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텐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시편의 인장 실험
본 내용은
"
[금속재료실험]마르텐 사이트계 스테인리스 시편의 인장 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6
문서 내 토픽
-
1. 인장시험재료에 인장하중을 서서히 가하여 항복점, 내력, 인장강도, 신장 등 기계적 성질을 측정하는 실험. 시편을 인장시험기에 고정하고 중심축에 평행하게 바깥 방향으로 힘을 작용시켜 물체가 늘어나는 현상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단순 인장과 편심 인장으로 구분되며, 응력-변형도 선도를 통해 재료의 탄성 한계, 비례 한계, 항복점, 인장 강도, 파괴점을 파악할 수 있다.
-
2. 응력과 변형재료에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하중이 가해질 때 내부에 생기는 저항력을 응력이라 한다. 인장 응력은 재료가 외력을 받아 늘어날 때 내부에 발생하는 저항력(㎏/㎟)을 의미한다. 신장은 외부 힘으로 인한 물체 내 선분의 길이 변화 비율이며, 비례한도는 응력과 변형이 정비례하는 최대한도를 나타낸다.
-
3. 항복점과 인장강도항복점은 연강의 인장시험에서 응력이 증가하지 않고 왜곡만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응력으로, 재료의 기준강도에 널리 이용된다. 상항복점과 하항복점이 있으며 KS에서는 상항복점을 항복점으로 정의한다. 인장강도는 응력-변형도 선도에서의 최대점의 응력을 나타낸다.
-
4. 실험 결과 및 분석440A 스테인리스강 시편(25㎜ 길이, 너비 5.95-5.98㎜, 두께 2.01-2.08㎜)을 대상으로 인장시험 수행. 최대하중 700.5kgf, 인장강도 64.93MPa, 항복하중 439.5kgf, 항복강도 54.44MPa, 최대변위 12.04㎜, 연신율 2.04%, 단면수축율 기록. 인장 전 표점 25.00㎜에서 파단 후 25.51㎜로 측정되어 신장량 0.51㎜ 확인.
-
1. 인장시험인장시험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실험입니다. 이 시험을 통해 재료가 인장력에 어떻게 반응하는지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재료의 강도, 연성, 취성 등 다양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표준화된 절차에 따라 수행되므로 서로 다른 재료 간의 비교가 용이하고, 산업 전반에서 품질 관리와 재료 선택의 기준이 됩니다. 특히 건설, 자동차, 항공우주 등 안전이 중요한 분야에서 필수적인 검사 방법입니다.
-
2. 응력과 변형응력과 변형의 관계는 재료역학의 핵심 개념으로, 재료가 외부 하중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설명합니다. 응력은 단위 면적당 작용하는 힘이고 변형은 원래 길이에 대한 길이 변화의 비율로, 이 둘의 관계를 이해하는 것이 구조물 설계와 안전성 평가에 필수적입니다. 선형 탄성 범위에서는 훅의 법칙이 성립하지만, 항복점을 넘으면 비선형 거동을 보이므로 이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항복점과 인장강도항복점과 인장강도는 재료의 강도를 나타내는 두 가지 중요한 지표입니다. 항복점은 재료가 영구 변형을 시작하는 응력값으로 설계 시 안전 기준이 되며, 인장강도는 재료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값입니다. 두 값의 차이는 재료의 연성을 나타내므로, 용도에 따라 적절한 재료를 선택할 때 이 두 값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안전성이 중요한 구조물에서는 항복점을 기준으로 설계하여 예측 가능한 거동을 보장합니다.
-
4. 실험 결과 및 분석인장시험의 결과 분석은 응력-변형 곡선을 통해 재료의 전체적인 거동을 파악하는 과정입니다. 곡선의 기울기, 항복점, 최대 응력, 파단점 등 각 특성값을 정확히 읽고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험 데이터와 이론값의 비교를 통해 재료의 품질을 검증하고, 편차가 발생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시편의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재료의 신뢰성과 일관성을 평가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의 품질 관리에 매우 유용합니다.
-
[재료기초실험]재료 조직 분석 - 미세 조직 분석 9페이지
재료 조직 분석- 미세 조직 분석 -1. 실험 목적가. 재료시험의 기초과정이며 준비과정인 시편 준비 과정(절단, 성형, 연마, 부식)을 익히고 광학현미경에 의한 조직을 관찰하여 이론과 비교분석한다.2. 실험 기구 및 시약가. 실험 재료1) 실습 재료 : 면장갑, 사포(#220, 400, 600, 800, 1000, 1200, 1500), 쇠톱, 줄, 절단기 날, 수용성 절삭유, 연마제(Al _{2} O _{3} 1㎛, 0.3㎛), 연마포(질산, 에탄올), 솜, 보루, 티슈, 이형제 페놀수지, 에칭액2) 사용 장비 : 바이스, 고속냉...2020.04.18· 9페이지 -
재료조직 최종 보고서 14페이지
1.이론적 배경1) 광학 현미경의 원리⇒ 표본으로부터 빛을 사용하여 대물렌즈에 의해 표본이 확대된 실상을 맺고, 이것을 접안렌즈에 의해서 재 확대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현미경이라고 할 때는 이것을 가리킨다. 종류에는 보통현미경·자외선현미경·적외선현미경·형광현미경·암시야현미경·위상차현미경·편광현미경·간섭현미경 등이 있다.2) 로크웰 경도/ 비커스 경도기 원리▶로크웰 경도 ⇒ 지정된 형상의 강 구슬 또는 다이아몬드 원추 압자를 이용하여 최초에 기준하중을 가하고, 다음으로 시험하중까지 하중을 증가시킨 후, 최초의 기준하중으로 되돌아온...2019.03.23· 14페이지 -
재료실험 경도시험 결과보고서 입니다. 9페이지
재료실험Report① 시험 데이터를 정리하고, 시편의 경도를 구하라.이때 평균, 표준편차 등 통계 기법을 이용하여 정리한다.시험No.HRA(60kgf)HRD(100kgf)HRC(150kgf)156.53411256.534.511.535736.39.5457.435.59.5556.535.510.5657.43612758.337.513.2평균57.135.611.0표준편차0.6221.0721.244※비고 : 시험 시 1번→7번 의 순서대로 시험편의 중심에서 외경방향으로 경도 값을 측정하였다.각각의 다른 스케일에서 시험을 시행한 결과 모든 결과...2018.06.21· 9페이지 -
재료조직실험 보고서 22페이지
재료조직실험목차1.이론적 배경1-1. 광학현미경1-2. 로크웰 경도기1-3. 비커스 경도계2.실험에 사용된 강2-1. S20C, S45C2-2. SCM420, SCM4402-3. SNCM2202-4. STS3043.실험에 사용된 열처리3-1. 열처리란?3-2. 불림(Normalizing)3-3. 표면경화열처리3-4. 고용화열처리5.실험방법5-1. 시편절단5-2. Grinding5-3. Polishing5-4. Etcing5-5. 미세조직관찰5-6. 경도측정6.실험결과 및 고찰6-1. S20C, S45C 조직6-2. SCM420, S...2019.04.07· 22페이지 -
재료실험최총 - 금속재료실험 보고서 51페이지
REPORT제목 : 금속재료실험 보고서● 담당교수 : 강창룡 교수님● 소속 :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제출일자 : 2015년 6월 18일실험1. 경도시험1. 실험의 목적경도시험의 목적에는 사용 재료의 경도 값을 알고자 하는 경우, 경도 값으로부터 강도를 추정하고 싶은 경우 또는 경도 값으로부터 시험편의 가공 상태나 열처리상태를 비교하고 싶은 경우 등이 있다. 재료의 단순 경도 값을 알고자하는 경우에는 적절한 시험방법을 선택하면 된다. 그러나 경도 값으로부터 강도를 추정하는 경우에는 근본 목적이 강도의 추정이므로 침탄처리 등의 표면 처...2016.09.12· 5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