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 광통신 - PCM 변조 방식
본 내용은
"
A+ 광통신 - 9. PCM 변조 방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9
문서 내 토픽
-
1. 펄스 코드 변조(PCM)펄스 코드 변조(PCM, Pulse Code Modulation)는 연속적인 시간과 진폭을 가진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표본화, 양자화, 부호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PCM은 잡음과 간섭에 강하고, 효과적인 신호 재생이 가능하며, 다른 디지털 데이터와 합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시스템이 복잡하고 양자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델타 변조(DM)델타 변조(DM, Delta Modulation)는 이전 표본 값과의 차이만을 1비트로 부호화하는 간단한 형태의 DPCM입니다. DM은 정보량을 압축할 수 있고 회로 구성이 간단하여 신뢰성이 높지만, 입력 신호의 기울기가 클 경우 경사과부하 잡음이 발생하고 기울기가 작은 경우 과립형 잡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
3. 적응형 델타 변조(ADM)적응형 델타 변조(ADM, Adaptive Delta Modulation)는 입력 신호의 변화에 따라 양자화 계단의 크기를 적응적으로 조절하여 경사과부하 잡음과 과립형 잡음을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ADM은 DM에 비해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지만, 보다 나은 신호 대 잡음비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1. 펄스 코드 변조(PCM)펄스 코드 변조(PCM)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PCM은 아날로그 신호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샘플링하고, 각 샘플의 진폭을 양자화하여 이진 코드로 표현합니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PCM은 간단한 구조와 구현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양자화 오류로 인한 신호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송 대역폭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PCM은 디지털 오디오, 영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디지털 통신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기술입니다.
-
2. 델타 변조(DM)델타 변조(DM)는 PCM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기술입니다. DM은 이전 샘플과의 차이만을 양자화하여 전송함으로써 전송 대역폭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양자화 오류가 누적되지 않아 신호 왜곡이 적습니다. DM은 음성 통신, 영상 압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DM은 PCM에 비해 신호 대 잡음비가 낮고, 저주파 성분의 왜곡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적응형 델타 변조(ADM)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었습니다.
-
3. 적응형 델타 변조(ADM)적응형 델타 변조(ADM)는 DM의 단점을 개선한 기술입니다. ADM은 입력 신호의 특성에 따라 양자화기의 스텝 크기를 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신호 대 잡음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DM에 비해 더 나은 음질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ADM은 음성 코딩, 영상 압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ADM은 저주파 성분의 왜곡을 줄일 수 있어 DM에 비해 더 나은 성능을 보입니다. 그러나 ADM은 구현이 복잡하고 처리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정보통신개론 정리 중간고사 9페이지
[밑줄 : ★, 볼드 : ★★, 볼드이텔릭 : ★★★, 파란색 : ★★★★, 빨간색 : ★★★★★]제 1장 정보통신의 개요1.1 통신의 역사- 1958년 미국에서 개반된 SAGE(Semi-Automatic Ground System) 시스템은 최초의 컴퓨터망[통신으로 연결된 최초의 통신망 시스템]- 1969년 최초의 패킷 교환망 ARPANET- 1970년대 말 LAN의 기술에는 이더넷, 토큰링, 토큰버스, FDDI 등이 있다- 1980년대 중반 전화+데이터를 통합전송하기 위한 N-ISDN (Narrowband 협대역) 전화선을 통해,...2019.02.01· 9페이지 -
정보통신시스템 개요(Introduction to Information & Telecommunication Systems) 27페이지
정보통신시스템정보통신세계 요약http://noma.kunix.org/study/itsystem차례1234서론신호와 파형신호처리전송손상과 전송매체5정보의 디지털화통신모형과 요소1. 서론보내는 정 보송신기통신로수신기받는 정보잡음원잡음메시지송신신호수신신호메시지샤논(Shannon)의 정보통신체계 모형 - 정보통신 이론 연구의 장을 엶정보통신시스템의 기능1. 서론기능역할기술적인 요소연결성(connectivity)정보교환 당사자들을 연결송신자와 수신자 사이의 정보교환 통로(channel) 확립정보전달의 안정성(rebustness)외부적 충격으...2011.06.04· 27페이지 -
Analog변조 및 Digital변조 12페이지
목차1. 아날로그신호와 디지털신호 ······································· 3page2. 변조의 개요 ························································· 3page3. 변조의 필요성 ······················································ 3page4. 변조(modulation)방식 ············································· 4page4.1 아날로그 to 아날로그 변조 ·...2009.05.16· 12페이지 -
변조(modulation) 33페이지
변조 (Modulation)목 차변조(Modulation) QPSK Modulator QPSK Demodulator OQPSK Modulator MSK Modulator MSK Demodulator GMSK Modulator Angle Modulator(간단한 설명)1.1 개요 통신로를 통해 수신측에 정보를 전송할 때 보내고자 하는 정보를 그 통신로의 특성에 맞게 효율적으로 변형 변조시 주파수 영역에서 신호 스펙트럼을 이동시킴 통신방식 i) 기저대역 통신 : 변조를 하지 않음 ii) 통과대역 (반송대역) 통신 : 변조기법을 사용 1...2008.09.22· 33페이지 -
통신실험 프로젝트 2 20페이지
통신 실험 설계 Project 1 보고서Ⅰ. 설계 목적AM (DSB-SC) 변복조 과정을 MATLAB을 이용하여 설계하고, 파형 및 스펙트럼을 확인한다. 그리고 복조 과정에서 곱해주는 반송파와 변조 시에 곱해주는 반송파의 위상과 주파수가 동일해야 하는 중요성을 알아본다.Ⅱ. 설계에 필요한 배경 지식1. 통신 방식 및 AM통신 방식에는 크게 변조를 사용하지 않는 기저대역 통신과 변조 기법을 사용한 통과대역 통신으로 나눌 수 있다.기저대역이라는 말은 신호가 원래 가지고 있는 주파수의 범위를 말한다. 즉, 전화기에서의 기저대역은 음성신호...2009.06.26· 20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