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개념과 사례
본 내용은
"
첨단형 교통수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9
문서 내 토픽
-
1.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정의 및 특징수요응답형 교통체계(Demand Responsive Transport, DRT)는 대중교통의 노선을 미리 정하지 않고 여객의 수요에 따라 운행구간과 정류장을 탄력적으로 운행하는 여객운송서비스입니다. 이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장소에서 버스를 탈 수 있는 능동적인 대중교통 수단으로, 기존의 고정 노선 대중교통과는 달리 수요 기반의 유연한 운영이 특징입니다.
-
2. 국내 DRT 도입 배경 및 발전 과정국내 DRT의 시발점은 2009년 전남 나주시와 충남 아산시의 '마을택시' 사업입니다. 초기에는 법·제도 문제로 중단되었으나, 2013년 충남 서천군의 '희망택시'와 아산시의 '마중택시'가 성공적으로 운영되면서 주민만족도가 높아졌습니다. 이후 국토교통부는 2012-2016년 제2차 대중교통기본계획에서 DRT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제시했고, 2015년부터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본격 도입하기 시작했습니다.
-
3. 경기도형 DRT '똑타' 사례경기도와 경기교통공사가 협업하여 2023년 2월 발표한 경기도형 DRT '똑타'는 '똑똑하게 이동하는 버스'라는 의미의 브랜드입니다. 2021년 12월부터 파주 운정·교하지구에서 시범사업을 시행하여 약 39만 명이 이용했으며, 현재 경기도 전역에 총 88대가 운행 중입니다. 구글 플레이스토어나 애플 앱스토어에서 앱을 다운로드하여 카카오나 구글 계정으로 가입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
4. DRT와 MaaS 통합 서비스 계획경기도와 경기도교통공사는 통합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하여 경기도형 DRT 똑타와 택시, 지하철 등 다른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경기도형 MaaS 똑타 교통플랫폼으로 확대할 계획을 추진 중이며, 교통 사각지대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1.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의 정의 및 특징수요응답형 교통체계(Demand Responsive Transport)는 전통적인 고정 노선 대중교통의 한계를 보완하는 혁신적인 솔루션입니다. 승객의 실시간 요청에 따라 유동적으로 운영되는 이 시스템은 특히 저밀도 지역이나 야간 시간대에서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DRT의 가장 큰 장점은 개인화된 서비스 제공으로 승객 만족도를 높이면서도, 빈 좌석을 최소화하여 운영 효율성을 개선한다는 점입니다. 다만 실시간 배차 알고리즘의 복잡성, 운영 비용 증가, 그리고 이용자의 디지털 접근성 문제 등이 극복해야 할 과제입니다. 향후 AI와 빅데이터 기술의 발전으로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된다면, DRT는 지속가능한 도시 교통의 핵심 요소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 국내 DRT 도입 배경 및 발전 과정한국의 DRT 도입은 급속한 도시화와 인구 감소 지역의 교통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필연적 선택이었습니다. 기존 버스 노선의 비효율성과 적자 운영 문제, 그리고 고령화 사회에서의 이동성 보장 필요성이 DRT 도입을 촉진했습니다. 정부의 정책 지원과 지자체의 적극적 참여로 201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인 시범 운영이 시작되었으며, 기술 발전과 함께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축적된 운영 데이터와 사용자 피드백은 서비스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다만 지역별 편차가 크고 표준화된 운영 모델이 부족한 점은 개선이 필요합니다. 앞으로 더 많은 지역에서 성공적인 DRT 사례가 축적된다면, 국내 대중교통 체계의 혁신을 주도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경기도형 DRT '똑타' 사례'똑타'는 경기도의 DRT 서비스로서 지역 맞춤형 교통 솔루션의 좋은 사례입니다. 스마트폰 앱을 통한 직관적인 예약 시스템과 합리적인 요금 책정은 사용자 접근성을 높였습니다. 특히 기존 버스 노선이 부족한 지역에서 주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는 데 실질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초기 운영 단계에서 배차 시간 지연, 앱 사용 미숙으로 인한 불편, 그리고 운영 비용 부담 등의 문제가 보도되었습니다. '똑타'의 성공 여부는 이러한 초기 문제들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지속 가능한 운영 모델을 구축하는가에 달려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데이터 축적을 통한 서비스 최적화와 이용자 만족도 향상이 이루어진다면, 다른 지역의 벤치마킹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
4. DRT와 MaaS 통합 서비스 계획DRT와 MaaS(Mobility as a Service)의 통합은 미래 도시 교통의 핵심 방향입니다. 이 통합 서비스는 사용자가 하나의 플랫폼에서 버스, 지하철, 택시, 자전거 등 다양한 교통 수단을 예약하고 결제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동성을 극대화합니다. DRT는 MaaS 생태계에서 마지막 마일(Last Mile) 문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통합 서비스 구현을 위해서는 여러 교통 사업자 간의 협력, 표준화된 데이터 포맷, 그리고 개인정보 보호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습니다. 또한 초기 투자 비용이 상당하고, 이용자의 디지털 리터러시 격차도 고려해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RT-MaaS 통합은 탄소중립 달성과 도시 교통 효율화를 위한 필수 불가결한 전략이며, 단계적 추진을 통해 성공 가능성이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