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변화 속 재래시장의 공간특성 연구: 남대문시장 사례
본 내용은
"
도시계획 연구발표 ppt (재래시장연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4
문서 내 토픽
-
1. 재래시장의 정의 및 특성재래시장은 다수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상시 또는 정기적으로 집합하여 물품을 매매하는 일정 규모 이상의 건물 매장 또는 장터로서, 주로 1980년 이전에 개설되어 노후화되고 재개발 또는 근대화가 필요한 상설시장 또는 정기시장을 의미한다. 상거래공간과 커뮤니티 공간의 이중적 기능을 수행하며, 도시에서 유기적으로 반응하며 성장해온 사회적 상호작용의 기능을 담은 중요한 장소이다.
-
2. 남대문시장의 역사적 발전과정남대문시장은 1414년 남대문 양쪽으로 행랑이 등장한 이후, 1608년 선혜청 설치로 상권이 결집되었다. 1897년 상인들의 강제 소환으로 현재의 위치에 형성되었으며, 6.25사변 이후 판잣집과 군수품매매로 활기를 띠었다. 1954년 대화재, 1965년 토지구획정리사업, 1968년 현대화 계획 무산 등을 거쳐 1980년대 전통시장 유지와 부분 재개발이 이루어졌다.
-
3. 남대문시장의 공간구조 및 가로환경남대문시장은 남대문로, 퇴계로, 소공로, 소월로로 둘러싸여 있으며, 정형의 대형건물과 부정형의 소규모 건물이 혼재되어 있다. 5개의 내부도로가 있으며, 각 도로는 폭과 특성이 다르다. 1길은 12~15m로 시장 내부 블록을 연결하고, 2길은 10m로 과거 물길을 복개하여 확장되었다. 3길은 6m로 좁은 폭이 판매시설과의 관계성을 증대시킨다. 4길과 5길은 토지구획정리사업으로 생성되었으며, 점진적으로 건물의 대형화 및 고층화 현상이 나타난다.
-
4. 방문객 이용행태 및 필요공간 분석남대문시장 방문객들은 이동, 구경, 멈춤, 흥정, 기다림, 대화, 간식, 휴식, 확인, 독서 등 다양한 행위를 한다. 이동 시에는 노점상과 적재물로 인해 보행공간이 좁고 지저분하며, 구경할 때는 여유 있는 보행공간이 필요하다. 현재 대상지에는 휴식공간, 녹지, 공개공지가 거의 없어 이용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으며, 짐을 내려놓을 보조시설물과 앉을 수 있는 벤치 등이 부족한 상태이다.
-
1. 재래시장의 정의 및 특성재래시장은 전통적인 상업 공간으로서 지역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며, 현대 대형마트와 구별되는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재래시장의 가장 중요한 특성은 소규모 개인 상인들이 주체가 되어 운영되며, 지역 주민들과의 직접적인 관계 형성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또한 다양한 상품을 한 곳에서 구매할 수 있는 편의성과 흥정 문화를 통한 인간적 상호작용이 특징입니다. 재래시장은 단순한 상업 공간을 넘어 지역 문화와 정체성을 담아내는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도 중요합니다. 현대 사회에서 재래시장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서는 전통성을 유지하면서도 현대적 편의성을 결합하는 균형잡힌 접근이 필요합니다.
-
2. 남대문시장의 역사적 발전과정남대문시장은 서울의 대표적인 재래시장으로서 수백 년의 역사를 통해 한국 상업 문화의 변화를 반영해왔습니다. 조선시대부터 시작된 시장 기능은 일제강점기, 해방, 전쟁, 산업화 등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들을 거치면서 지속적으로 진화해왔습니다. 특히 1960년대 이후 경제 성장기에 남대문시장은 의류, 직물 등의 도매 중심지로 성장하여 전국 상인들의 주요 거래처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발전 과정은 단순한 상업적 성장을 넘어 서울의 도시 발전과 맞물려 있으며, 지역 경제 생태계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현재 남대문시장이 직면한 도전과제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역사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해야 합니다.
-
3. 남대문시장의 공간구조 및 가로환경남대문시장의 공간구조는 오랜 역사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형성된 특징을 보여주며, 이는 현대적 계획도시와는 다른 유기적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좁은 골목길과 밀집된 점포들이 만드는 독특한 가로환경은 방문객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주며, 이러한 공간 특성이 남대문시장의 정체성을 형성합니다. 다만 현재의 가로환경은 보행 안전성, 위생 관리, 접근성 등에서 개선이 필요한 부분들이 있습니다. 공간구조의 개선을 위해서는 전통적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현대적 편의성을 도입하는 신중한 접근이 요구됩니다. 특히 보행자 중심의 가로환경 조성과 안전성 강화는 시장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필수 과제입니다.
-
4. 방문객 이용행태 및 필요공간 분석남대문시장 방문객의 이용행태는 다양한 목적과 배경을 가진 사람들의 복합적인 패턴을 보여줍니다. 도매 목적의 상인, 소매 구매 목적의 일반 소비자, 관광객 등 서로 다른 이용 목적을 가진 방문객들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이용행태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휴식 공간, 정보 제공 공간, 편의시설 등 필요공간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이 필수적입니다. 특히 고령 방문객과 장애인을 배려한 접근성 개선, 계절별·시간대별 혼잡도 관리, 안내 시스템 개선 등이 중요합니다. 방문객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한 상업 기능을 넘어 문화, 휴식, 체험 등 다양한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 설계가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