윌리스 타워의 구조 시스템 및 설계
본 내용은
"
구조 시스템 발표 자료 (윌리스 타워_Willis tower/ 시어스타워_Sears towe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3
문서 내 토픽
-
1. 번들튜브 구조 시스템윌리스 타워는 번들튜브 구조를 채택하여 9개의 정방형 튜브(하부)와 2개의 튜브(상부)로 구성되었습니다. 각 튜브는 22.9m×22.9m 크기로 4.6m 간격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이 시스템은 별도의 횡 저항 시스템 없이 내부 튜브 구조만으로 횡력에 저항합니다. 번들튜브는 단일 튜브 시스템보다 전단지연 현상을 감소시키고 코너의 응력을 분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
2. 기초 및 지반 시스템윌리스 타워의 기초는 도로기준면에서 45~50ft 굴착하여 1.5m의 콘크리트 받침을 설치했습니다. 기초 지질구조는 석회석(1076ton/m²)이며, 18m 깊이의 영구적인 강재 강관 케이슨(두께 54인치)을 사용하여 평균 20m까지 박아 암반에 앵커링했습니다.
-
3. 세트백 시스템과 비균일 단면건물의 60%를 차지하는 임차인의 공간 필요성에 따라 저층부는 넓은 바닥면적을, 상부는 작고 변화 가능한 형태로 설계했습니다. 9개의 정방형 프레임튜브로 구성된 메가모듈을 다양한 높이에서 끝나도록 하는 세트백 시스템을 적용하여 단조로운 형태를 탈피하고 임대 공간을 극대화했습니다.
-
4. 벨트 트러스와 횡력 저항29~31층, 64~66층, 88~90층에 2층짜리 벨트 트러스를 설치하여 건물 둘레를 단단히 묶어 하나의 연속체로 거동하게 합니다. 코어가 받는 횡하중을 벨트 트러스로 분산시키기 위해 아웃리거를 설치하여 외곽기둥과 코어를 연결하고, 벨트 트러스는 외곽기둥들을 연결하여 전체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합니다.
-
1. 주제1 번들튜브 구조 시스템번들튜브 구조 시스템은 고층 건축물의 횡력 저항에 매우 효과적인 설계 방식입니다. 여러 개의 튜브 구조를 묶어서 사용함으로써 건물의 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자중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특히 초고층 건물에서 바람과 지진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면서도 내부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시공의 복잡성과 비용 증가 요인이 있어 프로젝트의 규모와 특성을 고려한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
2. 주제2 기초 및 지반 시스템기초 및 지반 시스템은 건축물의 안정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지반의 특성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기초 설계를 하는 것이 구조물의 장기적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지반조사, 지반개량, 적절한 기초형식 선택 등이 종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연약지반이나 특수 지반 조건에서는 더욱 정밀한 설계와 시공이 요구됩니다. 기초 설계의 오류는 건물 전체의 구조적 문제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전문가의 철저한 검토가 필수적입니다.
-
3. 주제3 세트백 시스템과 비균일 단면세트백 시스템과 비균일 단면 설계는 현대 고층 건축에서 미적 가치와 구조적 효율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식입니다. 건물의 상층부로 갈수록 단면을 줄임으로써 자중을 감소시키고 구조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설계는 도시 스카이라인을 개선하고 일조권 문제도 완화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균일 단면으로 인한 응력 집중, 시공의 복잡성, 그리고 구조 해석의 어려움 등을 충분히 검토하여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
4. 주제4 벨트 트러스와 횡력 저항벨트 트러스는 고층 건물의 횡력 저항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구조 요소입니다. 건물의 특정 높이에 배치된 벨트 트러스는 바람과 지진 하중을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고, 건물 전체의 강성을 증가시킵니다. 이를 통해 건물의 변위를 제어하고 거주자의 쾌적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벨트 트러스의 위치, 규모, 형식 등은 건물의 높이, 용도, 지역의 환경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화되어야 하며, 이는 구조 설계의 중요한 결정 사항입니다.
-
초고층건물-혁신적변화의 핵심요소 37페이지
혁신적 변화의 핵심 요소 초고층 건물목차 01 초고층 건물이란 ? 1. 초고층 건물의 정의 2. 초고층 건물의 역사 03 초고층 건물의 사례 롯데월드타워 아브리즈 알 바이트 부르즈 할리파 02 초고층 건물의 필수 요소 이동수단 건축자재 열 4. 속도 5. 바람 6. 지진 7. 대피시설초고층건물은 높이 200m 이상 , 혹은 50 층 이상인 건축물이라 정의한다 . 또한 , 구조적으로 세장비 5 이상의 건물임과 동시에 횡 하중에 저항하기 위해 특별한 구조형식을 도입할 필요가 있는 건물을 의미한다 . 탑이나 기둥을 제외하고 , 토지의 고...2024.02.29· 37페이지 -
초고층 빌딩에 대한 사례 및 기술성 조사 12페이지
초고층 빌딩 에 대한 사례 및 기술성 조사 건축시공테크놀로지 초고층빌딩의 등장배경 및 사례- 초고층빌딩이 등장한 사유 - 초고층빌딩의 국내외 사례 - 초고층빌딩의 특성 ( 적용된 기술 등 ) - 초고층빌딩에 대한 개인적 의견 목차초고층 건물의 역사는 바벨탑 이야기로부터 시작된다 . 성경 창세기에 보면 노아의 홍수 이후 사람들이 시날 평지에 모여 벽돌과 아스팔트를 이용해 하늘을 찌를 듯한 바벨탑을 쌓았다고 나온다 . 학자들은 이 바벨탑이 지금 이라크에 있는 지구라트라고 말한다 . 지구라트는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지어진 신전 건축이다 ...2020.12.15· 12페이지 -
초고층 건축물에 적용되는 다양한 수직구조시스템의 특성들과 그 사례들 18페이지
수직확장형 구조시스템 특성 및 사례 수업 교과목 명 *** 교수님 2015202020 홍길동목차 첫번째 - Tube Frame 세번째 - Outrigger Belt Truss 두번째 - Diagrid Frame ( 대각가새 구조 ) 네번째 - Mega Frame첫번째 Tube Frame 튜브구조란 간격이 좁게 배열된 기둥과 보가 마치 튜브와 같이 건물의 외부를 둘러싸써 횡하중에 저항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 튜브구조는 횡력에 효율적이지만 , ‘ 전단지연 ’ 과 같은 형상에 대해 보완할 필요가 있다 . 전단지연이랑 튜브플랜지의 모서리에...2019.03.29· 18페이지 -
S.O.M Skidmore Ownings and Merril LLP 36페이지
20124079 박한솔CONTENTS SOM? 건축 특징 SOM 의 작품 S kidmore , O wnings and M erril LLPSOM? S kidmore , O wnings and M erril LLPkidmore , wnings and erril LLP S SOM? 1936 년에 Louis Skidmore , Nathaniel Owings 창립 , 1939 년에 John O . Merrill 합류 미국 시카고에 본사를 둔 건축 설계 및 엔지니어링 회사 1961 년과 1996 년에 AIA 로부터 ‘Firm Award’ 수...2016.10.23· 36페이지 -
세계 및 한국 초고층 건축물(2015년 기준) 15페이지
세계의 초고층 건축물과국내의 초고층 건축물의 현황 조사세계의 초고층 건축물과 국내의 초고층세계의 초고층 건축물과국내의 초고층 건축물의 현황 조사Ⅰ. 서론1. 작성 배경나날이 늘어나는 인구와 하늘을 동경하는 인간본성은 효율성과 낭만이라는 명목으로 초고층건물을 추구하게끔 만들었다. 하늘을 찌를듯, 도시에 우뚝 선 초고층건물은 부를 과시하는 목적과 관련된 사업들을 한 곳에 모음으로써 일의 능률성을 높이고 관광객들을 유치하는 목적으로도 쓰일 수 있다.이런 초고층건축물들은 세계적으로 어느 정도 있는지 그리고 이런 초고층건축물들은 과연 문제가...2015.02.13· 1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