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왕절개 전후 간호 및 산후 관리 가이드
본 내용은
"
제왕절개 전후 간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4
문서 내 토픽
-
1. 제왕절개 수술 전 준비제왕절개 수술 전 환자는 혈전 예방 스타킹을 착용하고, 혈액검사를 받으며 양 팔에 주사바늘을 맞습니다. 간호사가 자궁저부 높이와 복부둘레를 측정하고, 항생제 반응검사를 시행합니다. 수술 전날 저녁 7시부터 유동식만 섭취하고, 밤 12시부터는 모든 경구 섭취가 제한됩니다. 배꼽부터 둔덕 1/3 지점까지 제모하고 수술동의서를 작성합니다.
-
2. 제왕절개 수술 후 초기 간호수술 후 간호사가 혈압, 맥박, 체온을 측정하고 복대를 적용합니다. 수술 절개 부위 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려 자궁 수축과 지혈을 돕습니다. 항생제, 자궁수축제, 진통제, 수액이 투여되며, 심호흡과 기침을 자주 하여 폐합병증을 예방합니다. 소변줄은 일반적으로 다음날까지 유지되며, 침대 패드는 오로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 교체 시 무게를 측정합니다.
-
3. 산후 오로의 변화 및 관리오로는 분만 후 질에서 분비되는 혈액, 자궁내벽 탈락 점막과 세포로 이루어진 분비물입니다. 분만 후 처음 3~4일간 붉은색의 적색 오로가 나오고, 4~10일간 장액성 오로, 11~21일간 옅은 노란색의 백색 오로가 나옵니다. 분만 후 3~4주면 대부분 사라지나 10~15%에서는 약 6주까지 관찰됩니다. 한 시간 이내로 패드가 흠뻑 젖거나 선홍색 핏덩어리가 쏟아지면 즉시 간호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
4. 유방울혈 예방 및 유방마사지유방울혈은 분만 후 3~5일 사이에 발생하며 2시간~24시간 지속됩니다. 유방이 단단하고 열감이 있으며 겨드랑이까지 통증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유방마사지는 유두와 유륜을 제외한 주위를 원을 그리며 부드럽게 누르고, 네 손가락으로 유두 방향으로 깊게 쓰다듬어 유관을 훑습니다. 몸을 앞으로 숙여 양쪽 유방을 흔들고, 엄지와 집게손가락으로 유륜에서 유두 쪽으로 가볍게 훑어 젖을 짜냅니다.
-
1. 제왕절개 수술 전 준비제왕절개 수술 전 준비는 수술의 성공과 산모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신체적 준비로는 금식, 피부 소독, 검사 결과 확인 등이 필수적이며, 심리적 준비도 불안감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료진과의 충분한 상담을 통해 수술 과정과 예상되는 결과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가족의 지지와 응원은 산모의 정서적 안정에 큰 역할을 합니다. 수술 전 체크리스트를 통해 빠진 준비 사항이 없는지 확인하고, 의료진의 지시사항을 정확히 따르는 것이 수술 성공의 핵심입니다.
-
2. 제왕절개 수술 후 초기 간호제왕절개 수술 후 초기 간호는 합병증 예방과 빠른 회복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통증 관리, 상처 관리, 감염 예방이 주요 초점이 되어야 합니다. 적절한 진통제 사용으로 편안함을 유지하면서도 조기 활동을 장려하는 것이 혈전증 예방에 도움됩니다. 상처 부위의 청결 유지와 정기적인 관찰로 감염 징후를 조기에 발견할 수 있습니다. 배뇨와 배변 기능의 회복을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의료진의 개입이 필요합니다. 산모의 정서적 지지와 신생아 돌봄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합니다.
-
3. 산후 오로의 변화 및 관리산후 오로는 자연스러운 생리 현상이지만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오로의 양, 색깔, 냄새의 변화를 관찰하여 비정상 징후를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정상적인 오로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며 색깔이 변하는데, 과다 출혈이나 악취는 감염 신호일 수 있습니다. 개인위생 관리로 감염을 예방하고, 정기적인 패드 교환과 회음부 세정이 필수입니다. 자궁 수축을 촉진하기 위해 모유 수유와 가벼운 활동을 권장합니다. 비정상적인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료진에게 보고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4. 유방울혈 예방 및 유방마사지유방울혈은 모유 수유 중 흔한 문제이지만 예방과 적절한 관리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정기적이고 효과적인 모유 수유가 가장 좋은 예방법이며, 올바른 수유 자세와 아기의 올바른 젖물림이 중요합니다. 유방마사지는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모유 배출을 돕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온찜질과 냉찜질을 적절히 활용하여 불편함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유방 울혈이 심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유방 마사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편안한 브래지어 착용과 충분한 수분 섭취도 도움이 되며, 증상이 지속되면 의료진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
여성간호학 분만과 관련된 합병증 및 고위험 분만 시술 요약본 3페이지
1. 제대탈출- 아두만출 전 제대가 선진부 앞부분으로 밀려 내려옴- 원인: 제대가 긴 경우, 두정위 이외 선진부, 조기파수, 조산아, 양수과다증, 전치태반, 아두골반불균형, 자궁내 종양 등- 증상: 제대가 보이거나 촉지됨, 가변성 하강(EFM)- 간호중재: 산소 투여(8-10L), 슬흉위 또는 심스체위(제대압박 완화), 제대노출 시 생리식염수 거즈제대 밀어넣지X, 분만 또는 제왕절개수술 준비2. 조기파막(PROM)- 만삭조기파막: 분만 시작 되기 전에 파막되는 것-원인: 경관무력증, 선진부 진입지연, 양수과다증, 산부연령, 흡연, ...2021.08.30· 3페이지 -
간호진단,여성간호진단,제왕절개,제왕절개간호진단,급성통증,지식부족,비효과적모유수유,급성통증간호진단,지식부족간호진단 13페이지
이름여성간호학 실습 II Case study문헌고찰 (제왕절개 분반)1. 정의?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 비율 : 국내 35~40%, 미국25% 정도? 이전의 제왕절개 분만 산모에서 자연 분만을 많이 시도하면서 제왕절개 분만율이 감소하였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는 추세2. 준비사항1) 금식? 수술 전 6~8시간 정도 금식을 하는 것이 선호- 수술 중의 역류 등에 의한 흡인성 폐렴과 같은 합병증을 막기 위함- 매우 위급한 경우, 금식과 무관하게 수술을 시행하기도 함2) 혈액 검사? 일반혈액검사(...2014.11.08· 13페이지 -
모성간호학. 제왕절개 케이스.+ 산모교육팜플렛 8페이지
Ⅰ.문헌고찰▣ 정의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은 로마시대의 케사르(Cesar)가 산모의 배를 가른 후 꺼내졌다 하여 붙여진 용어라는 설도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다. 미국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은 25% 정도이며, 한때 이전의 제왕절개 분만 산모에서 자연 분만을 많이 시도하면서 제왕절개 분만율이 감소하였으나, 최근 다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2013.07.08· 8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