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마우스 혈액 및 면역세포 분리 관찰 실험
본 내용은
"
마우스 Blood cell 분리 및 면역세포 관찰실험(A+) giemsa staining, 마우스 복막 절제_복막 macrophage isolation, 마우스 해부(림프절 관찰 및 채취), Bone marrow cell isolation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27
문서 내 토픽
  • 1. Giemsa 염색을 이용한 혈액세포 관찰
    마우스 꼬리에서 채취한 혈액을 슬라이드에 도말한 후 메탄올로 고정하고 Giemsa 염색약으로 10분간 염색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방법. 적혈구는 분홍색, 혈소판은 옅은 분홍색, 림프구 세포질은 하늘색, 단핵구 세포질은 옅은 파란색, 백혈구 핵 염색질은 보라색으로 나타난다. LPS 처리된 마우스에서 백혈구 증식이 관찰되었으며, 호중구, 림프구, 다형핵류코사이트 등 다양한 면역세포가 확인되었다.
  • 2. 복강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
    마우스 복부를 70% 에탄올로 소독한 후 카테터가 삽입된 주사바늘을 복강벽에 삽입하여 세포 용지를 복강으로 주입한다. 복강을 마사지하여 액을 수집한 후 6-well plate에 2ml/well로 분주하여 37도, 5% CO2 조건에서 배양한다. 대식세포는 골수세포에 비해 빽빽하고 밀집되어 있는 특징을 보였다.
  • 3. 골수세포 분리 및 특성
    마우스 뒷다리의 대퇴골과 경골에서 골수를 채취하여 PBS로 세척하는 방법. 골수는 B세포의 생성 및 성숙, 혈구 생성을 담당하는 조혈 기관이다. LPS 처리된 마우스의 골수세포가 대조군보다 현저하게 많았으며, 다양한 형태의 세포로 분화하는 특징을 보였다. 골수세포의 크기와 형태가 매우 다양했다.
  • 4. LPS 자극에 의한 면역반응 활성화
    LPS는 TLR4를 자극하여 염증매개성 물질을 활성화시키는 면역 자극제이다. LPS 처리된 마우스에서 백혈구 수의 증가, 호중구 증식, 골수세포 활성화 등 면역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호중구는 급성감염 질병에서, 림프구는 만성감염 질병에서 주로 나타나는 특징을 보인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Giemsa 염색을 이용한 혈액세포 관찰
    Giemsa 염색은 혈액세포 형태학적 분석에 있어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필수적인 기법입니다. 이 염색법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 다양한 혈액세포를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해주며, 세포의 핵과 세포질의 구조를 상세히 관찰할 수 있습니다. 특히 백혈구의 분류와 형태적 이상을 진단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임상 진단에서 혈액질환 판정의 첫 단계로 널리 사용됩니다. 다만 주관적 해석의 여지가 있고 숙련도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이 제한점입니다. 현대에는 자동화 분석기와 함께 사용되어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 2. 복강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
    복강 대식세포는 선천면역의 핵심 세포로서 염증반응과 항원제시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복강액 수집을 통한 대식세포 분리는 상대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높은 순도의 세포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배양 과정에서 세포의 활성화 상태를 조절할 수 있어 M1/M2 극성화 연구에 적합합니다. 다만 개별 동물 간 세포 수와 활성화 상태의 변이가 크고, 장기 배양 시 세포의 특성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면역학 연구에서 매우 유용한 모델 세포이며, 지속적인 품질 관리가 필요합니다.
  • 3. 골수세포 분리 및 특성
    골수는 조혈줄기세포와 다양한 면역세포의 원천으로서 혈액 및 면역계 연구에 매우 중요합니다. 골수세포 분리는 조혈 과정과 면역세포 분화를 연구하는 데 필수적이며, 다양한 세포 집단을 포함하고 있어 세포 이질성 연구에 적합합니다. 골수 유래 대식세포(BMDM)와 골수 유래 수지상세포(BMDC) 등은 표준화된 분화 프로토콜로 대량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만 골수 채취 과정의 침습성과 세포 손상 위험, 그리고 개체 간 변이가 존재합니다. 면역질환 모델링과 세포치료 연구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 4. LPS 자극에 의한 면역반응 활성화
    LPS(리포폴리사카라이드)는 그람음성균의 외막 성분으로서 TLR4를 통해 강력한 선천면역 반응을 유도합니다. LPS 자극은 대식세포와 수지상세포에서 TNF-α, IL-6, IL-12 등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촉발하며, 이는 적응면역 반응의 시작점이 됩니다. 이 모델은 패혈증, 내독소혈증 등 임상 질환의 기전 연구에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과도한 LPS 자극은 세포독성을 유발할 수 있고, 농도와 시간에 따른 세밀한 조절이 필요합니다. 면역학 기초연구와 신약 개발에서 표준적인 활성화 모델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