냉매에 따른 Fe-C 시편의 결정크기 및 경도 비교
본 내용은
"
[재료공학기초실험]냉매에 따른 시편의 결정크기 및 경도비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6
문서 내 토픽
-
1. 열처리 및 냉각속도Fe-C 시편(0.4wt%C)을 900℃에서 1시간 열처리하면 오스테나이트 철로 변태하고, 냉각속도에 따라 펄라이트, 베이나이트, 마르텐사이트 등으로 변태한다. 냉각속도가 빠른 순서는 소금물, 소주, 얼음물, 기름, 공기 중 냉각이며,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경도가 높아지고 결정립이 작아진다. 실험 결과 공냉과 기름 열처리는 느린 냉각으로 결정립이 크고 경도가 낮으며, 얼음물과 소금물은 빠른 냉각으로 결정립이 작고 경도가 높게 나타났다.
-
2. 금속 시편 준비 및 폴리싱Fe-C 시편의 표면은 열간 압연 공정에서 산화와 탈탄반응이 발생하므로 폴리싱이 필수적이다. 500RPM에서 200mesh부터 1000mesh까지 단계적으로 연마하며, 각 단계에서 이전 연마자국을 완전히 제거해야 한다. 최종적으로 연마액(Al₂O₃)을 사용한 버핑연마로 경면을 만들어 광학현미경 관찰을 위한 준비를 완료한다.
-
3. 경도 측정 및 미세조직 관찰로크웰 경도기 B스케일을 사용하여 각 시편의 3지점 경도값을 측정하고 평균값을 산출한다. 메탄올 98% 용액에 약 18초간 에칭한 후 광학현미경으로 20배, 40배, 60배율에서 미세조직을 관찰한다. 열처리 전후 시편의 결정립 크기와 경도 변화를 비교하여 냉각속도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
4. 금속 재료의 성질 제어동일한 화학 조성의 철도 열처리 방법과 냉각속도를 조절하면 원하는 경도와 미세조직을 얻을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냉각속도가 빠를수록 경도가 높아지고 결정립이 작아지는 상관관계를 확인했으며, 이는 산업에서 금속 재료의 물성을 최적화하는 데 중요한 원리로 활용된다.
-
1. 열처리 및 냉각속도열처리와 냉각속도는 금속 재료의 미세조직과 기계적 성질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적절한 온도에서의 가열과 제어된 냉각을 통해 결정립 크기, 상의 분포, 내부 응력 등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빠른 냉각은 경도를 증가시키지만 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느린 냉각은 연성을 개선하지만 강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원하는 성질을 얻기 위해서는 재료의 특성과 용도에 맞는 최적의 냉각속도를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는 금속 재료 공학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실용적인 기술입니다.
-
2. 금속 시편 준비 및 폴리싱금속 시편의 준비와 폴리싱은 미세조직 관찰과 분석의 정확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전처리 과정입니다. 절단, 마운팅, 연마, 폴리싱의 각 단계에서 시편 표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평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부적절한 준비는 인공적인 결함이나 변형층을 만들어 실제 미세조직을 왜곡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최종 폴리싱 단계에서 적절한 연마재와 폴리싱액을 사용하여 거울면을 만드는 것이 현미경 관찰의 품질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따라서 이 과정은 신중하고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합니다.
-
3. 경도 측정 및 미세조직 관찰경도 측정과 미세조직 관찰은 금속 재료의 성질을 평가하는 상호보완적인 방법입니다. 경도 측정은 재료의 강도와 내마모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빠르고 효율적인 방법이며, 미세조직 관찰은 경도 값의 원인을 이해하고 재료의 내부 구조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비커스, 로크웰, 브리넬 경도 등 다양한 측정 방법이 있으며, 광학 현미경이나 전자 현미경을 통한 미세조직 분석으로 결정립, 상의 분포, 결함 등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두 방법을 함께 활용하면 재료의 성질을 더욱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
4. 금속 재료의 성질 제어금속 재료의 성질 제어는 열처리, 합금 원소 첨가, 냉간 가공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미세조직을 조절함으로써 강도, 경도, 연성, 인성 등의 기계적 성질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현대 산업에서는 특정 용도에 최적화된 성질을 가진 재료가 요구되므로, 성질 제어 기술은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동차 부품은 높은 강도와 인성이 필요하고, 절삭 공구는 높은 경도와 내열성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재료 공학자는 과학적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최적의 성질 제어 방법을 선택해야 합니다.
-
[금오공과대학교] 기계적특성평가 충격시험보고서 13페이지
1.실험제목 : 충격시험(impact Test) 2.실험목적 : 재료에 힘을 가해 진행하는 여러 시험들에서 재료가 만족스러운 강도를 나타내더라도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가하는 ‘충격’에도 강한 재료인지는 파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어떠한 재료가 인장시험, 경도시험 등에서 동일한 강도를 가진 것으로 예상되더라도 두 재료에 충격을 가했을 때 큰 저항을 나타내는 것과 작은 저항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뉠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재료를 알아 볼 때 충격실험을 통해 시험편에 충격적인 하중을 가함으로써 재료의 충격에 대한 저항, 즉 인성과 취성...2023.06.27· 13페이지 -
탄소강(0.2%,0.3%) 실험계획서 17페이지
계획서0.2%, 0.4% 탄소강 열처리 실험 계획서1. 개요1-1 실험 목적탄소강은 철(Fe)과 탄소(C)의 합금이다. 탄소 함유량이 0.2%와 0.4%인 탄소강을 각각 상온의 페라이트(α철) 상태에서 철의 동소변태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 하여 오스테나이트(δ철) 상태로 변태 냉각 방식에 따라 결정구조와 강도의 변화를 확인한다.CSiMnPSCuNiCrMoSol-AlTiB0.2%0.210.220.500.0170.0090.150.060.100.020.0280.0020.00010.4%0.4650.200.810.0120.0031-2 실험 방...2009.09.19· 17페이지 -
탄소강(S15C)의 열처리 및 충격시험 10페이지
탄소강의 열처리 및 충격시험1. 실험목적탄소강을 열처리 하여 충격시험을 통해 각각 열처리법 간 충격인성 및 내부 조직을 관찰 및 비교, 분석한다.2. 이론적 배경(1) 철강재료의 열처리열처리방법을 크게 구분하면 주조나 단조후의 편석 및 잔류응력 등을 제거하여 균질화시키거나 또는 연화를 목적으로 행하는 풀림(annealing), 결정립을 미세화하여 기계적성질이나 피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멀라이징(normalizing), 경화를 위하여 행하는 퀜칭quenching), 그리고 강인화를 위한 템퍼링(tempering) 처리 등으로 나눌 ...2008.07.08· 10페이지 -
탄소강의 열처리 및 조직 관찰 7페이지
1. 실험목적(1) 미세조직 관찰(2) 미세조직을 관찰하고 철근의 경도 값을 알아보기 위한 연마작업(3) 철근의 경도 값 측정(4) 미세조직 관찰을 위한 연마후 관찰을 위한 시편작업(에칭과 금속현미경보기)2. 이론적 배경열처리란?열·냉각을 이용하여 공업재료의 특성을 향상시키는 기술. 물질을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면 내부구조(조직)에 변화가 일어나서 성질이 현저하게 개량되는 경우가 있다. 철강재료는 열처리에 의해 특성을 대폭 변환시킬 수 있는 대표적인 재료인데, 자유자재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유연하게 할 수도 있고, 반대로 철강 자체를 ...2007.12.05· 7페이지 -
가공경화실험 10페이지
1. 실험목적재료의 강화기구인 가공경화의 원리와 강화특성을 이해한다.2. 이론(1) 결정입계에 의한 강화일반적으로 다결정 재료에 있어서 결정입계 그자체는 고유의 강도를 갖고 있지 않으며, 결정입계에 의한 강화는 결정립 내의 슬립을 상호 간섭함에 의해 일어난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결정입계가 많아질수록 즉 결정의 입도가 작아질수록 재료의 강도는 증가한다.Hall과 Petch는 인장항복응력과 결정립크기와의 사이에 다음과 같은 식이 성립함을 발견하였다.여기서= 인장항복응력= 입내에서 전위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응력k' = 결정입계의 상...2004.06.01· 10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