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궤양성 대장염(UC) 진단 및 치료 가이드
본 내용은
"
궤양성 대장염 -요약정리 / UC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3
문서 내 토픽
  • 1.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및 증상
    궤양성 대장염(UC, ulcerative colitis)은 대장의 점막 또는 점막하층에 국한된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 불명의 만성 염증성 장질환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혈액과 점액을 함유한 묽은 변 또는 설사, 심한 복통, 탈수, 빈혈, 체중감소 등이 있습니다. 진단은 임상 증상, 병력, 신체검진, 혈액검사(CBC, ESR, CRP), 대변검사, 내시경 검사 및 조직검사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 2. 궤양성 대장염의 감별진단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을 감별하기 위해 ANCA(항호중구세포질항체, UC에서 양성), ASCA(크론병에서 양성), IRGA(장결핵 감별), CMV(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 NUDT15(면역억제제 부작용 예측) 등의 검사가 사용됩니다. 크론병에서는 Ig G, Ig A, ASCA가 양성이고 ANCA는 음성인 반면, UC에서는 ANCA가 양성이고 ASCA는 음성입니다.
  • 3. 경도-중등도 궤양성 대장염의 약물치료
    경도-중등도 궤양성 대장염 치료는 병변 범위에 따라 달라집니다. 직장염의 경우 5-ASA 좌약 1g/day 또는 관장액 1-2g/day를 투여합니다. 좌측 및 광범위 대장염은 2.4g/day 경구 5-ASA를 투여하며, 필요시 국소 5-ASA와 병합합니다. 효과가 없거나 전신증상이 동반된 경우 경구 스테로이드(prednisolone 30-40mg qd)를 사용합니다.
  • 4.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 및 합병증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은 입원치료가 필요하며 IV methylprednisolone 40-60mg qd 또는 hydrocortisone 300-400mg qd를 사용합니다. 스테로이드 반응이 없는 경우 항TNF치료(Remicade, Humira), cyclosporine, MTX 등을 고려합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toxic megacolon, 심한 출혈, fulminant colitis, 천공, 양성협착 등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궤양성 대장염의 정의 및 증상
    궤양성 대장염은 대장의 점막층에 염증과 궤양을 일으키는 만성 염증성 장질환으로, 정확한 정의와 증상 이해가 진단의 첫 단계입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혈성 설사, 복통, 배변 긴급성 등이 있으며, 증상의 심각도는 환자마다 다양합니다. 질병의 활동성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치료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하며, 초기 증상 인식이 조기 진단과 치료로 이어져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증상이 비특이적일 수 있어 다른 장질환과의 감별이 필수적입니다.
  • 2. 궤양성 대장염의 감별진단
    궤양성 대장염의 감별진단은 크론병, 감염성 대장염, 허혈성 대장염 등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들과 구분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내시경 검사, 조직 생검, 혈액 검사, 대변 검사 등 다양한 진단 방법이 활용되며, 각 검사의 특징을 이해하는 것이 정확한 진단에 중요합니다. 특히 크론병과의 감별은 치료 방향을 결정하므로 신중한 평가가 필요합니다. 환자의 임상 양상, 내시경 소견, 조직학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3. 경도-중등도 궤양성 대장염의 약물치료
    경도-중등도 궤양성 대장염의 약물치료는 5-ASA 제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면역조절제 등을 단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표준입니다. 5-ASA 제제는 초기 치료의 주축이며, 질병 활동성에 따라 용량과 투여 경로를 조절합니다. 코르티코스테로이드는 급성 악화 시 효과적이지만 장기 사용은 피해야 합니다. 개별 환자의 반응도와 부작용을 고려하여 치료 계획을 수립하고,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치료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의 치료 및 합병증
    중등도-중증 궤양성 대장염은 더 공격적인 치료가 필요하며, 생물학적 제제와 면역조절제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TNF-α 억제제, 인테그린 억제제 등 생물학적 제제는 치료 반응률을 높이고 관해 유지에 효과적입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독성 거대결장, 천공, 대량 출혈 등이 있으며, 이러한 합병증 발생 시 수술적 개입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장기적 합병증인 대장암 위험 증가도 고려하여 정기적인 감시 내시경이 권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