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전학습 보고서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수술실 사전학습 보고서(OR)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1
문서 내 토픽
-
1. 수술실 환경 및 물리적 설비수술실은 비제한, 준제한, 제한, 이행 구역으로 나뉜다. 비제한 구역은 수술복, 마스크, 실내화, 모자를 착용하고 출입하며 스크럽 지역 등이 있다. 준제한 구역은 회복실, 장비창고, 간호사 휴게실 등이 있다. 제한 구역은 수술실 내부이다. 수술실의 물리적 설비는 세균 성장 억제와 정전기 방지를 위해 20-24℃의 온도와 최소 50% 습도를 유지한다. 공기 여과, 환기, 냉난방시설을 완벽하게 하여 세균 감염을 감소시킨다. 수술실은 통행이 적고 중환자실과 가까우며 2-3층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
2. 수술실 안전관리타임아웃은 수술 부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의사소통 안전계획으로, 수술팀원이 정확한 대상자, 수술, 부위, 체위, 예방약물 정보를 언어로 상호 확인한다. 스펀지 계수는 거즈가 환자 체내에 남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3번 시행된다. 욕창 예방을 위해 부적절한 체위를 피하고 억제대가 너무 단단하지 않은지 확인한다. 화상 예방을 위해 패드 부착부 화상의 원인을 파악하고 뼈 돌출부, 흉터, 금속 보철물 부위에 접착식 패드를 부착하지 않는다.
-
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소독간호사는 손을 소독하고 수술가운을 입은 후 기구를 준비하고 거즈, 패드, 기구를 센다. 수술 중 거즈, 봉합사, 물품을 제공하고 수술 진행에 따른 요구를 예견한다. 순환간호사는 수술 전 방을 정리하고 장비를 점검하며 환자 입실 시 신원을 확인한다. 수술침대에 젤 패드를 적용하고 억제대를 설명한 후 적용한다. 수술 중 필요한 물품을 공급하고 수술 후 환자를 안전하게 이송한다.
-
4. 수술을 위한 피부 준비 및 소독피부 준비의 목적은 미생물, 오물, 기름기를 제거하여 감염 위험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기계적 세척, 털 제거, 피부 기름기 제거를 포함한다. 피부소독제로는 클로르헥시딘, 요오드, 알코올, 헥사클로로펜, 트리클로산 등이 사용된다. 피부소독 절차는 담요를 접어 피부를 노출시킨 후 절개부위부터 시작하여 원을 그리며 닦고 최소 5분 이상 문지른다.
-
5. 수술체위의 종류앙와위는 등을 대고 눕는 기본 체위로 복부, 흉곽, 골반, 하지수술에 사용된다. 트렌델렌버그 체위는 머리를 낮추어 혈액이 심장으로 환류되도록 하며 하복부, 골반수술에 사용된다. 역트렌델렌버그 체위는 머리를 올리고 다리를 내려 갑상선 수술 시 혈액공급을 줄인다. 쇄석위는 다리를 금속지지대 위에 직각으로 올려 방광경, 질, 회음부 수술에 사용된다. 복와위는 배를 침대에 대고 엎드려 등, 엉덩이 수술 시 취한다.
-
6. 전신마취의 단계 및 방법전신마취는 4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 마취유도기는 의식소실까지로 어지럽고 졸음이 온다. 2단계 흥분기는 불규칙한 호흡과 근긴장도 긴장이 나타난다. 3단계 외과적 수술기는 전신근육 이완으로 조용하고 규칙적 호흡이 된다. 4단계 위험기는 호흡근 마비와 동공 확장이 나타난다. 흡입마취는 기관내 삽관을 통해 폐로 마취제를 주입하며 대수술에 사용된다. 정맥마취는 정맥내로 마취제를 주입하여 신속하게 유도한다.
-
7. 척수마취 및 국소마취척수마취는 뇌척수에 국소 마취제를 요추 L3-L4 사이 지주막하강에 주입하여 척수 신경절을 차단한다. 하복부, 서혜부, 하지, 회음부 수술에 적용되며 합병증으로 저혈압, 오심, 구토, 두통, 호흡마비가 있다. 국소마취의 종류는 표면마취, 척수마취, 경막외마취, 침윤마취, 상박신경총차단이 있다. 침윤마취는 리도카인 같은 국소마취제를 피내 또는 피하로 주입하여 말초감각신경을 차단한다.
-
8. 회복실 간호회복실의 기능은 수술 및 마취로부터 환자가 충분히 회복되어 병실로 옮겨갈 때까지 감시하고 중추신경계, 심혈관계, 호흡계, 신장계 기능을 유지하는 것이다. 입실 시 초기 사정으로 기도, 호흡, 순환, 신경계를 평가한다. 산소포화도<93%, 호흡수<10회/분, 맥박수>120회/분, 저혈압 등은 의사에게 보고해야 한다. 오심, 구토 완화를 위해 심호흡을 격려하고 체위 변경 시 천천히 실시한다.
-
1. 수술실 환경 및 물리적 설비수술실의 환경과 물리적 설비는 수술의 성공과 환자 안전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적절한 온도, 습도, 조명 관리는 감염 예방과 의료진의 집중력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특히 층류 공조 시스템과 고효율 필터는 공기 중 미생물을 제거하여 수술 부위 감염을 크게 줄입니다. 또한 현대적인 수술 장비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술 중 환자의 생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응급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합니다. 수술실 설비의 정기적인 유지보수와 업그레이드는 의료의 질을 높이고 환자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데 직결됩니다.
-
2. 수술실 안전관리수술실 안전관리는 환자와 의료진 모두를 보호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체계적인 감염 관리, 정확한 환자 확인 절차, 그리고 의료진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은 의료 오류를 예방합니다. 수술 전 체크리스트 사용, 타임아웃 시간 운영, 그리고 사건 보고 문화 조성은 안전한 수술 환경을 만드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정기적인 안전 교육과 훈련을 통해 의료진의 역량을 강화하고 위기 상황 대응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안전 문화가 정착된 수술실은 합병증 감소와 환자 예후 개선으로 이어집니다.
-
3. 수술실 간호사의 역할수술실 간호사는 수술팀의 중추로서 환자 안전과 수술 성공을 위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순환간호사로서 환자 준비, 기록 관리, 의료진 지원을 담당하고, 기구간호사로서 수술 기구 관리와 멸균 유지를 책임집니다. 이들의 전문적 지식과 세심한 주의는 감염 예방, 환자 안전 보장, 그리고 수술 효율성 증대에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또한 환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불안감을 완화하고 심리적 지지를 제공합니다. 수술실 간호사의 역량 강화는 의료의 질 향상과 환자 만족도 증진에 매우 중요합니다.
-
4. 수술을 위한 피부 준비 및 소독수술 부위의 피부 준비와 소독은 수술 부위 감염 예방의 첫 번째 방어선입니다. 적절한 피부 세정과 항균제를 이용한 소독은 미생물 수를 크게 감소시켜 감염 위험을 낮춥니다. 소독 범위는 수술 부위뿐만 아니라 주변 영역까지 포함하여 광범위하게 시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소독 후 충분한 건조 시간 확보와 멸균 드레이프 적용은 소독 효과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최신 항균제와 소독 기법의 적용은 감염률 감소와 환자 예후 개선에 직결되므로, 지속적인 교육과 표준화된 절차 준수가 중요합니다.
-
5. 수술체위의 종류적절한 수술체위는 수술 접근성 확보와 환자 안전을 동시에 달성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각 수술 종류에 따라 앙와위, 복와위, 측와위, 좌석위 등 다양한 체위가 사용되며, 각 체위는 고유의 장점과 위험성을 가집니다. 부적절한 체위 유지는 신경 손상, 혈액 순환 장애, 근골격계 손상 등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체위 변경 시 환자의 신체 정렬을 유지하고, 압박 부위에 쿠션을 적절히 배치하며, 정기적으로 체위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체위 관리의 전문성은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환자 회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
6. 전신마취의 단계 및 방법전신마취는 복잡한 수술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필수적인 방법으로, 유도, 유지, 회복의 세 단계로 진행됩니다. 각 단계에서 마취제의 적절한 용량 조절과 환자의 생리 반응 모니터링은 마취의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현대의 마취 기법은 약물 조합을 통해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마취 중 기도 관리, 호흡 보조, 혈역학적 안정성 유지는 마취과 의사와 간호사의 협력으로 이루어집니다. 전신마취의 안전한 시행은 환자의 생명 보호와 수술 성공을 위한 기본 전제이므로, 지속적인 교육과 최신 기법 습득이 중요합니다.
-
7. 척수마취 및 국소마취척수마취와 국소마취는 전신마취의 대안으로서 특정 수술에 효과적이고 안전한 마취 방법입니다. 척수마취는 빠른 발현과 우수한 진통 효과를 제공하지만, 저혈압과 두통 같은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국소마취는 환자의 의식을 유지하면서 수술 부위만 마취하여 전신 부작용을 최소화합니다. 두 방법 모두 정확한 약물 용량 계산, 적절한 주입 기법, 그리고 합병증 대응 능력이 필수적입니다. 환자의 전신 상태, 수술 종류, 예상 수술 시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마취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환자 안전과 수술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킵니다.
-
8. 회복실 간호회복실 간호는 수술 직후 환자의 생명 유지와 안정화를 위한 중요한 단계입니다. 마취에서 깨어나는 과정에서 기도 개방 유지, 호흡 보조, 혈역학적 안정성 모니터링은 필수적입니다. 회복실 간호사는 환자의 의식 수준, 통증, 오심 등을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적절한 중재를 제공합니다. 또한 수술 부위 드레싱 확인, 배액관 관리, 수액 및 약물 투여 등 다양한 간호 활동을 수행합니다. 환자의 안정화 후 병실로의 이동 결정은 회복실 간호사의 전문적 판단에 기초합니다. 질 높은 회복실 간호는 수술 후 합병증 예방과 환자의 빠른 회복을 촉진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보고서 74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사전학습 보고서)■ 영양장애 대상자 간호(1) 위장관계 구조와 기능위장관계는 구강, 식도, 위, 소장, 대장, 직장, 항문으로 구성된 위장관을 포함한다. 위장관과 연결된 침샘, 간, 담낭, 췌장에서는 위장관으로 소화액을 분비한다. 성인의 위장관의 길이는 구강에서 항문까지 약 7~8cm이다. 위장관계의 주요기능은 췌장과 간 같은 부속기관과 함께 음식물을 소화하고 노폐물을 배설하는 것이다. 위장계는 소화, 흡수, 대사과정을 거쳐 에너지를 얻으며, 구조적 문제, 운동장애, 감염, 암 등으로 손상받는다.1. 구강 - Oral...2022.08.12· 74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ER 응급실 사전학습 보고서 27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 ER사전학습 보고서1) Emergency Cart2) 응급환자 분류체계3) 출혈 및 쇼크환자 사정 및 간호4) 외상환자 사정 및 간호5) 호흡곤란 환자 사정 및 간호6) 급성흉통호소 환자 사정 및 간호7) 뇌졸중 환자 사정 및 간호8) CPR 간호9) 감염관리 간호 - 격리 대상자 간호1) Emergency Cart- 약물약물적응증 / 작용부작용주의사항Norpin Inj.? 각종 질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쇽의 보조치료(심근경색·패혈증에 의한 쇽, 아나필락시성쇽, 순환 혈액량 저하에 따르는 급성 저혈압 또는 쇽,...2023.07.19· 27페이지 -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보고서 사전학습과제 응급실 ER 6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사전학습보고서: ER학교교과목명실습지실습기간학번 및 이름1. K-TAS(Korean Triage and Acuity Scale) 분류정의- 캐나다 응급환자 분류 도구(CTAS, Canadian Triage and Acuity Scale)를 기반으로 개발- 환자를 평가할 때 증상을 중심으로(symptom-oriented) 분류하는 도구- 응급실에 내원하는 환자의 중증도를 판단하여 제한된 공간과 자원 안에서 효과적으로 진료 순서를 정하기 위함과정① 첫인상 위험도 평가(Critical first look)② 감염성 질환에...2023.03.17· 6페이지 -
성인간호학 실습 사전학습 보고서, 성인간호학 중환자실 사전학습 보고서 35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Ⅲ사전학습 보고서실습 기관 :실습 부서 :실습 기간 :학 번 :이 름 :제 출 일 :담당 교수 :ooo대학교1. 호흡기계 구조와 기능1. 호흡기계의 역할1) 조직에 산소 공급2) 이산화탄소 제거 및 산-염기 균형3) 발성4) 후각5) 체액균형6) 체온조절2. 호흡기계 구조 및 기능1) 상부기도 (Upper Respiratory Tract)비강(nasalcavity)① 구조-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뉨- 비중격과 비강 하부 벽은 혈액이 풍부한 점막으로 덮여 있음- 비강의 내측 벽에는 3개의 비갑개가 있음② 기능- 비강 ...2023.06.17· 35페이지 -
수술실 실습 사전학습보고서 20페이지
성인간호학실습Ⅳ수술실 사전학습보고서학 번이 름실습 기간담당 교수님1) 수술실 환경- 물리적 설비(온도, 습도 등)일반 병실의 공기와 수술실의 공기가 교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술실은 환자와 병원 직원의 통행량이 비교적 적은 곳에, 그리고 비상시 환자 이동 등을 고려하여 고층을 피하고 2층이나 3층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수술실 안은 충분히 환기가 이루어져야 하고, 공기교환 시 적정 비율의 외부 공기(fresh air)를 포함하는 등 수술실 내 공기 양압 유지는 필수적이다. 수술실 온도는 20~24℃, 습도는 20~60%를 유지하며 ...2025.06.05· 20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