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61 알루미늄 합금 금속 인장 실험
본 내용은
"
중앙대학교 고체재료실험 금속인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20
문서 내 토픽
-
1. 금속 인장 시험6061 알루미늄 합금 시편을 이용한 인장 시험 실험으로, 시편 준비, 캘리퍼스를 통한 초기 물성 측정, 인장 시험기에 시편 고정, 인장 시험 수행 중 네킹 현상과 파단 현상 관찰, 파단 후 시편 물성 재측정 등의 과정을 거친다. 실험을 통해 응력-변형률 선도를 작성하고 탄성 계수, 항복 강도, 인장 강도 등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파악한다.
-
2. 6061 알루미늄 합금의 물성6061 알루미늄 합금의 기본 물성으로는 탄성 계수 68.9 GPa, 항복 강도 276 MPa, 인장 강도 310 MPa, 파단 신장도 12~17%, 경도 95 HB, 푸아송 비 0.33, 전단 탄성 계수 26 GPa, 밀도 2.7 g/cc 등이 있다. 실험 결과 탄성 계수 32.24 GPa, 항복 강도 298.97 MPa, 인장 강도 326.17 MPa, 연신율 40.47%, 단면적 감소율 20.36%로 측정되었다.
-
3. 응력-변형률 선도 및 재료의 거동응력-변형률 선도는 재료의 탄성 영역과 소성 영역을 나타낸다. 알루미늄 시편의 경우 (0.00964946, 275.086 MPa)를 비례한도로 가정하여 이전까지는 탄성 영역, 이후로는 소성 영역으로 구분된다. 알루미늄은 연성 재료로 전형적인 연성 거동을 보이며, 찢어지는 듯한 파단면과 뚜렷한 네킹 현상이 관찰되고 비스듬한 파단이 발생한다.
-
4. 인성과 탄성 변형률 회복인성(Toughness)은 재료가 파단되기 전까지 흡수하는 에너지로, 응력-변형률 선도의 아래 면적에 해당한다. 알루미늄은 PLA 폴리머 시편과 비교하여 연신율 40.47% vs 0.11%, 단면적 감소율 20.36% vs 4.88%로 훨씬 우수한 인성을 보인다. 탄성 변형률 회복은 탄성 영역에서 하중 제거 시 원상태로 복귀하고, 소성 영역에서는 새로운 항복점이 생기며 탄성 영역이 확대된다.
-
1. 금속 인장 시험금속 인장 시험은 재료의 기계적 성질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시험 방법입니다. 이 시험을 통해 항복강도, 인장강도, 연신율 등 핵심 물성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재료 선택 및 설계 기준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표준화된 시험 절차와 정확한 측정 장비의 사용으로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며, 이는 산업 전반에서 품질 관리와 안전성 확보의 근간이 됩니다. 다양한 온도와 변형률 속도 조건에서의 시험을 통해 재료의 환경 적응성도 평가할 수 있어 실무 적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
2. 6061 알루미늄 합금의 물성6061 알루미늄 합금은 우수한 내식성, 가공성, 용접성을 갖춘 범용 구조용 합금으로 산업 전반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됩니다. 적절한 강도와 경량성의 조화로 항공우주, 자동차, 건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호되며, 열처리를 통해 물성을 조절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습니다. 다만 고강도가 필요한 응용에서는 7075 등 다른 합금에 비해 제한적이며, 피로 특성 개선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환경 친화적이고 재활용성이 우수한 점도 현대 산업에서 중요한 장점입니다.
-
3. 응력-변형률 선도 및 재료의 거동응력-변형률 선도는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가장 중요한 도구로, 탄성 영역, 항복점, 소성 영역, 파단점 등 재료의 특성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선도를 통해 재료의 강성, 강도, 연성 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설계 기준을 수립할 수 있으며, 재료 간 비교 분석도 용이합니다. 온도, 변형률 속도, 미세조직 등 다양한 인자에 따른 선도의 변화를 분석하면 재료의 거동 메커니즘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어 신소재 개발에도 필수적입니다.
-
4. 인성과 탄성 변형률 회복인성은 재료가 파괴되기 전에 흡수할 수 있는 에너지의 척도로, 강도와 연성의 조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물성입니다. 높은 인성을 갖춘 재료는 충격이나 반복 하중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하여 안전성이 중요한 구조물에 필수적입니다. 탄성 변형률 회복은 하중 제거 후 재료가 원래 형태로 돌아오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스프링이나 탄성 부품 설계에 중요합니다. 두 특성 모두 미세조직, 결정 구조, 불순물 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재료 설계 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
[기계요소설계]처짐량 좌굴 경계조건실험 PreLab 5페이지
기계요소설계 실험 PreLAB 1&2이름 : 양두원학번 : 21900427PreLAB11.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황동의 종류에 대해 조사하고 Stainless Steel 304, Aluminum 6061-T6, Brass C21000 OSO50 Temper의 탄성계수, 포아송비, 밀도, 항복강도, 인장강도를 찾아 비교하라.스테인레스 스틸은 철의 내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약 11%의 크롬이 포함된 상태로 만들어진 합금이다. 스테인레스 스틸의 종류는 크롬 및 기타 원소의 함량, 금속 조직에 따라 분류되는데 크게 Austenite...2023.03.27· 5페이지 -
[명지대 기공실]금속재료 인장시험/취성재료 3점 굽힘시험 결과레포트 5페이지
금속재료 인장시험 취성재료 3점 굽힘시험 결과 : 박땡땡 교수님[1] Introduction1. Al6061 재료 특성 및 용도(1) 특성▶ 알루미늄은 기본적으로 백색의 가볍고 비교적 무른 금속으로 가볍고 내구성 우수▶ 열처리 합금 6000계열 Al은 강도와 내식성이 양호▶ 같은 Al6061 계열 중 T6는 상당히 높은 온도에서의 열처리가 행해진 고강도 알루미늄 합금강▶ 용접·압출이 쉽고 가공성이 우수, 시효경화 후 강도가 높음▶ 연신율, 내식성이 높아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2) 물성치표 1. 알루미늄의 물성치 : 높은 숫자일수...2020.12.12· 5페이지 -
조선대 재료공학실험3(3학년 2학기)-Al6061의 냉간압연재에 대한 정적회복과 재결정 19페이지
Ⅰ.서론1.실험 목적Al6061의 냉간압연재에 대한 정적회복과 재결정2.이론적 배경2.1 용어 정리1) 알루미늄그림 1. Al 합금 판재-철(Fe)의 약 1/3정도로 가벼움-열전도도뿐만 아니라 빛, 열의 반사율이 좋음-알루미늄은 공기 중에서 산화되기 쉽지만 산화층은 치밀해서 알루미늄 내부를 보호하는 내식성이 좋은 금속-농질산, 유기산에 강하지만 비산화성 산이 염산 및 황산, 알칼리에는 매우 약함-전성, 연성, 수축성이 좋고 매우 쉬운 금속이므로 공업용 및 생활용품으로 널리 사용2) 압연압연(rolling)이란 회전하는 롤(원주형의 ...2021.04.14· 19페이지 -
항공대학교 응용공학실험 보의 굽힘 실험 레포트 100점 A+ 22페이지
I. 서론1. 실험 목적적절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기계 혹은 구조물에 설계에 사용될 재료를 결정하기 위해선, 재료의 기계적 거동(Mechanical Behavior)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이번 실험은 재료가 굽힘 하중을 받을 때, 어떻게 거동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한 굽힘 실험이다.이번 응용공학실험에서 진행된 실험은 3접점 굽힘 시험법인데, 만능인장시험기를 이용하여 크기 및 형상이 결정된 시편에 점차적으로 하중을 가하여 재료의 변형을 관측하고, 파단이 발생할 때까지 하중을 부과하여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관측하는 실험이다. 이 실...2020.12.16· 22페이지 -
[금속재료공학실험]석출경화(Precipitation Hardening) 8페이지
석출경화(Precipitation Hardening)1. 실험 이론 및 원리가. 석출경화금속의 모재상 내부에 미세하고 균일한 분포의 2차 상의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의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미세한 입자의 “석출상”의 형성을 수반하므로 석출 경화라고 하며, 시간에 다라 경도가 증가하므로 “시효 경화”라고도 한다. 석출 경화에 의해 경화되는 합금에는 알루미늄-구리, 구리-베릴륨, 구리-주석, 마그네슘-알루미늄 등이 있다. 다수의 철합금도 석출경화가 가능하다.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강의 열처리...2022.08.23·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