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약리학 중간고사 정리: 항생제 및 항감염제
본 내용은
"
A+ / 약리학 중간고사 정리 / 14pag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1.13
문서 내 토픽
  • 1. β-Lactam 항생제 (페니실린 및 세팔로스포린)
    β-lactam ring을 함유한 페니실린과 세팔로스포린은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는 살균성 항생제입니다. 페니실린은 6-aminopenicilanic acid의 유도체로, 페니실린 결합 단백질에 부착되어 세균의 transpeptidase를 억제하고 펩티도글리칸의 교차결합을 봉쇄합니다. 세팔로스포린은 7-aminocephalosporanic acid를 기반으로 하며 페니실린과 유사한 작용기전을 가집니다. 내성은 불활성화 효소 생산, 표적 수용체 변화, 세포막 투과성 변화 등으로 발현됩니다. 부작용으로는 과민반응, 용혈빈혈, 신장염, 아나필락시스 등이 있습니다.
  • 2. 마크로라이드 및 린코사마이드 항생제
    마크로라이드(에리스로마이신, 아지스로마이신)와 린코사마이드(클린다마이신)는 세균의 50S 리보솜 아단위에 부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정균성 항생제입니다. 마크로라이드는 그람양성균, 캄필로박터,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스마에 유효하며, 고농도에서는 살균성을 나타냅니다. 내성은 리보솜 결합부위의 메틸화 또는 약물대사 효소 생성으로 발현됩니다. 부작용으로는 간기능이상, 피부발진, 혈전정맥염 등이 있습니다.
  • 3. 테트라사이클린 및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은 세균의 30S 리보솜 아단위에 부착하여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광범위 정균성 항생제로, 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 리케차, 클라미디아에 유효합니다. 아미노글리코시드(스트렙토마이신, 겐타마이신, 아미카신)는 30S 리보솜에 부착하는 정균성 항생제로 호기성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유효합니다. 고용량 단회 투여가 저용량 반복 투여보다 효능이 크고 독성이 적습니다. 주요 부작용은 신장독성과 귀독성입니다.
  • 4. 항결핵제 및 항진균제
    결핵 치료의 일차 약물로는 이소니아지드(미콜산 합성 억제), 에탐부톨(arabinogalactan 합성 억제), 리팜핀(RNA polymerase 억제), 피라진아미드가 사용됩니다. 항진균제로는 암포테리신 B(ergosterol 결합), 케토코나졸, 플루코나졸(ergosterol 합성 억제), 그리세오풀빈(핵산 합성 억제), 터비나핀(스쿠알렌 에폭시다아제 억제) 등이 있습니다. 암포테리신 B는 전신 진균감염의 일차 선택약이며, 신장 손상과 귀독성이 주요 부작용입니다.
  • 5. 항바이러스제 및 기타 항감염제
    단순헤르페스바이러스 치료제로는 아시클로버(DNA polymerase 억제), 팜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가 사용됩니다. HIV 치료제는 역전사효소 억제제(지도부딘, 라미부딘)와 단백질 분해효소 억제제(리토나비르, 인디나비르)로 구성됩니다. 인플루엔자 치료제는 뉴라미니다아제 억제제(오셀타미비르, 자나미비르)입니다. 메트로니다졸은 혐기성 세균과 원충 감염에 사용되며, 말라리아 치료제로는 퀴닌과 클로로퀸이 사용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β-Lactam 항생제 (페니실린 및 세팔로스포린)
    β-Lactam 항생제는 현대 항생제 치료의 기초를 이루는 매우 중요한 약물군입니다. 페니실린의 발견 이후 세팔로스포린까지 발전하면서 광범위한 세균 감염 치료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세팔로스포린은 페니실린 내성 균주에 대해서도 우수한 효과를 보이며, 여러 세대로 나뉘어 다양한 임상 상황에 적용됩니다. 다만 과다 사용으로 인한 내성균 발생이 심각한 문제이며, 알레르기 반응도 고려해야 합니다. 앞으로도 내성 문제 해결과 안전성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2. 마크로라이드 및 린코사마이드 항생제
    마크로라이드 항생제는 호흡기 감염 치료에 매우 효과적이며, 세포 내 침투성이 우수하여 특정 병원체 치료에 선호됩니다. 린코사마이드는 혐기성 세균 감염에 특히 유용합니다. 이들 약물은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적고 경구 투여가 가능하여 외래 치료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최근 내성균 증가, 특히 마크로라이드 내성 폐렴구균의 증가가 우려됩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과 QT 연장 위험 등을 고려한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며, 합리적 항생제 사용 원칙 준수가 중요합니다.
  • 3. 테트라사이클린 및 아미노글리코시드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은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과 우수한 조직 침투성으로 다양한 감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특히 리케차, 클라미디아, 마이코플라즈마 감염에 효과적입니다. 아미노글리코시드는 강력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그람음성 간균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두 약물군 모두 심각한 부작용이 있습니다. 테트라사이클린은 광감성 반응과 식도 손상 위험이 있고, 아미노글리코시드는 신독성과 청각독성이 주요 관심사입니다. 따라서 신기능 모니터링과 혈중 농도 측정이 필수적이며, 신중한 용량 조절이 필요합니다.
  • 4. 항결핵제 및 항진균제
    항결핵제는 결핵 치료에 필수적이며, 다제 병용 요법으로 내성 결핵균 발생을 억제합니다. 장기간의 치료 기간이 필요하고 약물 상호작용이 복잡하여 전문적 관리가 중요합니다. 항진균제는 진균 감염의 증가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특히 면역저하 환자에서 필수적입니다. 그러나 항결핵제와 항진균제 모두 간독성, 신독성 등 심각한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약물 상호작용이 많아 다른 질환 치료 약물과의 병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정기적인 간기능, 신기능 검사와 임상 모니터링이 필수적입니다.
  • 5. 항바이러스제 및 기타 항감염제
    항바이러스제는 바이러스 감염 치료에 혁신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특히 HIV, 인플루엔자, COVID-19 치료에 중요합니다. 최근 개발된 항바이러스제들은 더욱 선택적이고 효과적입니다. 기타 항감염제는 특정 병원체에 대한 치료 옵션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항바이러스제는 높은 비용, 내성 발생 가능성, 그리고 장기 사용 시 부작용이 문제입니다. 또한 바이러스 변이에 따른 약효 감소도 고려해야 합니다. 앞으로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항바이러스제 개발, 내성 모니터링 강화, 그리고 합리적 사용 지침 수립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