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세동기 적응증 및 사용법
본 내용은
"
제세동기 적응증 및 사용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3
문서 내 토픽
-
1. 제세동기(Defibrillator)의 정의 및 적응증제세동기는 심근에 전류를 통과시켜 치명적인 부정맥(심실세동, 심실빈맥)과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심한 부정맥을 중지시키는 의료기기입니다. NIHON KOHDEN Cardiolife 5600K 모델이 사용되며, 심실부정맥으로 인한 심실세동 발생 시 큰 전류를 통해 심실근육의 탈분극을 유도하여 정상 심박동으로 복귀시킵니다.
-
2. 제세동법(Defibrillation)과 심조율전환법(Cardioversion)의 구분제세동법은 VF(심실세동)와 Pulseless VT(맥박이 없는 심실빈맥)에 시행되며, 심장주기와 무관하게 전기자극을 전달합니다. 심조율전환법은 PSVT, AF, AFL, 맥박이 있는 VT에 시행되며, R파에 동기화하여 전기자극을 전달함으로써 심근의 회귀회로를 차단합니다.
-
3. 제세동기 조작버튼 및 기능제세동기는 SYNC(동기화 모드 선택), WHEEL(에너지 및 모드 설정), CHILD MODE(소아 모드 전환), CHARGE(전기에너지 충전), SHOCK(에너지 방출), LEAD(리드 선택), SENSITIVITY(리듬 크기 조절), EVENT(이전 기록 출력), OP SOUND(음성 설정), Alarm suspend(알람 정지), Recorder(EKG 용지 출력) 등의 버튼으로 구성됩니다.
-
4. 제세동기 사용방법 및 에너지 설정제세동법 시행 시 성인은 150~200J(Biphasic) 또는 360J(Monophasic)로 설정하고, 소아는 최초 2J/kg, 이후 4J/kg으로 설정합니다. 심조율전환법 시 심방세동은 100~200J(Biphasic) 또는 200~360J(Monophasic), 심방조동은 100J부터 시작,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25~100J로 설정합니다.
-
1. 제세동기(Defibrillator)의 정의 및 적응증제세동기는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같은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을 치료하는 필수적인 의료기기입니다. 정의상 심장의 비정상적인 전기활동을 감지하여 고에너지 전기충격을 전달함으로써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장치입니다. 적응증은 명확하게 심실세동, 무맥성 심실빈맥, 그리고 특정 상황에서 동기화된 심조율전환이 필요한 경우들입니다. 현대 의료에서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으며, 공공장소의 자동제세동기(AED) 배치는 응급상황에서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제세동기의 신속한 사용이 환자 생존율과 신경학적 예후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
2. 제세동법(Defibrillation)과 심조율전환법(Cardioversion)의 구분제세동법과 심조율전환법은 모두 전기충격을 이용하지만 중요한 차이가 있습니다. 제세동법은 비동기적으로 작동하여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같은 맥박이 없는 응급상황에서 사용되며, 환자의 심전도 신호와 무관하게 즉시 고에너지 충격을 전달합니다. 반면 심조율전환법은 동기화되어 환자의 심전도 R파에 맞춰 충격을 전달하므로 맥박이 있는 빈맥성 부정맥(심방세동, 심실빈맥 등)에 사용됩니다. 이러한 구분은 환자 안전과 치료 효과에 직결되므로 의료진이 정확히 이해하고 상황에 맞게 적용해야 합니다. 두 방법 모두 생명을 구하는 중요한 기술이지만 사용 시기와 방식이 명확히 다릅니다.
-
3. 제세동기 조작버튼 및 기능제세동기의 조작버튼과 기능은 사용자가 신속하고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주요 버튼으로는 전원 버튼, 분석 버튼, 충격 버튼이 있으며, 각각 명확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현대의 자동제세동기(AED)는 음성 안내와 시각적 표시를 통해 사용자를 단계별로 안내하므로 의료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에너지 선택, 동기화 모드 설정, 패드 위치 확인 등의 기능들이 직관적으로 배치되어 있습니다. 제세동기의 버튼 배치와 기능 이해는 응급상황에서 소중한 시간을 절약하고 환자 생존율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이러한 기능들을 숙지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4. 제세동기 사용방법 및 에너지 설정제세동기의 올바른 사용방법과 에너지 설정은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기본 절차는 환자 확인, 패드 부착, 심전도 분석, 에너지 설정, 충격 전달 순서로 진행됩니다. 에너지 설정은 환자의 나이와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데, 성인은 일반적으로 200J에서 시작하여 필요시 증량하고, 소아는 더 낮은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자동제세동기는 에너지를 자동으로 설정하지만, 수동 제세동기는 의료진이 적절한 에너지를 선택해야 합니다. 패드 부착 위치, 환자 접촉 확인, 충격 후 즉시 심폐소생술 재개 등 모든 단계가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교육과 실습을 통해 이러한 절차를 숙달하면 응급상황에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합니다.
-
응급약물 및 제세동기(적응증) 및 사용법, CPR1. 응급약물 응급 상황에서 사용되는 주요 약물들의 약리작용, 효능/효과, 용량/용법, 부작용 및 주의사항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주요 약물로는 atropine sulfate, epinephrine HCL, dopamin HCl, dobutamine, Lasix, Cordarone, calcium chloride, sodium bicarbonate...2025.01.08 · 의학/약학
-
A+ 기본간호학 REPORT(심폐소생술과 심전도)1.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할 수 있다. 제새동기를 준비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을 정확하게 수행하고 제세동기를 올바로 작동할 수 있다. 기본 심폐소생술과 제세동 후 기록할 수 있다. 2. 심폐소생술의 기본원리와 적응증 심폐소생술의 기본원리(C:순환, A:기도확보, B:호흡)와 적응증, 심폐소생술 시 주의사항, 제세...2025.04.30 · 의학/약학
-
EKG, 환자 모니터, 제세동기 사용법1. EKG 사용법 EKG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환자 침상의 전자기기를 치우고 침상 콘센트 전원을 끄는 것으로 시작하여, 기계 전원 켜기, 흉부 전극 부착, 리듬 확인 및 출력 등의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2. 환자 모니터 사용법 환자 모니터 사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모니터 전원 켜기, 산소포화도 측정, 혈압 측정, EKG 리듬 출력, 알...2025.05.13 · 의학/약학
-
심혈관계(협심증, 심근경색, 부정맥) 진단 및 치료1. 심장의 구조 및 기능과 역할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250-300g의 무게와 12cm 크기를 가지고 있다. 심장의 주요 기능은 노폐물 제거와 산소 및 영양분 공급으로, 분당 70-100회 박동하며 하루 10만 번 박동한다. 심장은 우심방, 좌심방, 우심실, 좌심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반월판, 방실판막으로 이루어져 있다. 심장벽은 심내막,...2025.05.08 · 의학/약학
-
사전학습보고서(응급실, A+)1. 응급실 간호사의 역할 및 응급간호의 원칙 응급실 간호사는 사정, 분석, 진단, 계획, 중재수행, 결과 확인 등의 역할을 하며, 모든 연령군에서 각 개인의 반응들을 평가합니다. 응급간호의 원칙은 기도 개방, 적절한 환기 제공, 출혈 조절, 쇼크 예방 및 치료, 신속한 초기 신체검진 등입니다. 2. 응급실 중증도 분류 체계 응급실에 도착한 대상자의 부상,...2025.01.29 · 의학/약학
-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및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 간호1. 제세동(Defibrillation)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환자의 심장에 고압전류를 단시간 통하게 하여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제세동기는 심장 근육을 탈분극시켜 심실이 원래의 심박동으로 돌아가게 한다. 약물요법으로 치료되지 않은 만성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등에 적응된다. 시행 전 피부에 젤리를 적용하여 화상...2025.11.13 · 의학/약학
-
응급약물 및 제세동기(적응증) 및 사용법, CPR 31페이지
응급약물 , 제세동기 사용법 및 CPR ???응급약물 제세동기 사용법 3. 심폐소생술 (CPR) INDEX응급약물 11. 응급 약물 (1) atropine sulfate 0.5mg/1ml ㉠ 약리작용 acetylcholine 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부교감 신경계 활동을 차단 심방에서 수축성을 증가 ㉡ 효능 / 효과 bradycardia 1 차 선택 약제 부교감신경흥분제 중독시 사용 , 마취 전 투약 , AMI 환자에서 통증 경감을 위해 투여된 morphine 에 의해 발생되는 서맥에 사용1. 응급 약물 (1) atropine sul...2024.01.31· 31페이지 -
심폐소생술의 정의와 심전도 및 제세동기 33페이지
심폐소생술 실기 및 제세동기 사용법CPRCPR 1) 목적 ‘ 심장과 폐 되살리기 ’ 라는 뜻 이다 . 심정지로 인한 주요장기의 비가역적 손상을 막기 위하여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심박동을 회복시켜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치료기술 이다 . 심폐소생술은 미국심장협회에서 밝혔듯이 심장과 호흡이 멈춘 지 4 분 이내에 시작하면 살아날 가능성이 높으며 , 시간이 갈수록 뇌가 손상되어 사망 하게 된다 . 전문적 치료요원이 치료를 할 때 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 급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기본 소생술 (B...2024.07.28· 33페이지 -
A+받은 ICU 기계 사용법 9페이지
ICU 기계 사용법1. Defibrillator2. Gomco suction3. Electrocardiography : EKG4. Wall O2, Mask5. Infusion Pump1. Defibrillator1) 심장전도계2) Defibrillator 적응증1) 심방부정맥 - Cardioversion① 심방부정맥은 어떤 원인에 의해 심방 전체가 균일하게 수축하지 않고 심방의 각 부분이 무질서하고 가늘게 떨고 있는 상태이며 이로 인하여 맥박이 아주 불규칙하고 일정하지 않아 혈액을 심실로 방출하는 것이 불가 능하게 됨② 그로 인해 ...2024.04.26· 9페이지 -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 사전지식 보고서 2페이지
기본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기 적용사전지식 보고서질문1]. 심폐소생술의 목적과 적응증심폐소생술은 심정지 또는 심장마비가 발생했을 때 인공적으로 혈액을 순환시키고 호흡을 돕는 응급치료법이다. 뇌의 손상 지연 및 심장마비의 회복에 도움을 준다.질문2]. 심폐소생술의 기본원리(C: 순환, A: 기도확보, B: 호흡)- 심폐소생술의 기본원리 : C:순환/가슴압박, A: 기도확보, B: 인공호흡- 흉부압박의 위치와 깊이 : 가슴 중앙을 최소 5cm 이상- 흉부압박의 속도 : 분당 최소 100회의 속도- 늑골골절, 흉곽손상, 흉강내 장기 손상,...2022.01.25· 2페이지 -
아동질환과 관련된 기구 및 기계 문헌고찰 8페이지
신생아 및 아동질환 관련 사용되는 기구 및 기계1. Ventilator1) 적응증장기간 자동적으로 환기를 유지할 수 없으며, 다른 산소 운반기구의 보조를 통한 잦발적인 호흡만으로는 산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할 수 없는 경우에 사용되며, 각종 원인으로 유발된 저산소증, 알칼리혈증, 산혈증의 교정에 사용된다.2) ventilator의 종류1) 양압 인공호흡기(Positive pressure ventilator)기계가 흡기 시에 양압의 공기를 환자의 폐로 운반하며 커프가 부착된 인공기도가 필요한 장치2) 음압 인공호흡기...2022.02.01·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