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동성당과 계산성당의 건축양식 비교
본 내용은
"
명동성당과 계산성당의 비교_한국건축사 기말과제 제출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2.02
문서 내 토픽
-
1. 천주교의 유입과 성당건축1784년 이승훈이 북경에서 영세를 받고 귀국하면서 천주교가 전해졌다. 한일수호조약과 한불수호조약 체결로 문호가 개방되었고, 파리의 외방전교회 소속 선교사들이 전국 각지로 흩어져 교리를 전파했다. 선교사들은 교리 전파를 위해 성당이 필요했으며, 초기에는 한옥을 개조한 성당에서 활동했으나 크기의 한계로 새로운 성당 축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명동성당과 계산성당이 가장 대표적인 사례로, 선교사들이 직접 설계하여 서양건축이 우리나라에 직접 이식된 사례이다.
-
2. 고딕양식 성당건축의 특징새로이 건립된 대부분의 성당건축은 고딕양식을 추구했다. 첫째, 선교사들의 성장 배경과 출신지인 프랑스의 영향으로, 프랑스는 고딕양식 성당이 많았고 고딕 부흥 양식이 번창하던 때였다. 둘째, 종교적 교리와 경건주의 신앙을 위해 중세의 신학사상과 신앙체계를 반영한 고딕양식을 추구했다. 고딕성당은 종교적 존엄과 성스러움을 표현하는 가장 기념비적인 양식이었으며, 평민들에게 서구의 건축문화를 각인시키는 매개체가 되었다.
-
3.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특성1892년 5월 8일 공사를 시작해 1898년 5월 29일 완공된 건물로,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프랑스인 코스트 신부가 설계했다. 폭 29m, 길이 67.7m, 높이 22.5m이며, 종탑 높이는 47.25m에 이른다. 라틴십자형 삼랑식 바실리카로, 아케이드, 트리포리움, 크리어스토리의 3개 층을 두었고 천장은 교차근골궁륭으로 된 국내 유일한 순수 고딕양식 건물이다. 적색과 회색의 이형 벽돌을 사용하여 세부 곳곳에 장식했다.
-
4. 대구 계산동성당의 건축특성1902년 완공된 건물로, 프랑스인 프와넬 신부가 설계하고 중국인들이 공사를 담당했다. 1911년 주교좌성당이 되면서 종탑을 2배로 높이는 등 증축하여 1918년 12월 24일 현재의 모습으로 완성되었다. 고딕양식이 가미된 로마네스크 양식 성당으로, 라틴십자형 평면에 종탑부에는 8각의 높은 첨탑 2개를 대칭구조로 세웠다. 화강석 기단 위에 붉은 벽돌을 쌓고 검은 벽돌로 고딕적인 장식을 했다.
-
1. 천주교의 유입과 성당건축천주교가 한반도에 유입되면서 성당건축은 단순한 종교시설을 넘어 한국 건축문화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습니다. 18세기 후반 천주교 신앙이 전파되면서 19세기 후반부터 본격적인 성당건축이 시작되었는데, 이는 서양 건축양식의 첫 본격적 도입이었습니다. 성당건축을 통해 한국 건축계는 고딕, 로마네스크 등 서양 건축양식을 직접 경험하게 되었고, 이는 근대 건축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또한 성당건축은 지역사회의 랜드마크가 되어 도시경관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건축기술 발전과 문화교류의 매개체로서 의미가 있습니다.
-
2. 고딕양식 성당건축의 특징고딕양식은 수직성, 경량성, 개방성을 추구하는 건축양식으로, 성당건축에 가장 이상적인 형태로 평가됩니다. 뾰족한 아치, 리브볼트, 플라잉 버트레스 등의 구조적 혁신을 통해 높은 천장과 넓은 내부공간을 실현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특징은 채광을 극대화하여 스테인드글라스를 통한 신성한 빛의 표현을 가능하게 했습니다. 한국의 성당건축에 도입된 고딕양식은 완전한 형태보다는 절충적으로 적용되었으나, 수직성과 장중함을 통해 종교적 숭고함을 효과적으로 표현했습니다. 고딕양식의 이러한 특징들은 근대 한국건축에 새로운 미학적 기준을 제시했습니다.
-
3. 서울 명동성당의 건축특성명동성당은 1898년 준공된 한국 최초의 본격적 고딕양식 성당으로, 근대 한국건축사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합니다. 붉은 벽돌을 사용한 외관, 쌍탑의 구성, 뾰족한 아치 등 고딕양식의 핵심 요소들을 충실히 반영하고 있습니다. 명동성당은 서울의 중심부에 위치하면서 도시경관의 상징이 되었으며, 건축적으로도 한국 건축가들에게 서양건축 기법을 학습하는 중요한 사례가 되었습니다. 내부의 웅장한 공간감과 정교한 장식은 당시 최고 수준의 건축기술을 보여줍니다. 명동성당은 종교시설을 넘어 근대 한국의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가 지속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
4. 대구 계산동성당의 건축특성계산동성당은 1902년 준공된 성당으로, 명동성당과 함께 한국 초기 고딕양식 성당의 대표작입니다. 붉은 벽돌 조적조 구조로 지어진 이 성당은 고딕양식의 특징을 잘 보여주면서도 한국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건축입니다. 대구라는 지역적 위치에서 영남지역 천주교 신앙의 중심지 역할을 했으며, 건축적으로도 지역 건축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계산동성당의 건축은 당시 대구의 도시발전과 근대화 과정을 상징하며, 보존 상태도 비교적 양호하여 근대건축 연구의 중요한 자료입니다. 이 성당은 종교적 의미뿐 아니라 건축사적, 문화사적 가치를 모두 지닌 귀중한 문화유산입니다.
-
조적조 6페이지
1. 조적조란? 김호섭1) 조적조란?- 건축 양식 중 하나를 일컫는다. 돌, 벽돌, 콘크리트 블록 등으로 쌓아 올려서 벽을 만드는 건축 구조로 오래 전부터 사용되었던 구조이고 지진 등에 약하므로, 지진이 빈번한 지역에서는 적합하지 않다. 오늘날 내진성능을 요구하는 건물의 구조부에는 사용하지 않는다.2)조적쌓기 : 기본 방식으로는 길이방향인 길이쌓기 / 마구리가 보이는 마구리쌓기로 나누어짐●영식 쌓기 : 길이쌓기와 마구리쌓기를 번갈아 사용하는 방식으로 벽돌을 쌓는 방법중 가장 튼튼한 방법 마구리켜에서 벽이나 모서리 부분은 반절이나 이...2013.12.25· 6페이지 -
근대&현대 건축변화 19페이지
현대 건축론_ Contents.18*************0196019802000_러시아공사관_대구 계산 성당과 서울 정동교회_ 한국은행_덕수궁 석조전_프랑스 대사관_대구 전시컨벤션 센터_ 율곡 기념 도서관미래서양건축의 유입절충 주의신고전주의국제주의포스트 모더니즘_서 산부인과하이테크1880190019201940196019802000_서양 건축의 유입* 배경 - 1876년, 강화도 조약이 맺어짐에 따라 개항이 이루어졌는데 개항이 되면서 부산, 인천, 원 산에 외국인에 의한 색다른 건물이 세워지기 시작했다. - 1892년에 시작해서 7...2010.12.16· 19페이지 -
중국의 대표적인 미술사 14페이지
중국의 대표적인 미술사 vs 한국의 대표적인 미술사중국의 미술사 1. 춘추전국시대 : 백가쟁명의 시대라고 하는 춘추전국시대에는 공자 , 노자 , 장자 , 묵자 등의 위대한 사상가의 사상이 예술가에게 영향을 끼쳐 이 시기의 예술작품에 자유로움과 생동감이 넘쳐나기 시작하였다 . * 백화 * : 비단에 그린 그림 . 인물어룡백화 인물용봉백화 2. 위 . 진 ( 魏 . 晉 ) : * 전화 와 벽화 * 1972 년 감숙성 가욕관 근처에 있는 8 개의 옛 무덤에서 많은 벽화가 나왔다 . 이 벽화의 특징은 벽돌을 쌓은 벽면에 채색으로 그림을 그...2011.05.14· 14페이지 -
종교건축 51페이지
종교건축 교회건축의 형성과 표현개념목차 1. 교회건축의 일반적 특성 (1) 교회의 의미 (2) 교회건축의 의미 (3) 교회건축의 표현 2. 현대 교회 건축의 표현 형식 (1) 기능 및 합리성 추구 (2) 자의적 형태의 표현 (3) 역사의 재현 (4) 지역 및 전통성 모색 3 . 한국 교회 건축의 형태적 표현 분석 (1) 역사적 경향 (2) 합리적 경향 (3) 표현적 경향 (4) 지역적 경향 4. 결론1. 교회건축의 일반적 특성 (1) 교회의 의미 교회는 본래 장소나 건물이 아니라 모임 , 무리 , 또는 성도의 사귐으로 이해된다 . ...2008.08.07· 51페이지 -
중세시대 기술의 상황 11페이지
1 05 中世時代의 技術 서구의 중세는 ‘ 暗黑時代 ’이다 ? 활기차고 역동적인 시대로서 자연에너지 사용 , 기계화 , 노동과 기술의 가치 인정 , 기독교 , 장원경제 , 군사제도 , 도시경제의 기반 위에 近代 를 예고하였다 .2 1. 中世란 무엇인가 古代 ( 그리스 / 로마 ) 中世 ( 초기기독교 / 로마네스크 / 고딕 ) 서로마제국의 멸망 (476 년 ) 近代 ( 現代 )( 르네상스 / 바로크 / 근대 / 현대 ) 피렌체의 대성당의 돔 건설 (1420 년 ) 중세는 근대의 입장에서 만들어낸 시대구분이자 개념이다 . 즉 , 근대인...2007.08.09· 1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