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기설비규정(KEC) 기준 차단기 선정 방법
본 내용은
"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기준 차단기 선정 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5
문서 내 토픽
-
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의 협조과부하 보호장치는 설계전류(IB) ≤ 보호장치 정격전류(In) ≤ 케이블 허용전류(Iz)를 만족해야 하며, 규약동작전류(I2)는 1.45 × Iz 이하여야 한다. 이는 도체의 열적 안전성을 보장하고 과부하 상황에서 적절한 보호를 제공하기 위한 기본 조건이다.
-
2. KEC 기준 차단기 선정 순서차단기 선정은 6단계 절차를 따른다: 1) 회로 설계전류 고려, 2) 케이블 열적강도 고려, 3) 전동기 기동전류 고려, 4) 기동돌입전류 고려, 5) 단락전류 고려, 6) 최대 용량 선정. 각 단계에서 계산된 차단기 용량 중 가장 큰 값을 최종 선정하여 회로 보호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
3. 동력부하 차단기 선정 실무22kW 3상 380V 동력부하의 경우 설계전류 44A에서 시작하여 케이블 열적강도, 전동기 기동전류(342A, 7.2배) 등을 고려한다. 기동시간 4초 기준으로 규약동작배율 5.8배를 적용하면 차단기 정격전류 63A, 케이블 16㎟ 2/3C(72A)로 최종 선정된다.
-
4. 전동기 기동전류 고려 사항전동기는 기동 시 정격전류의 6~8배 기동전류가 발생한다. 동작 가산시간은 5초 이내(기동시간 50% 이내)로 제한되며, 제조사별로 규약동작배율이 다르므로 각각 다르게 선정된다. 기동시간 증가에 따라 차단기 정격전류와 케이블 규격도 함께 증가한다.
-
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의 협조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의 협조는 전기설비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도체의 허용전류가 과부하 보호장치의 동작전류보다 커야 하며, 보호장치의 동작전류는 도체의 허용전류 이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협조 관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체의 과열로 인한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장거리 배선이나 고부하 회로에서는 더욱 신중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도체 단면적 선정 시 전압강하도 함께 고려하여 경제성과 안전성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KEC 기준 차단기 선정 순서KEC 기준에 따른 차단기 선정은 체계적인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먼저 회로의 설계전류를 산정하고, 이에 따른 적절한 정격전류의 차단기를 선정합니다. 다음으로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회로의 예상 단락전류 이상이어야 하며, 보호특성이 부하의 특성에 맞아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상위 보호장치와의 선택적 협조를 검토하여 최종 결정합니다. 이러한 순서를 준수하면 안전하고 신뢰성 있는 전기설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
3. 동력부하 차단기 선정 실무동력부하 차단기 선정 시 전동기의 정격전류, 기동전류, 기동시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전동기 정격전류의 1.25배 이상이어야 하며, 기동 중 과도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시간지연 특성을 가져야 합니다. 또한 단락보호 특성도 충분해야 하고, 여러 전동기가 있을 경우 동시 기동을 고려한 설계가 필요합니다. 실무에서는 제조사의 기술자료를 참고하여 최적의 차단기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전동기 기동전류 고려 사항전동기의 기동전류는 정격전류의 5~7배에 달하므로 이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필수적입니다. 기동전류로 인한 전압강하가 다른 부하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선 단면을 적절히 선정해야 합니다. 차단기는 기동 중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시간지연 특성을 가져야 하며, 기동 시간이 길어질 경우 차단기의 열동작 특성을 검토해야 합니다. 대용량 전동기의 경우 소프트스타터나 변압기를 이용한 기동방식도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전력계통에 미치는 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한국전기설비규정 차단기 선정 방법 8페이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차단기 선정 방법1. 도체(전선)와 과부하보호장치(MCCB) 사이의 협조다음 두 가지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과부하보호 설계 조건도 적용 예)* 기존 판단기준에서는 전동기의 경우 차단기 용량을 정격전류의2.5배 또는 3배 이하로 선정* 개정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에서는?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의 협조를 만족해야 함?전동기의 기동시간에 따른 규약동작배율 등을 고려(케이블의 과부하 내열 특성)* 일반부하와 기동시간이 2초 이하인 동력부하의 경우 (1)의 조건 즉,차단기정격은 설계전류 이상이고 전선의 규...2022.10.11· 8페이지 -
한국전기설비규정 케이블 선정 방법 10페이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케이블 선정 방법1. 설계 절차2. 설계전류를 고려한 공칭단면적 선정 (Step.1)? : 회로의 설계 전류 (A)? : 상 식별 계수(3상 : √ , 단상 : 1)? : 수용률? k : 부하의 불평형에 따른 선 전류 증가 계수? : 단상, 또는 3상 부하의 입력 (VA)? : 정격전압 (V)? : 고조파발생 부하의 선 전류 증가 계수* 정격전류(설계전류)보다 큰 케이블 선정{}_{B}< Iz 조건만 만족3. 과전류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를 고려한 도체 단면적 선정 (Step 2)1) 전동기의 최대기동전류를 고...2022.10.13· 10페이지 -
공통접지(한국전기설비규정 KEC) 8페이지
공통접지(한국전기설비규정 : KEC)1) 공통접지란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특고압접지 계통과 저압접지 계통을 공통으로접지하는 방식이며, 이 때 접지저항은 가장 낮은 것을 선정하는 것이 보통이다.(그림1) TN 계통의 공통접지 방식2) 공통접지에 관련된 규정은 KEC 321 “고압,특고압 접지계통” 에 규정되어 있으며,공통접지에 관한 국제표준 규격의 적용은 KS C IEC 61936-1(교류 1kV 초과 전력설비- 제1부: 공통규정) 10. 접지시스템에 의하며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3) 고압,특고압 및 저압 접지시스템고압,특고압...2021.06.15·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