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초 노트 정리(2) - 한의학 병증 용어 해설
본 내용은
"
본초 노트 정리(2)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9
문서 내 토픽
-
1. 소화기계 병증비만창통은 흉완부가 막혀 그득하고 답답하되 아프지 않은 병증이며, 결흉은 사기가 가슴속에 몰려 명치 밑이 그득하고 아픈 증상입니다. 하리후중은 하리 후에 뒤가 묵직한 것으로 복통과 항문의 묵직한 느낌이 남아있으며, 흉완비민은 가슴과 중완 부위가 더부룩하여 불편한 증상입니다. 습조기체는 습이 기를 막아 기가 울체되는 것으로 소통이 방해되는 상태입니다.
-
2. 비뇨생식기계 병증요유여력은 소변을 다 본 후 여분의 소변이 방울방울 떨어지면서 잔뇨감을 갖는 증상이며, 소변임력은 배뇨 횟수는 많으나 양은 적고 방울방울 떨어지는 증상입니다. 실금요빈은 소변을 참지 못하며 자주 보는 것이고, 소변기림은 배뇨가 삽체불쾌하고 소복창만한 병증입니다. 한선복통은 배꼽 주위가 짜는 듯이 아프고 손발이 차가워지는 병증입니다.
-
3. 부인과 병증유방창통은 유방이 부풀어 오르고 터질듯이 아픈 병증이며, 부녀붕루는 부녀의 성기로부터 비정상적으로 피가 나오는 것입니다. 적백대하는 성숙된 여자의 생식기로부터 병적으로 빛이 벌건 피 같은 분비물이 흐르는데 백대하가 섞여 나오는 증상이고, 부인장조는 부인에게 생기는 히스테리발작 같은 정신신경장애입니다.
-
4. 외상 및 피부질환금창은 쇠붙이에 상한 창상으로 경하면 피부나 근육이 손상되고 심하면 내장까지 상합니다. 질타섬좌는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좌상과 섬상이 생긴 변증이며, 반독은 머리털이 국한성으로 뭉텅뭉텅 빠져 탈모반이 생기는 것입니다. 혈비는 과로를 틈타 땀이 과도할 때 바람이 혈분으로 들어가 사지가 아프고 뼈마디가 쑤시는 것입니다.
-
1. 소화기계 병증소화기계 병증은 현대인의 생활 방식과 식습관 변화로 인해 발생률이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질환군입니다. 위염, 위궤양, 대장염 등 다양한 질환이 포함되며,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삶의 질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스트레스 관리, 규칙적인 식습관, 적절한 약물 치료의 조합이 효과적입니다. 내시경 검사 등 진단 기술의 발전으로 조기 발견이 가능해졌으며, 이는 예후 개선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예방 차원에서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가 가장 중요하며, 증상 발생 시 전문의의 상담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권장됩니다.
-
2. 비뇨생식기계 병증비뇨생식기계 병증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건강 문제입니다. 요로감염, 신장질환, 전립선질환 등은 조기 발견 시 치료 예후가 좋습니다. 정기적인 건강검진과 증상 모니터링이 중요하며, 충분한 수분 섭취와 개인위생 관리가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특히 고령층에서 발생률이 높아지므로 연령대별 맞춤형 관리가 필요합니다. 현대 의학의 발전으로 다양한 치료 옵션이 제공되고 있으며,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을 위해 의료진과의 적극적인 소통이 필수적입니다.
-
3. 부인과 병증부인과 병증은 여성의 건강과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질환군입니다. 자궁근종, 난소낭종, 자궁내막증 등 다양한 질환이 있으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조기 발견이 치료 성공의 핵심입니다. 호르몬 변화에 따른 증상 관리와 심리적 지원도 중요한 부분입니다. 최신 의료 기술의 발전으로 최소침습 치료가 가능해져 회복 기간이 단축되었습니다. 여성의 생식 건강과 전반적인 웰빙을 위해 전문의와의 정기적인 상담과 예방적 관리가 매우 중요합니다.
-
4. 외상 및 피부질환외상 및 피부질환은 신체적 손상뿐만 아니라 심리적 영향도 미치는 질환입니다. 외상의 경우 신속한 응급 처치와 적절한 재활이 기능 회복에 결정적입니다. 피부질환은 감염, 염증, 알레르기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정확한 진단이 치료의 첫 단계입니다. 개인위생 관리, 환경 개선, 스트레스 관리가 예방과 회복에 도움이 됩니다. 특히 심각한 외상이나 만성 피부질환의 경우 전문의의 지속적인 관리와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 필수적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