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사 임상실습 보고서: 보존과 근관치료 및 보철 과정
본 내용은
"
치위생사 A+받은 임상실습 보고서(보존과 1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8
문서 내 토픽
-
1. 근관치료(Endodontic Treatment)근관치료는 3단계로 진행됩니다. 첫째날 발수(pulp extirpation)에서는 마취 후 치아를 삭제하고 근관입구를 확보한 후 파일로 근관길이를 측정하고 근관 내 신경을 제거합니다. 둘째날 근확(root canal enlargement)에서는 근관을 확대하고 소독합니다. 셋째날 근충(root canal filling)에서는 gutta percha cone과 sealer를 이용해 근관을 충전합니다. 각 단계에서 치위생사는 기구 준비, 관개, 석션 등을 보조합니다.
-
2. 코어 및 임시치아 제작(Core Build-up and Temporary Crown)근관치료 완료 후 코어 빌드업 과정에서 etchant와 bonding을 적용하고 resin으로 코어를 형성합니다. 그 후 프렙을 진행하여 최종 보철물 형태를 준비합니다. 임시치아 제작 과정에서는 light body와 heavy body 인상재로 본을 뜬 후 acrylic powder와 liquid를 혼합하여 임시치아를 제작하고 교합을 조정한 후 임시 시멘트로 접착합니다.
-
3. 치위생사의 임상 보조 역할치위생사는 환자 응접, 기구 및 재료 준비, 마취 시 환자 안내, 관개(irrigation) 시행, 석션(suction) 수행, 광조사 큐어링, 임시약제 준비 등 다양한 임상 보조 업무를 담당합니다. 환자와의 소통을 통해 불편함을 최소화하고 치료 과정을 설명하며 주의사항을 안내하는 역할도 중요합니다.
-
4. 근관치료 기구 및 재료근관치료에 사용되는 주요 기구는 파일, 엔도 엔진, 러버댐, 근관장 측정기(Root ZX), 종이포인트 등이 있습니다. 재료로는 마취제, 생리식염수, 차아염소산나트륨(NaOCl), gutta percha cone, MTA sealer 등이 사용됩니다. 각 단계별로 필요한 기구와 재료가 다르며 적절한 사용이 치료 성공에 중요합니다.
-
1. 근관치료(Endodontic Treatment)근관치료는 치아의 신경과 혈관이 포함된 치수를 제거하고 소독하는 중요한 치과 시술입니다. 이 치료는 심한 충치나 외상으로 인한 치아 손상을 보존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현대의 회전식 기구와 전자동 측정 장비의 발전으로 치료 성공률이 크게 향상되었습니다. 다만 치료 과정이 복잡하고 시간이 소요되며, 환자의 불안감을 고려한 세심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적절한 근관치료는 치아를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하므로, 발치보다는 보존적 치료를 우선하는 현대 치의학의 철학과 부합합니다.
-
2. 코어 및 임시치아 제작(Core Build-up and Temporary Crown)코어 및 임시치아 제작은 근관치료 후 치아의 구조적 안정성을 회복하고 최종 보철물 제작까지의 과도기를 관리하는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코어 빌드업은 손상된 치질을 복원하여 최종 크라운의 기초를 제공하며, 임시치아는 심미성과 기능성을 유지하면서 환자의 심리적 만족도를 높입니다. 적절한 재료 선택과 정확한 형태 형성이 최종 보철물의 성공을 좌우합니다. 이 과정에서의 정밀성은 장기적인 치료 예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
3. 치위생사의 임상 보조 역할치위생사는 근관치료 및 보철 치료에서 치과의사의 중요한 협력자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구 준비, 환자 관리, 시술 중 흡인 및 조명 관리 등의 직접적인 보조 역할뿐만 아니라 환자 교육과 심리 안정화에도 기여합니다. 숙련된 치위생사의 효율적인 보조는 시술 시간을 단축하고 치료의 질을 향상시킵니다. 또한 감염 관리와 멸균 절차 준수를 통해 환자 안전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책임을 가집니다. 치위생사의 전문성과 헌신은 전체 치료 결과의 성공을 크게 좌우합니다.
-
4. 근관치료 기구 및 재료근관치료의 성공은 적절한 기구와 재료의 선택과 사용에 크게 의존합니다. 회전식 니켈-티타늄 파일, 전자동 측정 장비, 초음파 기구 등의 현대 기술은 치료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켰습니다. 근관 충전 재료로 사용되는 거타퍼차와 실러의 품질은 장기적인 치료 예후를 결정합니다. 최신 기구와 재료의 도입은 초기 비용이 높지만, 치료 성공률 증가와 재치료 감소로 인한 장기적 경제성을 고려하면 충분히 정당화됩니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재료 혁신은 근관치료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