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동 인수인계: 대퇴골 전자하부 골절 수술 환자 사례
본 내용은
"
병동에서 인수인계 사례적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7
문서 내 토픽
-
1. 수술 후 통증 관리77세 여성 환자가 대퇴골 전자하부 골절로 CRIF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직후 NRS 9점의 심한 통증과 오심을 호소했습니다. 페티딘 1ⓐ IM과 할로페리돌 5mg 0.5ⓐ 투여 후 20분 내 통증이 완화되었습니다. 이후 PCA 적용 및 PRN 케랄라 50mg IM으로 통증을 관리하였으며, 8/15일 현재 NRS 6점으로 감소하여 환자가 통증이 괜찮다고 표현했습니다.
-
2. 수술 후 합병증 예방 간호환자는 수술 후 폐색전증 예방을 위해 항응고제 자렐토 10mg 0.5T 투여, 항혈전 스타킹 착용, IPC 적용을 받았습니다. 또한 욕창 예방을 위해 에어매트리스 적용, 2시간마다 체위변경, 침상 거상 등의 간호를 시행했습니다. 낙상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침상 난간을 적용하여 안전을 도모했습니다.
-
3. 활동성 회복 및 재활 간호수술 후 3일째부터 주치의 확인 후 앉은 자세 또는 휠체어 탑승을 시작했습니다. 8/15일 현재 휠체어 1회 탑승을 실시했으며, 제한된 범위 내 침상 운동, 등척성 운동 격려, 좌측 하지 ROM 운동을 실행했습니다. POD 2주 후 퇴원이 예상되며, 점진적인 활동성 증대가 계획되어 있습니다.
-
4. 약물 관리 및 투약 계획환자는 고혈압 및 골다공증 기저질환이 있으며, 현재 제티암주 2ⓥ#2/day, 페르디핀 1ⓐ, 플라즈마 솔루션 A 500mg/day 정맥주사와 자렐토 10mg 0.5T, 맥스펜정 3T#3, 신바로캡슐 2T#2 경구약을 투여 중입니다. POD 4일부터 경구약 시작 예정이며, POD 6일까지 자렐토 투여 후 아스피린 및 클로피도그렐 복용 시 중단할 계획입니다.
-
1. 수술 후 통증 관리수술 후 통증 관리는 환자의 회복과 삶의 질 향상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효과적인 통증 관리를 위해서는 환자의 통증 수준을 정기적으로 평가하고, 약물적 치료와 비약물적 중재를 병행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개인의 통증 역치와 반응이 다르므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하며, 과도한 진통제 사용을 피하면서도 적절한 통증 조절을 달성해야 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와의 소통을 통해 통증 양상을 파악하고, 심호흡, 이완요법, 냉온 요법 등의 비약물적 방법도 함께 제시하여 전인적 통증 관리를 제공해야 합니다.
-
2. 수술 후 합병증 예방 간호수술 후 합병증 예방은 환자의 안전과 회복 기간 단축에 직결되는 중요한 간호 영역입니다. 감염, 혈전증, 폐렴, 욕창 등 다양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체계적인 모니터링과 예방적 중재가 필요합니다. 무균 기술의 철저한 준수, 정기적인 활동 유도, 호흡 운동 교육, 피부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 변화를 민감하게 감지하고 조기에 이상 징후를 발견하여 의료진에게 보고함으로써 합병증을 조기에 예방하고 대응할 수 있습니다.
-
3. 활동성 회복 및 재활 간호수술 후 활동성 회복과 재활은 환자가 일상생활로 복귀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조기 활동 시작은 혈전증, 폐렴, 근력 약화 등을 예방하고 회복을 촉진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상태와 수술 종류에 따라 단계적이고 점진적인 활동 계획을 수립하여 안전하게 진행해야 합니다.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 다학제 팀과의 협력이 중요하며, 환자 교육과 격려를 통해 동기를 유지하도록 지원해야 합니다. 개인의 진행 속도를 존중하면서도 목표 달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
4. 약물 관리 및 투약 계획수술 후 약물 관리는 감염 예방, 통증 조절, 합병증 예방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정확하고 안전한 투약이 매우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약물 알레르기, 기존 복용 약물, 신장 및 간 기능 등을 고려하여 투약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정확한 용량, 시간, 경로에 따른 투약을 철저히 하고, 약물의 부작용을 모니터링하며 환자에게 약물 정보를 제공해야 합니다. 퇴원 후 자가 투약 관리를 위한 교육도 필수적이며, 약물 복용 순응도를 높이기 위한 실질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