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성 시뮬레이션 실습: 태아분만 간호과정
본 내용은
"
모성 시뮬레이션 실습 태아분만 간호과정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7
문서 내 토픽
-
1. 분만 통증 관리지속적인 자궁수축과 관련된 급성통증을 호소하는 산모에 대한 간호중재. 활력징후 모니터링, 자궁수축상태 사정, NRS 통증척도를 이용한 통증강도 측정, 진통제(케토락) 투여, 체위변경, 호흡법 및 이완요법 교육을 통한 통증완화. 단기목표는 1일 이내 통증완화 방법 2가지 이상 습득, 장기목표는 퇴원 시까지 진통제 없이 통증 소실.
-
2. 분만 관련 불안 관리분만과정 중 아기 상태에 대한 걱정과 수술에 대한 불안을 호소하는 산모의 심리적 지지. 느린 흉식호흡법 교육, 분만과정 정보 공유(활력징후, 태아심박동률, 경관개대), 정확한 정보제공, 보호자의 정서적 지지, 침착한 태도 유지를 통해 불안 감소. 단기목표는 30분 이내 정상호흡수 유지, 장기목표는 수술 전까지 불안 감소.
-
3. 양수파막 관련 감염 예방양수 자연파열 2시간 후 감염위험성에 대한 간호중재. 활력징후 4시간마다 측정, 혈액검사(WBC, CRP)를 통한 감염 유무 확인, 누출 양수의 양과 냄새 확인, 무균법 준수 및 손위생, 항생제(cefamezine) 투여, foley 삽입부위 드레싱 상태 사정. 목표는 퇴원 시까지 감염 증상 미발생.
-
4. 산부 간호사정분만 중 산모의 주관적, 객관적 자료 수집. 주관적 자료: 복부통증, 불안감, 양수누출 호소. 객관적 자료: 활력징후(114/84-94-32-82%), 호흡곤란, 고통스러운 표정, 자궁수축(간격 1분, 지속시간 80초, 강도 80), 경관개대 5cm, 소실 50%, 니트라진 검사 청록색 양성. 이러한 자료를 통해 간호진단 도출 및 간호계획 수립.
-
1. 분만 통증 관리분만 통증 관리는 산모의 신체적, 정신적 안녕을 위해 매우 중요한 영역입니다. 약물적 중재(무통분만, 경막외 마취 등)와 비약물적 중재(호흡법, 이완요법, 마사지, 체위변경 등)를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면 산모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각 산모의 개별적 선호도, 의료력, 분만 진행 상황을 고려하여 맞춤형 통증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간호사는 산모에게 다양한 통증 관리 방법에 대해 충분히 설명하고, 산모가 자신의 선택을 존중받으며 통증 관리 과정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합니다.
-
2. 분만 관련 불안 관리분만 관련 불안은 많은 산모들이 경험하는 자연스러운 감정이며, 적절한 관리가 분만 경험의 질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산전 교육, 분만 과정에 대한 명확한 정보 제공, 지속적인 정서적 지지가 불안 감소에 효과적입니다. 간호사와 의료진의 공감적 태도, 산모의 의견 경청, 신뢰 관계 형성이 중요합니다. 필요시 심리 상담, 이완 기법, 명상 등의 보완적 중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분만 파트너의 참여와 지지도 산모의 불안 감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므로 격려해야 합니다.
-
3. 양수파막 관련 감염 예방양수파막은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중요한 상황으로, 철저한 감염 예방이 필수적입니다. 양수파막 후 시간 경과에 따른 감염 위험도 증가를 고려하여 적절한 시점에 분만 유도나 제왕절개를 결정해야 합니다. 청결한 환경 유지, 빈번한 질 검사 최소화, 항생제 예방 투여, 산모와 신생아의 감염 징후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산모에게 감염 증상(발열, 악취나는 질 분비물, 복부 통증 등)을 교육하고 즉시 보고하도록 지도해야 합니다. 신생아의 감염 예방을 위해 분만 후 적절한 항생제 치료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
4. 산부 간호사정산부 간호사정은 효과적인 간호 중재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산모의 신체적 상태(생활 징후, 자궁 수축, 자궁경 개대, 태아 상태 등), 심리사회적 상태, 통증 수준, 불안도, 지지 체계 등을 포괄적으로 평가해야 합니다. 체계적이고 정기적인 사정을 통해 분만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산모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 적극적 경청, 개별화된 접근이 정확한 사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정 결과를 바탕으로 산모의 요구에 맞는 맞춤형 간호 계획을 수립하여 분만 경험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A+모성시뮬레이션실습] 분만 간호과정 보고서-과정3가지 6페이지
모성 시뮬레이션간호과정 (정산부)과목명 : 모성시뮬레이션실습교수님 : OOO교수님제출일 : 2021. .조 :조 원 :1. 대상자 정보이름정산부성별여자(Female)나이35세키165cm현병력IUP at 40+2 WKs 산모산과력- Parity 0-0-0-0 (초산부)- 체중증가 50kg → 64kg- LMP 2015.9.11.- EDC 2016.6.18.- Fetal moniotor : Ut contraction 40~50mmHg/2~5minNST reactiveFHR 120~130 bpm baseline- Cervical dila...2022.08.27· 6페이지 -
[A+모성시뮬레이션실습] 분만 사전학습 6페이지
모성 시뮬레이션사전학습 (정산부)과목명 : 모성시뮬레이션실습교수님 : OOO교수님제출일 :조 :조 원 :1. 정상 질분만과정(분만 1기)의 정의를 내리고, 사정해야 할 간호내용에 대해 알아봅시다.?분만1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부터 경관의 완전개대(10cm)까지를 말함.?사정해야 할 간호내용① 간호력- 산전자료 검토하고 현재의 건강상태 파악- 자궁수축상태 파악: 언제 시작, 자궁수축 특징, 양막의 상태, 분만의 전구증상(하강감, 이슬배출유무 등)- 심리사회적·문화적인 요소 사정: 임부의 지지자 확인- 임부의 분만계획을 검토하고 분만계획...2022.08.27· 6페이지 -
[Vsim]Maternity Case 7,Carla Hernandez (Core)-제대탈출(umbilical cord prolapse) 디브리핑 보고서 7페이지
모성V-sim 개인디브리핑보고서1.디브리핑(VSIM 실습 후)단 계질 문1. Descriptionphase1) 시뮬레이션상에서 해당 산모를 접하고 무엇을 느꼈나요?- 산모를 처음 봤을 때 어떤 느낌을 가졌나요?FHS의 가변성 하강으로 인해 제대탈출인 것을 바로 알 수 있었고, 빠른 간호사정과 수행이 필요하여 조급한 마음이 생겼습니다. 그래프에서 가변성 하강을 나타내고 있던 것을 제대로 보아서 ‘아 어느 정도 공부가 된 상태구나’라는 생각이 들었다. 마음이 급해지지 않도록 노력하며, 시뮬레이션을 단계별로 실시하였다.- 산모는 어떤 상...2022.11.23· 7페이지 -
[A+] 모성간호학 실습 케이스 중증 전자간증 - 간호진단 2개 17페이지
모성간호학 실습 Case Study중증 전자간증(severe Preclampsia)학 교학 과간호학과과 목 명모성간호학 실습실습기관안동병원(온라인 실습)실습기간23.01.16~23.01.27지도교수교수님학 번이 름제 출 일2023.01.27※목차※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Ⅱ. 문헌고찰 (전자간증)Ⅲ. 사례연구 보고서1. 일반적 사항2. 현재 건강상태3. 가족력4. 과거 건강력5. 현재 산과력6. 기본욕구의 이해7. 신체사정8. 임상검사9. 약물10. 간호과정(주관적,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 간호중재, 간호평...2023.02.03· 17페이지 -
v-Sim 견갑난산 Amelia Sung Documentation Assignment, Guided Refection Questions 3페이지
1. Maternity Case 6: Amelia Sung (Complex)가. Documentation Assignments1. 대상자를 인계받은 시점부터 제공자가 분만실로 데려다줄 때까지 대상자의 태아 상태와 진통 경과를 기록한다.- Amelia Sung은 임신 39주차의 36세 필리핀 여성 G2P1(L1)으로 24시간 전에 유도분만을 위해 입원했음. 옥시토신을 투여하기 시작했으며 프로토콜에 따라 하루 종일 주입량을 늘렸음. lactated Ringer's의 메인라인 IV는 125mL/hr로 실행되고 옥시토신(500mL 생리 식...2021.11.27· 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