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혈을 이용한 이식면역학 특성규명
본 내용은
"
내몸주치면역학과제ppt단국대천안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8
문서 내 토픽
-
1. 이식 거부반응의 유형이식 거부반응은 발생 원인과 시간에 따라 초급성, 급성, 만성으로 분류된다. 초급성 거부반응은 기존 항체에 의해 수분~수시간 내 발생하며, 급성 거부반응은 면역세포와 항체에 의해 일주일~수주일에 걸쳐 발생한다. 만성 거부반응은 세포성 및 체액성 면역이 모두 관여하여 6개월~1년에 걸쳐 진행되며 이식편 동맥경화증을 유발한다.
-
2. 동종이식 면역반응동종이식 거부반응은 특이성과 기억성을 나타낸다. 1차 거부반응은 3~14일에 걸쳐 진행되며, 2차 거부반응은 6일 반 만에 완전한 거부반응이 나타난다. CD4와 CD8 T세포가 모두 참여하며, 두 세포의 협동이 있을 경우 더 높은 거부반응이 유도된다. 직접제시와 간접제시 경로를 통해 동종항원이 제시된다.
-
3. HLA와 이식적합도 검사혈액형과 MHC는 이식거부반응의 가장 강력한 요인이므로 이식 전 적합성을 확인해야 한다. 제대혈을 이용한 MHC 적합도 검사는 제대혈 유래 줄기세포의 우수한 재생능력과 증식배양 용이성을 활용한다. Mixed lymphocyte reaction을 통해 HLA 발현을 조사하여 이식면역학적 특성을 규명할 수 있다.
-
4.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는 재생능력이 우수하여 증식배양이 잘 되는 장점이 있다. 제대혈의 확보, 중간엽줄기세포의 분리와 확인, immunocytochemistry에 의한 HLA 발현 확인 등의 과정을 통해 이식면역학적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
1. 이식 거부반응의 유형이식 거부반응은 이식 의학에서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입니다. 초급성 거부반응은 수분 내에 발생하며 주로 ABO 혈액형 부적합이나 기존 항체에 의해 유발됩니다. 급성 거부반응은 이식 후 수일에서 수개월 사이에 발생하며 T세포 매개 면역반응이 주요 원인입니다. 만성 거부반응은 수개월에서 수년에 걸쳐 진행되며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이 모두 관여합니다. 각 유형의 거부반응을 이해하고 적절한 면역억제제를 사용하는 것이 이식 성공률을 높이는 데 필수적입니다. 현대의 면역억제 요법의 발전으로 급성 거부반응은 잘 조절되고 있지만, 만성 거부반응은 여전히 장기 생존을 제한하는 주요 요인으로 남아있습니다.
-
2. 동종이식 면역반응동종이식 면역반응은 수여자의 면역계가 공여자의 조직을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일으키는 복잡한 생물학적 과정입니다. 직접 제시 경로와 간접 제시 경로를 통해 T세포 활성화가 일어나며, B세포는 항체 생성을 통해 체액성 면역반응을 매개합니다. 자연살해세포와 대식세포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면역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칼시뉴린 억제제, mTOR 억제제, 항증식제 등 다양한 면역억제제가 사용됩니다. 그러나 과도한 면역억제는 감염과 악성종양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적절한 수준의 면역억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향후 선택적 면역관용 유도 기술의 발전이 이식 의학의 미래를 크게 변화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
3. HLA와 이식적합도 검사HLA(Human Leukocyte Antigen)는 이식 거부반응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HLA 일치도가 높을수록 이식 성공률이 높고 장기 생존이 길어집니다. 현대의 HLA 검사는 혈청학적 방법에서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진화하여 더욱 정확한 타이핑이 가능해졌습니다. HLA 항체 검사는 감작된 환자의 이식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교차검사는 공여자와 수여자 간의 HLA 항체 반응성을 확인하여 초급성 거부반응을 예방합니다. 그러나 HLA 일치만으로는 거부반응을 완전히 예방할 수 없으며, 비HLA 항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HLA 검사 결과와 임상적 판단을 종합하여 이식 결정을 내려야 합니다.
-
4. 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제대혈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SCs)는 높은 자가재생능과 다분화능을 가진 세포로서 재생의학과 면역치료 분야에서 큰 잠재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면역조절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식 거부반응 억제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MSCs는 낮은 면역원성을 가지고 있어 동종이식이 가능하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하고 조절 T세포를 유도합니다. 조직 손상 복구와 혈관신생 촉진 능력도 있어 다양한 질환 치료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다만 현재까지 임상 적용은 제한적이며, 표준화된 배양 및 품질 관리 방법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향후 제대혈 MSCs의 임상적 효용성이 입증된다면 이식 의학과 재생의학에 혁신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됩니다.
-
세포치료 (세포치료제, 조혈 모세포 치료등), 유전자 치료, 헬스케어 3.0시대, 일상관리 레포트 6페이지
1. 전체 형성능 : 식물과 같이 일부분의 조직 또는 세포로 전체 형상을 만들어 내는 능력1) 1~8 개의 세포로 나누어 질 때 까지는 전체 형성능이 존재2) 16개 세포부터 전체 형성능이 사라진다. 그러나 포배강 (120~160개 세포로 나누어짐) 은 배아줄기 세포로사용 되는 데 배아 줄기 세포를 다시 반으로 나누어 키우면 전체 형성능이 다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짐2. 발생 단계별1) Totipotent (전체 형성능)2) Pluripotent (다형성능)3) Multipotent (다중 형성능) : 기원/ 모세포 cell ; 조...2020.06.30· 6페이지 -
아동간호학 - 소아백혈병과 관련된 논문 요약 38페이지
소아 백혈병 (leukemia) 급만성질환 아동 간호학목차 ( 서론 - 본론 - 결론 ) 소아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 후 발생하는 말초신경병증의 양상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 환자에서 조혈모세포이식 후 연속적인 심장기능 변화 : 조직 도플러영상을 이용한 연구 3.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공여자 유형에 따른 조혈모세포이식 결과 4. 소아 급성백혈병 환자의 치료단계별 증상 규명 5. 백혈병 생존 아동 건강관리를 위한 부모코칭 영역 개발소아 급성림프구성백혈병에서 항암화학요법 후 발생하는 말초신경병증의 양상 101 서론 Ⅰ. 연구...2019.10.06· 38페이지 -
유전자 연구와 유전자를 이용한 의료환경의 변화 41페이지
유전자 연구와 의료환경의 변화목 차 1. 줄기세포의 종류와 연구사례 - 줄기세포의 종류 (1) 배아줄기세포 (2) 성체줄기세포 (3) 유도만능 줄기세포 - 연구사례 2. 유전자 치료의 정의와 방법 (1) 유전자 치료의 정의 (2) 유전자질환의 종류 (3) 유전자 치료의 방법 3. 맞춤의학 , 항체의약품 , 표적치료제 4. 유전자 치료의 문제점과 향후 전망- 배아란 ? 일반적으로 임신 2 개월까지의 초기 생명체 를 일컫는 말 . 좁게는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란이 된 뒤 14 일까지 수백 개의 세포로 분열한 상태를 의미 . 아직 미분...2013.01.16· 41페이지 -
ALL (급성림프구성 백혈병)문헌고찰 8페이지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 ALL)1. 정의- 림프구계 백혈구가 악성세포로 변하여 골수에서 증식하여 말초 혈 액으로 퍼지게 되며 간, 비장, 림프계, 대뇌, 소뇌, 척수 등을 침범 하는 질병- 대개 골수나 말초혈액에 림프아세포가 20% 이상 차지하는 경우를 림프구성 백혈병으로 정의- 주 발병 연령은 3 ~ 5세 사이로 소아암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 냄2. 병리1) 형태학적인 분류- 기원에 따라 L1-L3으로 세분- L1은 영 세포(null cell)에서, L2는 T세포에서, L...2011.12.27· 8페이지 -
유전자치료와 응용 7페이지
※ 서 론우리는 유전자치료에 대해 알아보고 유전자치료의 응용사례에 대해 알아 볼 것이다.※ 본 론1. 유전자 치료란? DNA재조합 방법을 이용하여 새로운 유전자를 환자의 세포 안으로 도입시켜 유전자 결함을 교정시키거나 세포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시켜 인체 세포의 유전적 변형을 통해 암, 감염성 질병, 그리고 자가면역질환 등과 같은 유전자결함을 치료하거나 예방하는 방법지난 20년간의 세포생물학과 분자 생물학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암 및 우전성 질환 등의 근원적 병인 규명 및 유전자 도입 기술발전 등 기반산업이 확보되면서, 1990년 선천...2009.05.13· 7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