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KI on CKD 케이스 (진단 3개, 과정 다수)
본 내용은
"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진단 3개, 과정 다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2.03
문서 내 토픽
-
1. 비효율적 호흡양상대상자는 폐렴이 존재하며 네뷸라이저로 기관지 확장제와 진해거담제를 투여하고 있습니다. 호흡곤란을 호소하며 BLL에서 Grunting sound가 들리나 섬망 증세로 인해 효율적으로 객담을 뱉지 못하여 Suction을 시행 중이며 1회/일 고빈도흉벽요법을 시행 중입니다. 낮은 PCO2, Bicarbonate, SpO2 수치를 보이며 산소요법을 진행했으나 SpO2가 정상범위로 유지되지 않아 현재 Airvo 40L/50%로 산소량을 상승시켜 제공 중입니다. 해당 산소요법은 인공호흡기 바로 아래 단계이므로 심각한 상태라고 판단됩니다.
-
2. 신기능 손상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대상자는 만성 신부전이나 최근 lab 결과가 좋지 않아 AKI on CKD를 진단명으로 가지고 계신 분입니다. 만성신부전으로 신장을 대표하는 수치인 BUN, Cr 등이 비정상이라 혈액투석 3일 진행했습니다. lab 수치상, RBC, Hb, Hct 수치가 정상 이하로 만성신부전 증상인 빈혈을 보이며 urine output 1000 미만으로 유지 중이고 단백뇨 존재합니다. 또한, 신부전으로 인해 칼슘, 나트륨, 칼륨이 정상범위를 유지하지 못합니다. 신부전으로 인한 대사성 산증 보상 기전 및 골절 및 수술 통증으로 호흡수 증가하여 호흡성 알칼리증도 존재합니다.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대상자는 폐렴과 요로감염을 가지고 계시고 수술력 존재, Foley, PCN, IV PCA, HD catheter를 keep하고 계시며 CAG와 욕창 site를 Dx하는 중입니다. lab 상, 감염을 의미하는 수치 또한 높습니다. 또한, 당뇨를 가지고 있어 상처가 빨리 아물지 않기 때문에 감염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
1. 비효율적 호흡양상비효율적 호흡양상은 환자의 건강과 안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이는 폐 기능 저하, 산소 공급 부족, 이산화탄소 축적 등을 초래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호흡 양상을 면밀히 관찰하고 평가하여 원인을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환자의 기저 질환, 투약 상황, 활동 수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산소 공급, 호흡 운동, 체위 변경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환자의 호흡 기능을 향상시키고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환자와 보호자에게 비효율적 호흡양상의 원인과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전문성과 통찰력을 발휘하여 비효율적 호흡양상 관리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2. 신기능 손상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 위험성신기능 손상은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입니다. 신장은 체내 전해질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 기관이므로, 신기능이 저하되면 나트륨, 칼륨, 칼슘, 인 등의 전해질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근육 경련, 심장 부정맥, 의식 변화 등의 위험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신속한 발견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간호사는 환자의 전해질 수치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신기능 저하 징후를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 식이 조절, 약물 투여 등의 간호 중재를 통해 전해질 불균형을 예방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환자와 보호자에게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성과 관리 방법을 교육하여 환자 참여를 높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간호사는 전문성과 통찰력을 발휘하여 신기능 손상으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 관리에 힘써야 할 것입니다.
-
3.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침습적 처치는 감염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수술, 카테터 삽입, 인공호흡기 사용 등의 침습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