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스 혈액 및 면역세포 분리 관찰 실험
본 내용은
"
마우스 Blood cell 분리 및 면역세포 관찰실험(A+) giemsa staining, 마우스 복막 절제_복막 macrophage isolation, 마우스 해부(림프절 관찰 및 채취), Bone marrow cell isola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7
문서 내 토픽
-
1. Giemsa 염색을 이용한 혈액세포 관찰마우스 꼬리에서 채취한 혈액을 슬라이드에 도말한 후 메탄올로 고정하고 Giemsa 염색약으로 10분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 적혈구는 분홍색, 혈소판은 옅은 분홍색, 림프구 세포질은 하늘색, 단핵구 세포질은 옅은 파란색, 백혈구 핵 염색질은 보라색으로 나타난다. LPS 처리된 마우스에서 백혈구 증식이 관찰되었으며, 호중구, 림프구, 다형핵류코사이트 등 다양한 면역세포가 확인되었다.
-
2. 복강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마우스 복부를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카테터가 삽입된 주사바늘을 복강벽에 삽입하여 세포 용지를 복강으로 주입한다. 복강을 마사지하여 액을 수집한 후 6-well plate에 2ml/well로 분주하여 37도, 5% CO2 조건에서 배양한다. 대식세포는 골수세포에 비해 빽빽하고 밀집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
3. 골수세포 분리 및 특성마우스 뒷다리의 대퇴골과 경골에서 골수를 채취하여 PBS로 세척하는 방법. 골수는 B세포의 생성 및 성숙, 혈구 생성을 담당하는 조혈 기관이다. LPS 처리된 마우스의 골수세포가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며, 다양한 형태의 세포로 분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골수세포의 크기와 형태가 매우 다양했다.
-
4. LPS 자극에 의한 면역반응 활성화LPS는 TLR4를 자극하여 염증매개성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면역 자극제이다. LPS 처리된 마우스에서 백혈구 수의 증가, 호중구 증식, 골수세포 활성화 등 면역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호중구는 급성감염 질병에서, 림프구는 만성감염 질병에서 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
1. Giemsa 염색을 이용한 혈액세포 관찰Giemsa 염색은 혈액세포 형태학적 분석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기법입니다. 이 염색법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혈액세포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해주며, 세포의 핵과 세포질의 구조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백혈구의 분류와 형태적 이상을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임상 진단에서 혈액질환 판정의 첫 단계로 널리 사용됩니다. 다만 주관적 해석의 여지가 있고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제한점입니다. 현대에는 자동화 분석기와 함께 사용되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2. 복강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복강 대식세포는 선천면역의 핵심 세포로서 염증반응과 항원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복강액 수집을 통한 대식세포 분리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높은 순도의 세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배양 과정에서 세포의 활성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M1/M2 극성화 연구에 적합합니다. 다만 개별 동물 간 세포 수와 활성화 상태의 변이가 크고, 장기 배양 시 세포의 특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면역학 연구에서 매우 유용한 모델 세포이며, 지속적인 품질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골수세포 분리 및 특성골수는 조혈줄기세포와 다양한 면역세포의 원천으로서 혈액 및 면역계 연구에 매우 중요합니다. 골수세포 분리는 조혈 과정과 면역세포 분화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이며, 다양한 세포 집단을 포함하고 있어 세포 이질성 연구에 적합합니다. 골수 유래 대식세포(BMDM)와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BMDC) 등은 표준화된 분화 프로토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골수 채취 과정의 침습성과 세포 손상 위험, 그리고 개체 간 변이가 존재합니다. 면역질환 모델링과 세포치료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LPS 자극에 의한 면역반응 활성화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그람음성균의 외막 성분으로서 TLR4를 통해 강력한 선천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LPS 자극은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에서 TNF-α, IL-6, IL-12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발하며, 이는 적응면역 반응의 시작점이 됩니다. 이 모델은 패혈증, 내독소혈증 등 임상 질환의 기전 연구에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과도한 LPS 자극은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고, 농도와 시간에 따른 세밀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면역학 기초연구와 신약 개발에서 표준적인 활성화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Mouse 해부 및 장기 적출 8페이지
Mouse 해부 및 장기 적출Mouse 해부 및 장기 적출실험 재료실험의 재료로 마우스, 마취약, syringe & needle, 핀셋, 해부용 가위, 70% EtOH, perfusion 기계, 고정핀, 일회용 장갑을 사용했다.실험 방법1. 마취 단계마취약 약 250mu LITER 을 syringe에 넣었다. 마우스의 꼬리를 잡아 들어 올린 후, 앞발만 땅에 놓아 앞으로 갈 때 허리에서부터 가죽을 끌어모아 목덜미에서 가죽을 잡은 후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했다. 배 부위에 에탄올로 소독하고 마취약을 넣은 syringe의 바늘구멍이 위...2021.11.18· 8페이지 -
[일반생물학실험]쥐 해부(수컷) 10페이지
쥐 해부(수컷)1. 실험 목적가. 포유류로서 실험동물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생쥐의 특성을 알아본다.나. 해부를 통해서 내부 장기의 위치와 형태를 알아본다.2. 실험 이론 및 원리가. 실험동물의 윤리동물 실험하기 전에 알아야할 필수 항목이다. 동물실험이 과학적이 아닌지 평가는 연구자 자신과 학회 등에 위임한다. 그러나 윤리적인지 아닌지에 대한 판정은 관련분야의 연구자뿐만 아니라 그 연구와는 무관한 지식인이 참여한 조직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위원회가 국가에 설치되어 있는 나라와 연구자가 소속한 기관의 책임자 하에 기관별로 설치되어있는...2024.07.15· 10페이지 -
mouse handling and dissection 결과레포트 4페이지
Mouse Handling and Dissection 결과레포트실험 날짜 : 20*************961 김주현실험 주제 : Mouse Handling and Dissection실험 목적 : Mouse를 handling하고 dissection하여 체내 구조를 알아본다.실험 방법 :*이번 실험은 실험 동물의 생명을 뺏어야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실험 동물에 대하여 경건한 마음을 가지고 대해야 하며 실험과 무관한 행동이나 장난을 치지 말아야한다. *-Mouse (학명 : Mus musculus)연구실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2025.01.18· 4페이지 -
간 배양 실습레포트 6페이지
Primary Hepatocyte CultureIntroduction간은 산소가 풍부한 동맥혈과 산소가 적은 정맥피가 함께 섞이는 특별한 장소이며 혈액의 창고라고 할 만큼 우리 몸 전체 혈액의 3분의 1정도가 항상 존재한다. 이러한 간에 이상이 생기면 몸의 혈액순환과 소화활동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1) 간의 기능-angiotensin 1을 만드는 angoitensinogen을 분비한다. glucose를 glycogen으로 만들어 저장하고, glucose를 triglyceride 형태로 만들어서 간에 저장할 수도 있다. ...2024.09.07· 6페이지 -
쥐 해부 실험 예비, 결과 보고서 6페이지
쥐 해부 실험 예비 보고서학과 학번 이름1. 실험 제목 :척추 동물의 해부 (쥐 해부)2. 실험 날짜 :2019. 05. 09(11주차)3. 실험 목적1. 쥐의 해부를 통해 쥐를 구성하는 외부형질은 물론 각 조직계와 기관들에 대하여 그 모양과 위치를 관찰한다.2. 쥐를 관찰, 해부하여 각 외-내부기관의 명칭과 모양, 위치 등을 알아본다.4. 실험 방법1. 준비물흰쥐 (Balb/c), 해부대, 70% EtOH, 해부기세트 (핀셋, 가위 등), 해부용 고정핀, 라텍스장갑, 마스크2. 실험 과정(1) 안락사①경추탈골: 엄지손가락과 집게손...2024.02.13· 6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