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2024년 경제성장률 2.2%로 하향조정
본 내용은
"
영자신문 번역_KDI slashes 2024 growth to 2.2 percents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4
문서 내 토픽
-
1. 2024년 경제성장률 전망한국개발연구원(KDI)은 2024년 경제성장률을 2.2%로 하향조정했습니다. 이는 8월 전망보다 0.1%포인트 낮춘 수치이며, 한국은행과 IMF의 전망치와 동일하고 정부 전망치 2.4%보다는 낮으며 OECD 전망치 2.1%보다는 높습니다. KDI는 이 성장률을 '낮음'에서 '평범한 수준'으로의 변화로 평가하며, 한국 경제가 매우 점진적인 속도로 회복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
2. 고금리와 민간소비 둔화고금리 기조가 8월 예상보다 장기화되면서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습니다. 2024년 민간소비는 1.8%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8월 전망치보다 0.6%포인트 하락한 수치입니다. 공격적 통화긴축과 설비투자 감소로 인해 상품소비가 둔화될 것으로 보이며,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3.5%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
3. 수출 회복과 반도체산업2024년 한국 경제의 주요 회복 동력은 수출, 특히 반도체산업의 반등입니다. 수출은 3.3%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입은 3.4%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수출 회복에 힘입어 국내 경제는 완만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지만, 국내 소비 증가세 둔화로 인해 회복 속도는 제한적일 것으로 보입니다.
-
4. 인플레이션과 거시경제 정책2024년 인플레이션은 2.6%로 전망되며, 이는 2023년 3.6%보다는 크게 낮지만 8월 전망치보다 0.1%포인트 높습니다. KDI는 물가상승률 조절을 위해 당분간 거시경제 정책이 보수적이고 제한적인 입장을 유지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현재의 금리 수준 변화는 필요하지 않으며, 당장 정책의 제약 수준을 강화할 계획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
1. 2024년 경제성장률 전망2024년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은 여러 불확실성 요인에 직면해 있습니다. 글로벌 경기 둔화, 지정학적 긴장, 그리고 국내 구조적 문제들이 성장을 제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반도체 산업의 회복, 수출 정상화, 그리고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이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의 성장률 전망이 2~3% 대로 수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저성장 기조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합니다. 경제의 구조적 개혁과 혁신 산업 육성이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에 필수적입니다.
-
2. 고금리와 민간소비 둔화고금리 기조는 가계 부채 부담을 증가시키고 실질 구매력을 약화시켜 민간소비 둔화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이자 부담 증가로 저소득층과 중산층의 소비 여력이 크게 제한되고 있습니다. 금리 인상 사이클이 장기화되면서 내구재 소비와 서비스 소비 모두 위축되는 현상이 관찰됩니다. 다만 금리 인상이 인플레이션 억제에 필요한 조치라는 점을 고려할 때, 정책 당국은 금리 정상화 속도 조절과 함께 취약계층 지원 정책을 병행해야 합니다. 민간소비 회복은 금리 인하 시점과 경제 심리 개선이 핵심입니다.
-
3. 수출 회복과 반도체산업반도체산업은 한국 수출의 핵심 축으로서 2024년 회복이 매우 중요합니다. AI 수요 증가에 따른 고대역폭 메모리 칩 수요 확대가 긍정적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다만 과잉 공급 우려, 중국 경쟁 심화, 그리고 기술 개발 투자 부담이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반도체 외 자동차, 화학, 기계 등 전통 수출 산업의 회복도 필요합니다. 글로벌 공급망 재편 속에서 한국의 위치 강화와 신흥 시장 개척이 중요합니다. 수출 회복은 단순한 수량 증가보다 고부가가치 제품 비중 확대와 산업 고도화가 더욱 중요한 과제입니다.
-
4. 인플레이션과 거시경제 정책인플레이션 억제는 2024년 거시경제 정책의 최우선 과제입니다. 에너지 가격 변동성, 식료품 가격 상승, 그리고 임금 인상 압력이 물가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과 정부의 재정 정책 간 조화가 필수적입니다. 과도한 긴축은 경제 성장을 해칠 수 있으므로 신중한 정책 운영이 필요합니다. 구조적 인플레이션 요인 해결을 위해 공급 측면의 정책도 강화되어야 합니다. 인플레이션 기대심리 관리와 통화신용 조절의 균형이 중요하며, 취약계층 보호와 경제 성장 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정책 당국의 과제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