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 의학용어 가이드
본 내용은
"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 의학용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04
문서 내 토픽
  • 1.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의식수준(LOC), 무의식 척도(GCS), 뇌혈류(CBF), 두개내압(ICP) 등 신경학적 평가 지표와 뇌졸중(CVA), 뇌경색, 외상성 뇌손상(TBI), 뇌출혈(ICH, IVH, EDH, SDH, SAH), 뇌염, 수막염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포함. 신경외과 수술로는 개두술(Craniotomy), 두개절제술(Craniectomy), 천공배액술 등이 있으며, 진단 검사로는 뇌파검사(EEG), 신경전도검사(NCV) 등이 사용됨.
  • 2. 심혈관계 질환 및 시술
    관상동맥질환(CAD), 심근경색(MI, STEMI, NSTEMI), 심방세동(AF), 심실빈맥(VT), 심실세동(VF) 등 다양한 심장 질환과 부정맥. 진단 검사로는 심전도(ECG/EKG), 관상동맥 조영술(CAG) 등이 있으며, 치료 시술로는 경피 관상동맥 중재술(PCI), 관상동맥 우회술(CABG), 대동맥내 풍선 펌프(IABP), 체외산소화장치(ECMO) 등이 포함됨.
  • 3. 호흡기계 관리 및 인공호흡
    기관내 삽관/발관, 기관절개술, 진정, 이탈 과정 등 기도 관리 기술. 인공호흡기 모드로는 보조조절(A/C), 동기식 간헐적 강제 환기(SIMV), 지속적 기도양압(CPAP), 호기말 양압호흡(PEEP) 등이 있으며, 비침습적 인공호흡기(NIV), 이중기도양압(BiPAP) 등도 사용됨. 폐렴, 폐색전증(PTE),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 등 호흡기 질환 관리 포함.
  • 4. 응급 상황 및 소생술
    심폐뇌소생술(CPCR), 자발호흡회복(ROSC), 제세동(Defibrillation), 무맥성 전기활동(PEA) 등 응급 대응 기술. 대량수혈 프로토콜(MTP), 수혈 제품(PRBC, FFP, 혈소판) 관리. 연명치료중지(DNR), 도착시 시망(DOA) 등 응급의학 관련 용어 포함.
  • 5. 감염 관리 및 항생제 내성
    메티실린 내성황색포도상구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VRE),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CRE), 다제내성 녹농균(MDPA) 등 항생제 내성균 관리. 요로감염(UTI),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VAP), 패혈증(Sepsis) 등 감염성 질환. 개인보호장비(PPE) 사용 및 감염 예방 관련 내용 포함.
  • 6. 신장 및 배설 관리
    급성 신손상(AKI), 만성신부전(CRF), 만성신질환(CKD) 등 신장 질환. 지속적 신대체요법(CRRT), 지속적정정맥혈액투석여과(CVVHDF), 혈액투석(HD) 등 신대체 요법. 중심정맥관(SVC), 말초삽입형 중심정맥관(PICC), 경피적 신루술(PCN) 등 배액 및 접근 기술 포함.
  • 7. 혈액 검사 및 응고 지표
    혈중요소질소/크레아티닌 비율(BUN/Cr), 사구체 여과율(GFR), C-반응성 단백(CRP), 적혈구침강속도(ESR), 절대 호중구 수(ANC) 등 일반 혈액 검사. 프로트롬빈시간(PT), 국제적으로 표준화한 단위(INR),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후군(DIC) 등 응고 관련 지표. B-type나트륨 이뇨 펩타이드(BNP), 심박출량 지수(CI) 등 심혈관 바이오마커 포함.
  • 8. 정형외과 손상 및 수술
    골절(Fx), 탈구(D/L), 다발성 늑골골절(MRF), 척수손상(SCI), 추간판 핵탈출증(HNP) 등 정형외과 손상. 개방정복 내고정술(ORIF), 폐쇄정복 내고정술(CRIF), 폐쇄정복 외고정술(CREF), 항회전 근위 대퇴 골수정(PFNA) 등 수술 기법. 무릎아래절단(BKA), 무릎위절단(AKA), 전슬관절 성형술(TKA) 등 절단 및 관절 수술 포함.
  • 9. 중환자실 부서 및 조직
    중환자실(ICU)은 응급실(ER), 수술실(OR), 중앙공급실(CSR)과 연계. 내과중환자실(MICU), 외과중환자실(SICU), 신생아중환자실(NICU) 등 특화된 중환자실 부서 존재. 내과(IM), 일반외과(GS), 정형외과(OS), 신경외과(NS), 흉부외과(CS), 성형외과(PS), 응급의학과(EM), 마취과(AN) 등 관련 진료과 포함.
  • 10. 진단 검사 및 영상 검사
    자기공명영상(MRI), 자기공명 혈관조영술(MRA), 경대퇴 대뇌혈관 조영술(TFCA), 관상동맥 조영술(CAG) 등 혈관 영상 검사. 식도 위십이지장 내시경 검사(EGD), 기관지 내시경(BFS), 진단적 관절경(Diagnostic arthroscopy) 등 내시경 검사. 폐 기능검사(PFT), 갑상선기능검사(TFT), 간기능검사(LFT), 직장수지검사(DRE) 등 기능 및 신체 검사 포함.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신경계 질환 및 손상은 환자의 삶의 질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의료 분야입니다. 뇌졸중, 척수손상, 신경퇴행성 질환 등은 조기 진단과 신속한 치료가 예후를 크게 좌우합니다. 특히 뇌졸중의 경우 골든타임 내 치료가 생명을 구하고 장애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신경계 손상 환자들은 장기적인 재활과 다학제 팀의 협력이 필수적이며, 신경학적 모니터링과 정확한 진단 검사가 치료 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합니다. 앞으로 신경계 질환에 대한 더 나은 치료법 개발과 재활 프로그램의 발전이 환자 예후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심혈관계 질환 및 시술
    심혈관계 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망 원인이며, 효과적인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관상동맥질환, 심부전, 부정맥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에 대해 약물 치료와 중재적 시술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특히 급성 심근경색의 경우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이 생명을 구하는 표준 치료법입니다. 심혈관 질환 환자의 위험 인자 관리와 예방이 중요하며,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약물 순응도 향상이 필수적입니다. 심혈관 질환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환자의 생존율과 삶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3. 호흡기계 관리 및 인공호흡
    호흡기계 관리와 인공호흡은 중환자 치료의 핵심 요소입니다. 급성 호흡곤란증후군,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렴 등 다양한 호흡기 질환에서 적절한 산소 공급과 환기 관리가 생명을 좌우합니다. 인공호흡기 관리는 고도의 전문 지식과 기술을 요구하며, 환자의 상태에 맞는 맞춤형 설정이 중요합니다. 인공호흡기 관련 폐렴 예방과 적절한 이탈 전략도 환자 예후에 영향을 미칩니다. 호흡기계 관리 기술의 발전과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은 호흡기 질환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 4. 응급 상황 및 소생술
    응급 상황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은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심폐소생술, 기도 관리, 쇼크 치료 등 기본적인 응급 처치 기술은 모든 의료진이 숙달해야 할 필수 능력입니다. 응급 상황에서의 신속한 의사결정과 팀 협력이 환자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정기적인 응급 대응 훈련과 프로토콜 업데이트는 응급실의 효율성을 높입니다. 응급 의료 시스템의 개선과 의료진의 지속적인 교육을 통해 응급 상황에서의 환자 생존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5. 감염 관리 및 항생제 내성
    항생제 내성은 현대 의학이 직면한 심각한 도전 과제입니다. 부적절한 항생제 사용은 내성균의 발생을 촉진하여 감염 치료를 어렵게 만듭니다. 감염 관리의 기본인 손 위생, 격리, 무균 기술 준수가 매우 중요합니다. 항생제 사용의 합리화와 감염 예방 프로그램의 강화는 항생제 내성 확산을 줄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의료 관련 감염 예방을 위한 체계적인 감시와 관리 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의료진의 감염 관리 교육 강화도 중요합니다. 항생제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이 미래 의료의 지속 가능성을 보장할 것입니다.
  • 6. 신장 및 배설 관리
    신장 기능 관리는 중환자 치료에서 중요한 부분입니다. 급성 신손상은 중환자의 높은 사망률과 관련이 있으며, 조기 인식과 적절한 치료가 예후를 개선합니다. 체액 균형, 전해질 관리, 신장 대체 요법의 적절한 시행이 필수적입니다. 신장 기능 모니터링을 위한 정기적인 검사와 신장 보호 전략의 수립이 중요합니다. 약물의 신장 배설 특성을 고려한 용량 조절도 환자 안전에 중요합니다. 신장 질환 환자의 체계적인 관리와 신장 기능 보존을 위한 노력이 환자의 장기 예후 개선에 기여합니다.
  • 7. 혈액 검사 및 응고 지표
    혈액 검사와 응고 지표는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완전혈구계산, 응고 프로필, 혈액 화학 검사 등은 진단과 치료 모니터링에 필수적입니다. 응고 장애의 조기 발견과 적절한 치료는 출혈 합병증을 예방합니다. 검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과 임상 상황과의 연관성 파악이 중요합니다. 정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한 환자 상태 추적은 치료 효과 평가와 합병증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혈액 검사 기술의 발전과 신속한 결과 제공은 중환자 치료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 8. 정형외과 손상 및 수술
    정형외과 손상은 환자의 기능 회복과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골절, 탈구, 연부조직 손상 등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중요합니다. 적절한 고정과 수술적 치료는 합병증을 예방하고 기능 회복을 촉진합니다. 수술 후 재활 프로그램의 조기 시작과 체계적인 진행이 환자의 회복 속도를 높입니다. 정형외과 손상 환자의 통증 관리와 감염 예방도 중요한 치료 요소입니다. 정형외과 치료 기술의 발전과 다학제 팀의 협력을 통해 환자의 기능적 회복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9. 중환자실 부서 및 조직
    중환자실은 생명이 위험한 환자들을 치료하는 고도로 전문화된 의료 환경입니다. 효율적인 중환자실 운영을 위해서는 명확한 조직 구조와 역할 분담이 필수적입니다. 의사, 간호사, 호흡기 치료사 등 다양한 전문가의 협력이 환자 치료의 질을 결정합니다. 중환자실 감염 관리, 환자 안전 문화, 의료진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가 중요합니다. 중환자실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환자 분류 체계의 개선은 치료 질 향상에 기여합니다. 중환자실 팀의 지속적인 교육과 협력 강화를 통해 환자 예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 10. 진단 검사 및 영상 검사
    진단 검사와 영상 검사는 질병의 조기 발견과 정확한 진단에 필수적입니다. 컴퓨터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 검사 기술은 질병의 위치와 범위를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검사 결과의 정확한 해석과 임상 정보와의 통합이 진단 정확도를 높입니다. 방사선 노출 최소화와 검사 비용 효율성도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입니다. 신속한 검사 결과 제공은 환자의 신속한 치료 시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진단 검사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과 의료진의 해석 능력 향상은 환자 진단과 치료의 질을 크게 향상시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