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한국전력의 신재생에너지 전략과 기술개발
본 내용은
"
신재생에너지(한국전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6
문서 내 토픽
  • 1. 해상풍력
    한국전력은 2020년 9월 해상풍력발전사업단을 출범하여 산업생태계 조성과 마중물 역할을 추진 중입니다. 국내 풍력발전용량을 2034년까지 24.9GW로 확대하는 정부목표에 따라 2030년 2.9GW 공급을 목표로 합니다. 석션버켓 기초기술과 일괄설치시스템 등 신기술 개발을 통해 설치비용을 30% 이상 절감하고 있으며, 대규모 발전단지에 공동접속설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여 민간사업자 참여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 2.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한국전력은 2002년 국내 최초 CO2 포집 파일럿플랜트 설치 이후 2013년 10MW 포집플랜트를 설치하고 2019년 1만 시간 실증을 완료했습니다. 현재 3개사에 기술이전을 진행 중이며, 단기적으로 포집설비 대형화 및 석탄발전 적용을 추진하고, 장기적으로 블루암모니아·블루수소 전환과 대량 CO2 전환기술 확보를 목표로 합니다. 다만 포집비용(톤당 50~100달러), 저장소 부족, 상용화 기술 미비 등이 과제입니다.
  • 3. 그린수소
    한국전력은 2019년 P2G(Power to Gas) 초안을 발표하고 울산·나주에 실증플랜트 2기를 운영 중입니다. 블루수소는 국내 발전공기업과 공동연구로 2025년 실증플랜트 운영을 목표로 하며, 사우디 아람코와 협력하여 정유 기술을 수소 연료화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호주에서는 중단된 석탄광산을 태양광 발전 수소 생산으로 전환하는 친환경 사업을 추진 중입니다.
  • 4. 에너지 전환 및 탈탄소화
    한국전력은 2050년 신재생에너지 국가목표 850TWh 달성을 위해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5.8GW(전체 발전량 3.5%) 목표를 수립했습니다. 2050년 전기사용량은 2020년 대비 2.3배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수송 전기화는 2%에서 45%로, 건물 난방 전기화는 14%에서 32%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화석연료 비중을 지속적으로 감축하여 발전량 대비 온실가스 발생량을 줄이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해상풍력
    해상풍력은 재생에너지 확대의 핵심 기술로서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정적인 발전량을 제공합니다. 육상풍력에 비해 바람 자원이 풍부하고 토지 이용 갈등이 적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높은 초기 투자비용, 해양 생태계 영향, 복잡한 설치 및 유지보수 기술이 필요합니다. 기술 발전과 규모의 경제를 통해 비용 감소가 진행 중이며, 국제 협력과 정책 지원이 중요합니다. 장기적으로 해상풍력은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필수 에너지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2.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
    CCUS 기술은 기존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CO2를 직접 처리할 수 있어 탈탄소화의 중요한 수단입니다. 포집된 CO2를 화학제품, 건축재료, 연료 등으로 활용하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기술의 에너지 소비량, 장기 저장의 안정성, 높은 비용 등이 과제입니다. 현재는 초기 단계이며 상용화를 위해 기술 혁신과 정책적 지원이 필수적입니다. 다른 탈탄소 기술과 함께 통합적으로 추진되어야 효과적입니다.
  • 3. 그린수소
    그린수소는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전기분해로 생산되어 진정한 의미의 청정 에너지입니다. 운송, 산업, 발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에너지 저장 매체로도 역할할 수 있습니다. 현재 생산 비용이 높고 효율성 개선이 필요하며, 대규모 생산 인프라 구축이 미흡합니다. 기술 발전과 규모 확대를 통해 비용 경쟁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에너지 전환 시대에 그린수소는 필수적인 에너지 캐리어가 될 것입니다.
  • 4. 에너지 전환 및 탈탄소화
    에너지 전환과 탈탄소화는 기후변화 대응의 핵심이며 전 지구적 과제입니다. 화석연료 중심에서 재생에너지 중심으로의 전환은 필연적이며, 이는 기술 혁신, 정책 지원, 사회적 합의가 필요합니다. 단기적으로는 비용 증가와 에너지 안보 우려가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환경 개선과 경제적 이득이 더 큽니다. 모든 산업과 사회 부문의 통합적 노력이 필수이며, 공정한 전환으로 취약계층 보호도 중요합니다.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가속화된 실행이 요구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