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장암 케이스 스터디: 좌반결장절제술 환자 간호
본 내용은
"
Colon cancer case study, 대장암,결장암 케이스스터디 A+자료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1
문서 내 토픽
-
1. 결장암의 병태생리 및 위험인자결장암은 대장의 결장부위에 생기는 악성종양으로, 대부분 선종성 용종에서 시작하여 악성으로 변한다. 종양은 주로 간으로 침범하며, 약 70%는 결장 원위부(S자결장, 직장)에서 발생한다. 위험인자로는 50세 이상의 연령, 저섬유소 식이, 고지방 음식, 신체활동 부족, 비만, 음주, 가족적 성향 등이 있다. 저섬유소 식이는 장내 통과시간을 지연시켜 발암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 시간을 길게 하므로 위험요인이 된다.
-
2. 결장암의 진단 방법결장암 진단은 분변잠혈검사, 대장내시경검사, 대장 이중조영 검사, 컴퓨터 단층촬영(CT) 등으로 이루어진다. 분변잠혈검사는 위장관 출혈 여부를 확인하고, 대장내시경검사는 의사가 직접 출혈 부위와 병변을 관찰하여 가장 정확한 진단방법이다. CT는 종양의 크기, 전이 여부, 장벽 침투 깊이를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
3. 결장암의 외과적 치료결장암의 외과적 치료는 종양의 위치에 따라 우측 반결장절제술, 좌측 반결장절제술, 가로결장절제술, 전방절제술 등이 시행된다. 좌측 반결장절제술은 종양이 가로결장 말단부위, 비장굽이, 내림결장에 위치했을 때 시행되며, 이 부위를 절제하고 남아있는 가로결장과 S상결장을 연결한다.
-
4. 수술 후 간호 관리수술 후 간호는 급성 통증 조절, 장루 관리, 위장관 운동 회복을 포함한다. 통증 사정 및 진통제 투여, 적절한 체위 유지, 복부팽만 사정이 필요하다. 장루 관리는 주기적 측정, 개구부 청결 유지, 냄새 및 가스 조절이 포함되며, 위장관 운동 회복을 위해 장음 청진, 조기이상, 변비 예방이 중요하다.
-
1. 결장암의 병태생리 및 위험인자결장암의 병태생리는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선종성 용종을 거쳐 악성종양으로 진행하는 adenoma-carcinoma sequence로 설명됩니다. 이 과정에서 APC, KRAS, TP53 등의 유전자 변이가 누적되어 발생합니다. 위험인자로는 고령, 가족력, 염증성 장질환, 비만, 흡연, 과도한 음주 및 붉은 고기 섭취 등이 있습니다. 특히 50세 이상에서 발생률이 급증하며, 유전성 용종증 증후군이나 린치 증후군 같은 유전적 소인도 중요합니다. 생활습관 개선과 정기적인 선별검사를 통해 위험을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예방의학적 접근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결장암의 진단 방법결장암의 진단은 다양한 방법이 복합적으로 사용됩니다. 대장내시경은 직시하에서 조직검사가 가능하여 확진의 표준 방법이며, 용종 제거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습니다. CT 대장조영술은 내시경이 불가능한 경우 대안이 되며, 종양의 위치와 크기 파악에 유용합니다. 혈청 종양표지자(CEA, CA 19-9)는 진단보다는 예후 판정과 재발 감시에 더 유용합니다. 확진 후 병기 결정을 위해 복부 및 골반 CT, 흉부 CT, 그리고 필요시 MRI가 시행됩니다. 조기 발견이 예후를 크게 좌우하므로 50세 이상의 정기적인 선별검사가 권장됩니다.
-
3. 결장암의 외과적 치료결장암의 외과적 치료는 종양의 위치, 크기, 병기에 따라 결정됩니다. 우측 결장암은 우측 반결장절제술, 좌측 결장암은 좌측 반결장절제술 또는 전방절제술이 시행됩니다. 직장암의 경우 저위전방절제술 또는 복회음절제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최소침습 수술인 복강경 수술은 회복 시간 단축과 합병증 감소의 장점이 있습니다. 림프절 절제는 정확한 병기 결정과 치료 효과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수술 후 병기에 따라 보조 항암화학요법이 고려되며, 특히 III기 이상에서는 권장됩니다. 수술 기술의 발전으로 생존율이 지속적으로 향상되고 있습니다.
-
4. 수술 후 간호 관리결장암 수술 후 간호 관리는 합병증 예방과 빠른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 초기에는 통증 관리, 감염 예방, 적절한 수액 및 영양 공급이 중요합니다. 장운동 회복을 촉진하기 위해 조기 이동과 식이 진행이 권장됩니다. 배변 양상 변화, 장폐색, 누공 등의 합병증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스토마 형성 환자의 경우 스토마 관리 교육과 심리적 지지가 필수적입니다. 퇴원 후에는 정기적인 외래 추적 관찰, 영상 검사, 종양표지자 검사를 통해 재발을 조기에 발견합니다. 보조 항암화학요법이 필요한 경우 부작용 관리와 삶의 질 유지를 위한 종합적인 지지가 필요합니다.
-
성인간호학 회장루복원술 케이스 진단2개 14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케이스스터디1. 환자정보진단명 : Loop ileostomy statue수술명 : Ileostomy repair입원경위 : 23.01.17 S-결장의 게실염 천공에 의한 복막염으로 Hartman OP 했던 분으로 loop ileostomy repair 하기 위해 입원함2. 문헌고찰1) 정의회장루 복원술이란 일시적으로 장루를 만들어 놓은 경우 배 안쪽으로 분리해놓은 장과 장을 연결하여 항문으로 향하게 하여 정상적인 배변통로를 가지게 하는 장루복원수술이다. 회장루은 소장의 끝부분에 위치해 있는 회장에 만든 장루이다. 장루는...2024.05.02· 14페이지 -
성인간호학 직장암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과정 36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Ⅱ케이스 스터디목차1. 문헌고찰2. 간호과정3. 결과4. 참고문헌문헌고찰직장암(Rectal cancer)1) 정의결장직장암은 대부분 선암으로 우리나라에서도 식생활 습관이 점차 서구화됨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결장직장암은 어느 연령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나 50대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호발하고 남녀 발생률은 비슷하다. 악성종양의 대부분(약 70%)이 결장 원위부(내림결장, S자결장, 직장)에서 발생한다.2) 원인 및 관련요인연령 : 50세 이상식이 : 저섬유성, 고지방, 육류의 과다섭취만성궤양성 대장염 ...2019.01.23· 36페이지 -
대장용종 케이스스터디 13페이지
[대장용종 케이스스터디]Ⅰ. 문헌 고찰1. 대장의 구조와 기능대장은 식물성 섬유나 가타 일부 음식물을 소화시키는 것 외에 주로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드는 곳으로 맹장(cecum), 결장(colon), 직장(rectum)의 세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대장의 길이는 약 150cm 이다. 회장 말단은 회맹판(ileocecal valve)에 의해 맹장으로 연결되며, 충수돌기(appendix)는 맹장 중앙부로부터 회맹접합부 아래로 약 7~8cm 가량 나와 있다.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 전반부 반쪽은 중장(midgut)에서 분화되었다....2013.02.27· 1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