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티파이 직접상장 IPO 가치평가 분석
본 내용은
"
SPOTIFY'S DIRECT-LISTING IPO 스포티파이 문제 풀이 엑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0
문서 내 토픽
-
1. 자유현금흐름(FCFF) 할인가치평가스포티파이의 2017년부터 2028년까지의 자유현금흐름을 예측하고 할인율 7.43%를 적용하여 현재가치를 계산했습니다. EBIT 마진은 연 8% 증가하고, 터미널 성장률은 5%로 설정되었습니다. 최종 기업가치(EV)는 40,744.27백만 달러로 산출되었으며, 주당 주식 수 178.11백만 주를 기반으로 주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
2. 할인율(WACC) 계산스포티파이의 할인율은 베타 1.186, 무위험이율 1.50%, 시장위험프리미엄 5%, 부채-자본 할인율 20%를 이용하여 7.43%로 계산되었습니다. 이는 기업의 자본구조와 시장 위험을 반영한 가중평균자본비용으로, 미래 현금흐름을 현재가치로 할인하는 데 적용됩니다.
-
3. IPO 공모가 및 시장 반응스포티파이의 기준가는 132달러였으며, 10시 30분 공모가는 155달러, 11시 공모가는 160달러로 책정되었습니다. 이후 40% 상승하여 184.8달러에 도달했습니다. 이론적 주가는 228.75달러로 계산되어 시장 공모가보다 높은 가치를 시사했습니다.
-
4. 비교 기업 분석(Comparable Companies)아마존, 애플, 넷플릭스, 페이스북 등 미디어 및 기술 기업들과의 비교 분석이 수행되었습니다. 각 기업의 LTM 총 수익, 수익 성장률, 베타값이 제시되었으며, 스포티파이의 38.55% 수익 성장률과 1.186 베타는 업계 평균과 비교하여 높은 성장성과 중간 수준의 시장 위험을 나타냅니다.
-
1. 자유현금흐름(FCFF) 할인가치평가자유현금흐름 할인가치평가는 기업의 내재가치를 평가하는 가장 근본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FCFF는 모든 자본 제공자(채권자와 주주)에게 분배 가능한 현금흐름을 나타내므로, 기업의 실제 창출 능력을 정확히 반영합니다. 다만 정확한 평가를 위해서는 장기 성장률, 운영 효율성, 자본 지출 등 여러 변수를 신중하게 예측해야 합니다. 특히 성숙 기업보다는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가진 기업에 더 적합하며, 급격한 변화가 있는 산업에서는 예측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시나리오 분석과 민감도 분석을 병행하여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할인율(WACC) 계산가중평균자본비용(WACC)은 기업의 자본구조와 시장 상황을 반영하는 핵심 지표로, 할인가치평가의 정확성을 좌우합니다. WACC 계산 시 주식의 기대수익률(CAPM)과 부채의 비용을 적절히 반영해야 하는데, 베타값, 무위험이자율, 시장위험프리미엄 등의 추정에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신흥시장이나 소형주의 경우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확보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시간 경과에 따라 자본구조와 시장 조건이 변하므로, 정기적인 재검토와 업데이트가 필수적입니다. 따라서 WACC는 절대적 수치보다는 합리적 범위 내에서의 추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
3. IPO 공모가 및 시장 반응IPO 공모가 결정은 기업의 내재가치, 시장 수요, 투자자 심리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과정입니다. 공모가가 적절하게 책정되면 기업은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고 투자자는 합리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공모가가 저평가되면 기업은 기회비용을 잃고, 고평가되면 투자자가 손실을 입을 수 있습니다. 시장 반응은 단기적으로는 심리적 요인에 의해 크게 변동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실제 성과로 수렴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IPO 투자 시에는 공모가 수준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업 모델, 경쟁력, 성장 전망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비교 기업 분석(Comparable Companies)비교 기업 분석은 유사한 사업 특성을 가진 기업들의 배수(PER, PBR, EV/EBITDA 등)를 이용하여 목표 기업의 가치를 추정하는 실용적인 방법입니다. 시장에서 형성된 실제 거래 가격을 기반으로 하므로 현실성이 높고, 계산이 간단하며 빠른 평가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진정한 의미의 비교 가능 기업을 찾기 어렵고, 산업 사이클, 성장률, 수익성 등의 차이를 완전히 통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시장 전체가 과열되거나 침체된 상황에서는 배수 자체가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교 기업 분석은 다른 평가 방법(DCF, 자산 기반 평가)과 함께 사용하여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높이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