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회계 - 고저점법과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구하기
본 내용은
"
관리회계 ) 1. 고저점법을 이용해서 월별 매출량(X)과 월별 매출원가(Y) 간의 원가추정식을 구하고 그래프로 나타내시오. 2. 최소자승법을 이용해서 월별 매출량(X)과 월별 매출원가(Y) 간의 원가추정식을 구하고 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8
문서 내 토픽
  • 1. 고저점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구하기
    고저점법은 가장 높은 점(고점)과 가장 낮은 점(저점)을 사용하여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추정하는 방법입니다. 제공된 데이터에서 고점과 저점을 찾아 변동원가와 고정원가를 계산하면, 원가추정식은 Y = 5.76X + 1308.8이 됩니다.
  • 2.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구하기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월별 매출량(X)과 월별 매출원가(Y) 간의 원가추정식을 구하면, Y = 0.92X + 475.83이 됩니다. 이 식을 이용하여 고정매출원가와 변동매출원가가 동일한 수준의 매출액을 구하면 약 517.2개입니다.
  • 3.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활용
    2018년 11월 매출량이 500개로 예상될 경우,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Y = 0.92X + 475.83을 활용하면 다음을 구할 수 있습니다. 변동매출원가(a)는 460, 고정매출원가(b)는 475.83, 총매출원가(a+b)는 935.83, 총원가는 935.83, 제품 단위당 평균원가는 1.87166입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고저점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구하기
    고저점법은 원가 추정에 널리 사용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방법은 과거 데이터에서 최고점과 최저점을 찾아 이를 바탕으로 원가 추정식을 구하는 것입니다. 장점은 계산이 간단하고 이해하기 쉽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데이터의 변동성이 크거나 극단값이 많은 경우 추정 결과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데이터의 특성을 잘 파악하고 다른 추정 방법과 비교해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추정식 구축 시 최고점과 최저점 선정 기준을 명확히 설정하여 객관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고저점법은 간단하면서도 유용한 원가 추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 2.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구하기
    최소자승법은 원가 추정에 널리 사용되는 또 다른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과거 데이터를 바탕으로 원가와 관련 변수 간의 선형 관계를 찾아 추정식을 구하는 것입니다. 장점은 데이터의 변동성이 크거나 극단값이 있어도 추정 결과의 신뢰성이 높다는 것입니다. 또한 추정식에 포함된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할 수 있어 원가 관리에 유용합니다. 하지만 변수 선정과 모형 설정에 주의가 필요하며, 추정식의 적합성을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최소자승법은 보다 정교한 원가 추정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 활용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은 실제 원가 관리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첫째, 추정식을 이용하여 향후 원가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예산 수립, 가격 결정, 투자 계획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둘째, 추정식에 포함된 변수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여 원가 절감 활동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셋째, 실제 원가와 추정 원가를 비교하여 원가 관리 성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넷째, 추정식의 정확도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함으로써 원가 관리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처럼 최소자승법을 이용한 원가추정식은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원가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