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 섬유 알칼리 감량가공 실험
본 내용은
"
파이버공학실험2_PET 감량가공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6
문서 내 토픽
-
1. PET 섬유의 특징PET 섬유는 에틸렌글리콜과 테레프탈산의 반응으로 제조되며, 분자쇄가 평면적 구조를 가져 결정성이 높고 강도가 크다. 신도는 낮으나 탄성회복성이 우수하여 2% 신장 시 97% 회복된다. 용융 온도는 260도로 높고, 산성용액에 저항성이 우수하지만 알칼리에는 약하다. 자외선에 의해 역학적 특성이 감소되며 비교적 좋은 염색성을 가진다.
-
2. 알칼리 감량가공 원리폴리에스터 섬유에 알칼리 처리 시 섬유 표면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나 에스터결합이 절단되고 저분자 물질이 용해되면서 감량된다. 수산화나트륨의 OH-이 폴리에스터 분자의 C=O기를 공격하여 가수분해가 개시된다. 표면에 요철이 생겨 섬유가 가늘어지고 직물이 느슨해져 드레이프성이 좋아지며 견과 같은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된다.
-
3. 감량가공 처리방법Batch식 처리는 2~3%의 저농도 NaOH 용액을 사용하여 표면부터 순차적으로 가수분해가 일어난다. 연속식 처리는 50% 이상의 고농도 용액을 사용하여 표면에서만 처리되며 짧은 시간 동안 진행된다. 고농도일수록 수화물 크기가 작아져 침투가 잘 되어 감량률이 크게 나타난다.
-
4. 중화반응 및 심미성 가공가수분해 생성물인 Sodium terephthalate는 PH>8 알칼리 용액에서 용해되므로 충분한 수세가 필요하다. 심미성 향상을 위해 캘린더 가공으로 표면 평활성과 광택을 부여하거나, 시레 가공으로 높은 광택의 젖은 듯한 외관을 제조할 수 있다.
-
1. PET 섬유의 특징PET 섬유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만들어진 합성섬유로서 현대 섬유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PET 섬유의 가장 큰 장점은 우수한 강도와 탄성력으로, 이는 의류뿐만 아니라 산업용 직물에도 널리 사용됩니다. 또한 빠른 건조성, 우수한 주름 회복력, 그리고 뛰어난 내구성은 PET 섬유를 매우 실용적인 소재로 만듭니다. 다만 흡습성이 낮아 통풍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다양한 가공 기술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PET 섬유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섬유 가공 및 제품 개발에 있어 필수적입니다.
-
2. 알칼리 감량가공 원리알칼리 감량가공은 PET 섬유의 표면을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섬유의 무게를 줄이는 기술입니다. 강한 알칼리 용액이 PET의 에스터 결합을 가수분해하면서 섬유 표면이 점진적으로 침식되는 원리입니다. 이 과정에서 섬유의 직경이 감소하고 표면이 거칠어져 촉감이 개선됩니다. 알칼리 감량가공의 장점은 섬유의 기본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부드러운 감촉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나 과도한 처리는 섬유의 강도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정확한 공정 제어가 매우 중요합니다. 이 기술은 고급 의류 소재 개발에 필수적인 가공 방법입니다.
-
3. 감량가공 처리방법감량가공 처리방법은 크게 건식과 습식 방법으로 나뉘며, 각각의 장단점이 있습니다. 습식 감량가공은 알칼리 용액에 직물을 침지하여 처리하는 방식으로 가장 일반적이고 효율적입니다. 이 방법은 균일한 감량을 달성할 수 있으나 폐수 처리가 필요합니다. 건식 감량가공은 고온 스팀이나 화학 가스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환경친화적이지만 균일성 확보가 어렵습니다. 처리 시간, 온도, 알칼리 농도 등의 변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원하는 감량 정도를 달성해야 합니다. 현대 섬유산업에서는 환경 규제를 고려하여 더욱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감량가공 방법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4. 중화반응 및 심미성 가공중화반응은 알칼리 감량가공 후 남아있는 알칼리를 제거하기 위한 필수 공정입니다. 적절한 산을 사용하여 pH를 중성으로 조정함으로써 섬유의 손상을 방지하고 최종 제품의 품질을 보장합니다. 중화반응이 불완전하면 섬유의 변색이나 강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제어가 중요합니다. 심미성 가공은 감량가공된 섬유에 색상, 광택, 질감 등을 부여하는 과정으로, 최종 제품의 시각적 매력을 결정합니다. 염색, 프린팅, 특수 마감 처리 등 다양한 기법이 적용되며, 이들은 중화반응 이후에 수행되어야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두 공정의 조화로운 실행이 고품질의 PET 섬유 제품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
PET 감량가공 결과보고서 3페이지
결과보고서1. 실험제목PET감량가공2. 실험날짜2019년 5월 16일 목요일3. 실험목적PET섬유의 알칼리 감량가공 원리와 효과를 알아보고 조건에 따른 차이점 비교4. 시약 및 기기- PET 직물- 5, 10% NaOH 수용액- 1% Acetic acid- 메스실린더, 전자저울, 오븐, 비커, IR 염색기5. 실험방법① PET 직물의 무게를 측정 (초기 무게 W0)② 조별로 20 w/v(%)의 Stock Solution을 이용하여 조건에 맞는 NaOH수용액 제조 (100mL)③ 조별로 정해진 시간에 맞게 IR 염색기를 돌림 (100...2019.08.12· 3페이지 -
유기소재실험1_고분자_반응,개질 5페이지
※예비보고서- 실험제목 : 고분자 반응/개질- 배경 및 이론1. 고분자 개질이란고분자를 화합물처럼 작용기를 넣거나 바꾸거나 하여 새로운 성질 또는 새로운 구조를 가지는 고분자를 만드는 조작이다.2. 고분자 개질 방법1) 알칼리(NaOH) 감량가공법PET 섬유에 알칼리로 처리하면 섬유표면이 가수분해 되어 표면이 용해되고 경직감이 없어지는 가공이다. 또 가수분해 되어 실이 가늘어지기 때문에 직물조직 자체가 느슨해지고, 드레이프성이 증가되며, 견과 같은 태를 가져와 외관과 촉감이 전혀 다르게 변한다. 감량가고의 기본적인 요인은 다음과 같...2023.08.23· 5페이지 -
PET 감량가공 예비보고서 4페이지
예비보고서1. 실험제목PET 감량가공2. 실험날짜2019년 5월 16일 목요일3. 이론 및 배경(1) PET섬유의 알칼리 가수분해폴리에스터 섬유는 다른 합섬섬유에 비하여 섬유로서의 우수한 물성들을 많이 가지고 있으나 천연섬유에 비하여 강직성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에 딱딱한 촉감을 지녀서 하나의 결점이 되고 있다. 이러한 강직성은 결정화도가 높은 표면의 피층에 기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NaOH 수용액에 의하여 표면층부터 가수분해되어 테레프탈산 소다와 에틸렌글리콜로 분해됨으로서 폴리에스터 섬유의 다른 물...2019.08.12· 4페이지 -
파이버공학실험 PET 감량가공 예비보고서 2페이지
예비보고서1. 실험 제목: PET감량가공2. 실험 날짜: 2019. 05. 233. 이론 및 배경:PET섬유의 알칼리 가수분해먼저 감량가공이란 섬유의 태와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실시하는 가공법이다. 제품의 태(촉감)를 좌우하는 인자로는Flexibility, Compressibility, Extensibility, Resilience, Density, Surface friction 등이 있으며, 이 중 후처리 가공으로 변화를 줄 수 있는 인자가 유연성과, 표면마찰성이다.위의 인자를 변화시키는 가공법은 유연제를 섬유에 결합 또는 고착 ...2019.07.10· 2페이지 -
파이버공학 실험 PET감량가공 결과레포트 3페이지
결과보고서실험 제목: PET 감량가공실험 날짜: 2019년 5월 25일실험목적: PET섬유의 알칼리 감량가공 원리와 효과를 알아보고 조건에 따른 차이점 비교시약 및 기기: PET섬유 시료, NaOH 수용액, Acetic acid, 전자저울, 메스실린더 등실험방법:PET직물 무게측정조건에 따른 NaOH수용액 100ml 제조조건에 따른 IR염색기 사용1w/v (%) acetic acid 5분간 중화물로 수세오븐에 120°C 12시간 건조처리 후 직물 무게측정감량률 계산실험결과조처리조건1조2조3조4조5조6조NaOH 농도(w/v)55510...2019.07.10· 3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