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피부감각 측정 실험 결과 보고서
본 내용은
"
만점 자료/ 생물학기초실험2/ 결과레포트/ 피부감각 측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5
문서 내 토픽
-
1. 피부감각 수용기피부는 일반 감각을 담당하는 수용기를 가지고 있어서 뇌로 감각의 종류 또는 위치 강도, 기간에 대한 신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 감각기의 구조와 신경 종말 소체들의 위치, 피부는 크게 표피와 진피, 피하 조직으로 구분되며, 촉각, 냉각, 온각, 압각의 감지하는 수용기들이 위치해 있다. 피부와 점막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통각을 감지하는 자유 신경 종말, 결합 조직에서는 촉감은 마이스너 소체와 메르켈 소체, 온감은 루피니 소체, 냉감은 크라우제 소체, 압감은 파치니 소체가 관여한다.
-
2. 압각, 통각, 냉각, 온각압각: 피부나 점막을 압박하거나 끌어당기거나 하는 자극을 주었을 때, 피부 또는 점막면에 작용하는 압력의 차이 때문에 생기는 감각을 말한다. 통각: 아픔을 느끼는 피부감각으로 다른 피부감각과 다른 점은 통각을 일으키는 자극의 종류가 특정한 것이 아닌 점이고, 어떠한 자극도 그것이 매우 강해져 생체에 유해작용을 미칠 때에는 통증으로 느끼게 된다. 냉각: 일반적으로 피부감각의 하나로, 피부의 온도보다 낮은 온도의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감각이다. 온각: 따뜻함을 느끼는 감각으로, 피부에는 온각 수용기로서 루피니소체가 크라우제소체보다 더 깊이 위치하여 온각을 수용한다.
-
3. 감각정보의 전달과정동물이 신체 내외부에서 받은 자극이 구심신경에 의하여 중추에 전달되고, 거기에 어떤 의식과정이 일어나서 자극원을 감지하는 과정이 감각전달 과정이다. 감각을 인지하기 위해서는 감각수용기와 감각신경이 필요하다. 감각 수용기는 감각기와 자율신경, 말초신경 등의 신경접합부에 위치하며, 크게 단순, 복합, 또는 특수 감각수용기로 나뉜다. 수용기는 외부에서 받은 감각 자극을 전기적 자극으로 변환하여 감각시경 섬유로 전달한다. 이후에는 전달된 신호가 2차, 3차 감각령으로 전달 및 번역되어 인지된다.
-
1. 피부감각 수용기피부감각 수용기는 피부에 존재하는 감각기관으로, 피부에 가해지는 자극을 감지하여 중추신경계로 전달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피부감각 수용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는데, 압각 수용기, 통각 수용기, 온각 수용기, 냉각 수용기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들 수용기는 각각 압력, 통증, 온도 등의 자극을 감지하여 중추신경계로 전달함으로써 우리가 피부를 통해 느끼는 다양한 감각을 가능하게 합니다. 피부감각 수용기의 기능과 구조에 대한 이해는 피부 관련 질환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인체 감각 기능 연구에 중요한 기반이 됩니다.
-
2. 압각, 통각, 냉각, 온각피부감각 수용기 중에서 압각 수용기, 통각 수용기, 냉각 수용기, 온각 수용기는 각각 압력, 통증, 냉온 자극을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압각 수용기는 피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여 중추신경계로 전달하고, 통각 수용기는 피부에 가해지는 통증 자극을 감지합니다. 냉각 수용기와 온각 수용기는 각각 피부의 냉온 자극을 감지하여 중추신경계로 전달합니다. 이러한 다양한 피부감각 수용기의 기능은 우리가 피부를 통해 느끼는 다양한 감각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들 수용기의 기능 이해는 피부 관련 질환 진단과 치료, 그리고 인체 감각 기능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감각정보의 전달과정피부감각 수용기에서 감지된 자극 정보는 중추신경계로 전달되는데, 이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피부감각 수용기에서 자극을 감지하면 이 정보가 말초신경을 통해 척수로 전달됩니다. 척수에서는 이 정보가 처리되어 대뇌로 전달됩니다. 대뇌에서는 이 정보가 감각 피질에서 인지되고 해석됩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피부에 가해진 자극을 감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감각정보의 전달과정에서 각 단계의 기능 이해는 감각 기능 장애의 진단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이 과정에 대한 연구는 인체 감각 기능 이해에 기여할 것입니다.
-
Lesson4 실험보고서 (2023) 5페이지
실험보고서실험제목: Biopac Systems Inc을 이용한 뇌파(EEG) 측정실험목적1) 눈을 감고 있을 때와 뜨고 있을 때의 뇌파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2) 눈을 감고 암산을 했을 때 Alpha파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3) 과호흡을 실행하는 동안 및 실행 후 10초간의 안정 시 뇌파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실험방법이론적배경: 과호흡을 하게 되면 Alpha파의 진폭이 커지면서 전기적 활동이 증가한다.눈을 떴을 때 감각기관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desynchronization이 일어나 파동의 차이가 가장 크다.인간의 정상 범위 ...2023.06.19· 5페이지 -
(report) 6. 피부감각 측정 9페이지
생물학기초실험(1) 실험보고서학번: 이름:실험 날짜 (Date)2020.11.04실험 제목 (Title)피부감각 측정실험 재료 (Material)이쑤시개, 투명테이프, 비커, 해부기, 뜨거운 물, 얼음, 70% 알코올실험 방법 (Method)촉각 감각지도 그리기2인 1조로 짝을 이루어 실험을 진행한다.자와 투명 테이프, 이쑤시개 2개를 이용하여 그림과 같이 감각점 분포 측정기를 만든다.자를 이용하여 0점 부분에 이쑤시개를 투명테이프로 고정시키고, 다른 이쑤시개로 조금씩 벌려가면서 실험자가 피실험자의 측정 부위를 살짝 누른다.통각과 ...2022.01.31· 9페이지 -
간호과정론 ) 실험실습 결과보고서 6페이지
【 간호과정론 】실험실습 결과보고서○ 학번: ____________________ ○ 성명: ________________점수점※ 출석수업 강의 내용을 참고하여 아래 사항을 작성·제출하시오(총 30점 만점).1) 정상 폐음을 3가지를 제시하고, 각각의 성질, 흡기와 호기 비율, 높이, 강도를 설명하시오. (5점)(1) 기관지음: 기관지에서 윙윙거리는 속이 빈 소리, 높이가 높고 강도가 강하 소리,폐렴, 폐종양, 늑막염 시 폐에서 들린다.흡기 : 호기 (1:2)(2) 기관지 폐포음 : 높이, 강도 중간 정도 크기의 소리로 흉부 전면 ...2022.07.16· 6페이지 -
[인천대 일반생물학 실험 A+] 피부감각 측정 실험결과 보고서 4페이지
이번 실험에서는 여러 피부 감각을 이용해서 감각지도를 그리고 감각의 분포를 측정해 보았다. 첫 번째 실험에서는 하나의 이쑤시개를 자에 테이프로 붙여 고정하고 나머지 이쑤시개를 움직이면서 이쑤시개 간의 거리가 어느 정도 일때 이쑤시개를 2개로 느끼는 지 체크하였다. 이마, 아래 입술, 목, 팔꿈치, 손바닥, 발등에서 이쑤시개가 2개로 느껴지는 거리를 찾아 기록하고 각각 2번씩 실험하여 평균을 내었다. 그 후 감각지도를 그리기 위해 ‘2/평균’을 계산하였는데, 여기서는 이 값이 클수록 민감한 정도가 큰 것을 나타낸다. 이쑤시개의 두 ...2019.12.28· 4페이지 -
성인간호학 논문리뷰 - 케어비데로봇을 이용한 배설간호 4페이지
Journal Review 보고서● 논문명 : 케어비데로봇을 이용한 배설간호가 중환자실 환자의실금관련피부염, 욕창위험도, 생리학적 지표에 미치는 효과● 학술지명/권.호.페이지: 디지털융복합연구/ 19권.12호.649-660p● 저자 : 신나연, 김태곤, 장진영, 김미연● Print publication date : 2021.12.28● DOI : http://dx.doi.org/10.14400/JDC.2021.19.12.649Ⅰ. 서론? 문헌검색 절차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자들은 대부분이 기저귀를 차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갈아주어야 한...2022.06.30· 4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