 조절합니다. 호르몬의 피드백 조절 메커니즘은 신체 항상성 유지의 핵심입니다. 스트레스 호르몬, 성 호르몬, 대사 호르몬 등 각 호르몬의 역할은 신체의 다양한 기능과 행동에 영향을 미칩니다. 내분비 질환의 증가와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건강 문제들이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어, 내분비계통에 대한 이해는 현대 의학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
해부생리. 순환기계.호흡기계.뼈대계통.호흡기계.내분비계. 13페이지
해부생리학요점정리제 1 장 서론1. 해부학과 생리학1) 인체해부학(human anatomy) : 인체의 구조와 형태를 연구하는 학문2) 인체생리학(human physiology) : 인체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과정, 활동 및 현상을 대상으로 기능을 연구하 는 학문2. 인체의 구성요소- 물질의 기본 성분 : 원소(elements)- 산소(O), 탄소(C), 수소(H), 질소(N) 등의 4가지 원소들이 대부분을 이룸.3. 생체 항상성 조절기전-항상성(homeostasis) : 외부세계가 끊임없이 변하더라도 내부 상태를 비교적 안정되게...2012.07.03· 13페이지 -
인체생리학 요점정리 19페이지
기초건강과학Ⅱ : 생리학 요점정리학 과간호학과학 번성 명단원서론 (p1), 세포 (p11)세포막을 통한 물질의 운반 (p31)1. 인체의 구조적 수준을 단계별로 쓰시오. 정답 : 세포 → 조직 → 기관 → 기관계 → 개체2. 인체(생명체)의 구조와 기능의 기본단위를 쓰시오. 정답 : 세포 (cell)3. 항상성은 ( 신경 )계와 ( 내분비 )계의 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4. 세포를 구성하는 3가지는 무엇인가? 정답 : 핵, ( 세포막 ), ( 세포질 )5. 일명 유전자(gene)라고도 하며, 특정 단백질에 필요한 유전정보를 저장하고...2019.03.04· 19페이지 -
[체육] 운동스포츠 생리학 요점정리 (근육,순환,신경,호흡,수행지표) 8페이지
생리학 요점정리목 차근육계1. 근수축과정..........................................................12. 근육계변화..........................................................1순환계1. 심박수변화..........................................................22. 심박수조절기전....................................................23. 혈류재분배..............2011.04.10· 8페이지 -
[인체병리]인체병리학 8페이지
인체생리학 요점정리간간 liver는 횡격막아래, 좌우의 상복부에 있는 생체 내에서 가장 큰 장기이다.4개의 엽으로 구성,우엽 - 담낭 gallbladder이 붙어 있다. 암적색을 띠며, 성인에게는 무게 약 1000 - 1400 g* 쿠퍼세포 Kupffer's cell (해독작용)-빌리루빈의 생성 및 생체 방어지능간의 혈관계는 간동맥, 간정맥, 간문맥(문맥순환이 중요하다)*안정시 간장을 흐르는 혈앤은 성인의 경우 약 1000-1800 mL/분 평균 1400mL/분심박출량의 약 25%을 차지, 3/4~4/5를 문맥혈에서 나머지 1/5를...2005.12.16· 8페이지 -
[간호학]뇌졸중 환자의 재활과 건강관리 15페이지
뇌졸중 환자의 재활과 건강관리 (정리판)한국재활간호학회HBRM R1 은영준??Ⅹ?Ⅸ 개요▶ 뇌졸중 환자의 18% 사망, 9% 완전회복, 73%가 재활을 요한다.▶ 신경회복의 90% 정도가 3개월 이내에 가능하다. 그러나 기능적 회복은 많은 요인의 영향을 받게 되며 6~12개월(최대 4년) 정도 지나서 가능하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90%가 재활치료의 도움으로 침대에서 벗어날 수 있었고, 그 중 70%는 일상생활 활동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일할 수 있는 연령층의 30%는 자신의 직업으로 복귀할 수 있으나 3~18...2007.02.26·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