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소재의 쾌적성 평가: 흡수성, 투습성, 발수성
본 내용은
"
의류소재평가 레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12
문서 내 토픽
-
1. 섬유의 흡수성흡수성은 옷감이 물을 흡수하는 능력으로, 섬유가 흡수하는 수분의 양과 섬유 사이 공간에 맺히는 수분을 포함합니다. 면은 표준수분율 8%로 우수한 흡수성을 보이며, 린넨은 9%, 모는 16%의 표준수분율을 가집니다. 폴리에스테르는 0.4%로 매우 낮은 흡수성을 나타냅니다. 흡수성은 섬유의 종류뿐 아니라 함기량, 직물의 조직, 실의 꼬임과 밀도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달라집니다. 실험 결과 면과 흡한속건소재가 가장 우수한 흡수성을 보였으며, 합성섬유는 전반적으로 낮은 흡수성을 나타냈습니다.
-
2. 섬유의 투습성투습성은 옷감을 통과해서 수분이 오고 나가는 성질로, 통기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수분은 섬유에 흡수 및 확산되어 겉표면으로 이동한 뒤 외부로 증발합니다. 투습성은 통기성과 흡습성과도 연관이 있으며, 의복이 수분을 적절히 외부로 투과시켜 습도를 유지해야 쾌적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모(69.9%)가 가장 높은 투습율을 보였고, 면(60.3%), 레이온(59.4%), 폴리에스테르(47.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투습성이 좋으면 정전기가 잘 생기지 않습니다.
-
3. 섬유의 발수성발수성은 수분을 머금지 않고 튕겨내는 성질로, 비, 눈, 오염물질 같은 외부 스트레스로부터 방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발수성의 성능 차이는 직물의 표면 특성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모직의 발수성이 일반 직물보다 우수하며, 양모는 흡습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발수성도 좋아 내부로 물이 잘 스며들지 않습니다. 실험 결과 투습방수소재(100) > 모(90) > 폴리에스테르(80) > 면(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발수성은 섬유의 특성과 표면특성, 직물의 조직 및 후처리에 의해 달라집니다.
-
4.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쾌적성 비교천연섬유인 면, 마, 린넨은 흡습성과 투습성이 우수하지만 발수성은 낮습니다. 모는 흡습성과 발수성이 모두 우수하여 겨울철 의류에 적합합니다. 합성섬유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아크릴은 발수성은 준수하나 흡수성과 투습성이 낮아 속옷이나 내의에 부적절합니다. 다만 흡한속건소재와 같이 후가공을 거친 소재는 우수한 성능을 보입니다. 투습방수소재는 특수 코팅으로 물방울은 통과시키지 않으면서 수증기는 통과시켜 고기능성 등산복과 스포츠웨어에 사용됩니다.
-
1. 섬유의 흡수성섬유의 흡수성은 의류의 쾌적성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흡수성이 우수한 섬유는 피부에서 분비되는 땀과 수분을 빠르게 흡수하여 피부 표면의 습도를 낮춰줍니다. 이는 세균 번식을 억제하고 냄새 발생을 줄이며, 피부 자극을 최소화합니다. 특히 운동복이나 속옷 같은 직접 피부에 접촉하는 의류에서 흡수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면, 린넨, 울 같은 천연섬유들이 일반적으로 우수한 흡수성을 가지고 있어 여름철 의류로 선호되는 이유입니다.
-
2. 섬유의 투습성투습성은 섬유 내부에 흡수된 수분이 외부로 배출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흡수성만큼 중요합니다. 투습성이 좋은 섬유는 흡수한 수분을 빠르게 증발시켜 의류가 오래 젖어있지 않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체온 저하를 방지하고 쾌적한 착용감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특히 운동 중이나 습한 환경에서 투습성은 피부 건강과 직결되므로 중요합니다. 현대의 기능성 섬유들은 흡수성과 투습성을 동시에 갖추도록 개발되고 있습니다.
-
3. 섬유의 발수성발수성은 섬유가 물을 튕겨내는 성질로, 방수 기능이 필요한 의류에 필수적입니다. 발수성이 우수한 섬유는 빗이나 물에 노출되었을 때 수분이 침투하지 않아 내부를 건조하게 유지합니다. 그러나 발수성과 투습성은 상충될 수 있다는 점이 중요합니다. 완전한 방수 처리는 투습성을 해칠 수 있으므로, 실용적인 의류에서는 적절한 수준의 발수성을 유지하면서 투습성을 확보하는 균형이 필요합니다. 현대 기술로는 멤브레인 소재를 활용하여 이 두 특성을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
4.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쾌적성 비교천연섬유는 일반적으로 흡수성과 투습성이 우수하여 여름철 쾌적성이 뛰어나지만, 건조 시간이 길고 주름이 잘 생기는 단점이 있습니다. 반면 합성섬유는 빠른 건조성과 내구성이 우수하지만 흡수성이 낮아 습한 환경에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대 기술의 발전으로 합성섬유도 흡수성과 투습성을 개선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최적의 쾌적성을 위해서는 용도와 계절에 따라 천연섬유와 합성섬유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실용적입니다.
-
의류소재평가,쾌적성,소재,실험,레포트,전남대학교,의류학과,소재레포트,흡습성,흡수성,투습성,발수성 9페이지
< 7주차 실험 보고서 : 옷감의 쾌적성 >< 실험 목적 >이번 실험을 통해 다양한 섬유들의 흡수성, 투습성, 발수성을 측정하고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쾌적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한다.Ⅰ. 이론적 배경Ⅰ-1. 옷감의 쾌적성옷감이 의류소재로 사용되려면 여러 가지 성능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성능은 소비자가 의복을 선택할 때 고려하는 일반적인 기준과 옷감의 특성을 관련시켜 외관, 내구성, 관리성, 안락감 또는 쾌적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옷감의 쾌적성은 의복의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정도가 다르며,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서도...2021.03.29· 9페이지 -
옷감의 내구성: 인장강도와 신도, 인열강도 11페이지
의류소재평가 리포트옷감의 내구성: 인장강도와 신도, 인열강도서론실험 목적이론적 배경본론실험 도구실험 방법결론실험 결과고찰서론실험 목적섬유의 성능은 의복을 구성하기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할 사항으로 외관, 내구성, 쾌적 성, 관리 성, 안정성에 따라 섬유의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그 중에서도 이번 실험은 옷감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인장강도와 인열강도에 대한 실험을 하였다. 실험을 통해 측정된 값의 강도가 결정되면 그것을 시료의 특성과 연관시켜 의류 소재의 용도를 결정할 때 참고하도록 한다.이론적 배경의류소재가 갖추어야 할 옷감의 성능으로...2019.04.09· 11페이지 -
아웃도어 의류 및 용품 등 제품 관련 소재(素材) 조사 레포트 32페이지
아웃도어 관련 소재(素材) 조사?과목:?지도교수:?학과:?학번:?이름:?제출일:1? 목차(Contents)Ⅰ. 섬유소재1. 고어텍스(GORE-TEX12. 심파텍스(SympaTex)43. 이-벤트(E-Vent)64. 하이벤트(HyVent)65. 텍스엑스(TEX-X)86. 윈드스토퍼(WindStopper)97. 드라이엣지(DryEdge)118. 엣지테크(EdgeTech)119. 윈드엣지(WindEdge)1110. 야크테크(YAK TECH)1211. 콘트라텍스(Contra-TEX1212. 옴니드라이 & 옴니히트(OMNI-DRY & OMN...2016.07.07· 32페이지 -
투습방수 섬유에 대한 PPT 발표자료 입니다. 37페이지
투습방수 섬유▶ 투습 방습 섬유 - 외부에서 빗방울 이나 섬유 내부로 유입 되는 물을 차단하고, 몸에서 나오는 땀(수증기)입자는 밖으로 배출 시키는 기능을 갖는 섬유.0.0004u100 ~ 3,000u비의종류직경(㎛Φ)비의종류내수압(mmH2O)안개비100가랑비,이슬비50이슬비500일반적인 비100~300일반비2000굵은비500~1000소나기3000호우1000~3000폭풍우3000이상불소계 수지를 가공한 얇고 하얀 하나의 필름 1평방인치당 90억개 이상의 미세한 기공 구조로서 하나의 구멍크기가 최대 0.2마이크 론 정도(물방울의 약 ...2014.03.30· 37페이지 -
의류제품의 소비성능 25페이지
제 2 장 의류의 구매 2. 의류제품의 소비성능 2012. 9. 202. 의류제품의 소비성능 의류제품의 소비성능 ▶ 의류제품은 소비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환경조건에 적절히 대응하는 능력을 필요로 하는 데 이를 소비성능이라 함 ▶ 옷감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려면 여러 성능을 갖춰야 하는데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 음 내구성 : 인장강도 , 인열강도 , 파열강도 , 마찰강도 , 마모강도 외 관 : 드레이프성 , 방추성 , 색상 및 광택 쾌적성 : 보온성 , 통기성 , 흡습성 , 투습성 관리성 : 세탁성 , 내열성 , 내약품성 안전성 : 내...2013.11.01· 25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