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배전반 제작감리 체크리스트
본 내용은
"
수배전반 제작감리 체크리스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4
문서 내 토픽
-
1. 패널 외함구조수배전반의 외함은 두께 3.2mm의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제2종으로 제작되며, 계기 등이 부착되지 않는 면이나 문은 2.3mm 사용 가능합니다. 문은 ㄷ형으로 가공하여 경첩으로 지지하며 비틀림이나 처짐이 없어야 하고, 도어 핸들은 열쇠부이며 눌러서 개폐하는 제품을 사용합니다. 도어에는 3개소 이상의 고무 패킹을 부착하여 개폐를 원활히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조작기구는 MH 1,800mm 이하, 지시계기는 MH 2,300mm 이하에 설치되어야 합니다.
-
2. 패널내부구조 및 모선패널 내부의 기기배치 및 배선처리가 잘 정돈되어 있어야 합니다. 모선은 KS 규격의 전기동을 주석 또는 은도금 처리(도전율 97% 이상)하며, 전원모선은 50mm-6t, 접지모선은 25mm-3t의 최소 규격을 유지합니다. 상 구별은 컬러 절연 수축튜브(갈-흑-회-녹노)로 표시하고, 모선의 접속 및 지지는 스테인리스 볼트를 사용하며 토크렌치로 조임 상태를 표시합니다.
-
3. 고압 기기 정격 및 안전장치LBS반, LA, MOF, PF, VCB, CT, SA 등 고압 기기들은 제작자 자체시험성적서를 확인하고 정격 사항을 검증합니다. VCB는 안전장치(기계적인터록)를 반드시 확인하여 주접점 개방시만 모선과 분리되고, 모선과 완전 결합되었을 때만 주접점이 닫혀야 합니다. 인출시 절연셔터에 의한 완전 격리로 아크사고를 방지합니다.
-
4. 저압 기기 및 보호장치ACB반은 AC 600V 4P, UVT 내장, 지연형으로 안전장치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MCCB반은 AC 600V, 10kA 이상의 KS규격 제품을 사용하며 동일회사 제품으로 통일합니다. ATS는 AC 600V, 4P, 순시여자방식으로 개극시간 0.09sec 이내, 투입시간 0.12sec 이내를 만족해야 합니다.
-
5. 축전지 및 콘덴서 반축전지는 무보수 밀폐고정형 납축전지(KS C 85181)를 사용하며 12V-9Cell 규격으로 방전종지전압 10.8V, 부동충전전압 13.38~13.8V/Cell을 유지합니다. 콘덴서는 3상 380V 60Hz KS 규격 제품을 사용하고, 축전지반과의 안전구획(Steel 1.6mm 이상)을 설치하며 통풍 및 환기구를 갖춰야 합니다.
-
1. 패널 외함구조패널 외함구조는 전기설비의 안전성과 내구성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적절한 외함 설계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내부 기기를 보호하고, 사용자의 감전 위험을 방지합니다. IP등급에 따른 방진·방수 성능, 기계적 강도, 그리고 열 방산 특성이 모두 고려되어야 합니다. 특히 산업 환경에서는 부식성 물질이나 극한 온도에 견딜 수 있는 재질 선택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점검과 유지보수를 통해 외함의 손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대처해야 합니다. 안전 기준을 준수한 외함구조는 장기적인 설비 신뢰성을 보장합니다.
-
2. 패널내부구조 및 모선패널 내부구조와 모선 설계는 전력 분배의 효율성과 안전성을 좌우합니다. 모선의 단면적, 배치, 그리고 절연 방식은 전류 용량과 전압강하를 최소화하도록 계획되어야 합니다. 적절한 간격 유지, 진동 방지, 그리고 열 관리는 장기적인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모선 간 단락 위험을 줄이기 위해 절연 재료의 선택과 설치가 정확해야 하며, 유지보수 접근성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체계적인 내부 구조 설계는 고장 시 빠른 대응과 안전한 운영을 가능하게 합니다.
-
3. 고압 기기 정격 및 안전장치고압 기기의 정격 설정과 안전장치는 대규모 전력 시스템의 안전 운영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정격 전압, 전류, 용량이 정확하게 설정되어야 과부하나 단락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차단기, 계전기, 접지 장치 등의 안전장치는 이상 상황을 신속하게 감지하고 차단하여 인명 피해와 설비 손상을 최소화합니다. 정기적인 검사와 시험을 통해 안전장치의 동작 신뢰성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이는 전체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기초가 됩니다.
-
4. 저압 기기 및 보호장치저압 기기와 보호장치는 일상적인 전기 사용 환경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보호합니다. 누전차단기, 과전류 차단기, 접지 장치 등은 감전, 화재, 폭발 등의 위험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방어합니다. 저압 기기의 정격이 적절하게 설정되고 보호장치가 올바르게 작동해야 일상 생활에서의 전기 안전이 확보됩니다. 특히 주거 환경이나 상업 시설에서는 정기적인 점검과 노후 기기의 교체가 중요하며, 사용자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러한 기본적인 보호 체계의 구축은 전기 안전 문화의 기초입니다.
-
5. 축전지 및 콘덴서 반축전지와 콘덴서는 전력 시스템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축전지는 에너지 저장과 비상 전원 공급을 담당하며, 콘덴서는 무효전력 보상과 전압 안정화에 기여합니다. 이들 기기의 용량, 충방전 특성, 그리고 수명 관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시스템 신뢰성이 보장됩니다. 특히 축전지의 경우 정기적인 용량 테스트와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며, 콘덴서는 절연 열화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이러한 에너지 저장 및 보상 장치의 적절한 관리는 전력 품질 개선과 설비 수명 연장에 직결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