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식구조와 건식구조의 특징 및 건축물 사례 분석
본 내용은
"
[A+레포트] 습식구조/건식구조 사례 건축물 분석하고 특징과 장단점 기술하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10.01
문서 내 토픽
-
1. 습식구조습식구조는 벽돌쌓기, 현장 콘크리트 타설, 미장 바름 등 현장에서 물을 사용하는 공정을 가진 구조입니다. 주재료는 시멘트이며 양생기간이 필요하여 공사 기간이 깁니다. 조적식 구조, 철근콘크리트구조, 철골철근콘크리트구조가 해당합니다. 접합부의 일체화가 가능하고 오랫동안 축적된 기술력이 있으나, 인력의존도가 높고 기후적 제약을 받는 단점이 있습니다.
-
2. 건식구조건식구조는 뼈대를 가구식 구조로 하고 규격화된 기성재를 짜 맞추어 구성하는 구조로 물을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목구조, 철골구조, PC구조가 해당합니다. 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므로 기후영향을 받지 않고 공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공사비 절감과 작업 간소화의 장점이 있으나 접합부 일체화가 어렵고 수정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습니다.
-
3. 건축구조의 요소건축구조의 주요 요소는 기초, 기둥, 벽체, 바닥, 지붕, 천장, 계단, 수장, 창호, 마무리로 구성됩니다. 기초는 하중을 지반에 전달하고, 기둥은 수직재로 하중을 전달하며, 벽체는 공간을 차단합니다. 바닥은 적재하중을 받아 기둥으로 전달하고, 지붕은 건물 최상부를 덮어 외부로부터 차단합니다.
-
4. 목구조 건축물목구조는 목재를 주요 재료로 사용한 구조로 자태가 아름답고 내구성이 강합니다. 친환경적이며 단열성능이 우수하고 공사 기간이 짧습니다. 지진에 강하여 일본 주택에 주로 채용됩니다. 한옥과 국립산림과학원 한그린 목조관이 대표 사례입니다. 다만 목재의 수축팽창, 해충 피해, 부패, 화재 취약성이 단점입니다.
-
1. 습식구조습식구조는 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주요 재료로 사용하는 전통적인 건축 방식으로, 한국 건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방식은 우수한 내구성과 내화성을 제공하며, 습기 저항성이 뛰어나 장기적인 구조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다만 시공 기간이 길고 습도 관리가 필수적이며, 균열 발생 가능성이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현대에는 건설 기술 발전으로 이러한 문제들이 많이 개선되었으며, 대규모 건축물과 고층 건물에 매우 적합한 구조 방식입니다.
-
2. 건식구조건식구조는 건식 자재를 조립하는 방식으로, 시공 속도가 빠르고 습도 관리가 불필요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환경 친화적이며 폐기물이 적고, 시공 오차를 줄일 수 있어 품질 관리가 용이합니다. 그러나 습식구조에 비해 내구성이 낮을 수 있고, 음향 차단 성능 개선이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최근 건식구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중소 규모 건축물과 리모델링 프로젝트에서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
3. 건축구조의 요소건축구조의 요소는 기초, 기둥, 보, 벽, 슬래브 등으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건물의 안전성과 안정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들 요소는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구조적 완전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현대 건축에서는 구조 요소들의 최적화를 통해 재료 사용을 줄이면서도 더 강한 구조를 만들고 있습니다. 각 요소의 정확한 설계와 시공은 건물의 수명과 거주자의 안전을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
4. 목구조 건축물목구조는 친환경적이고 따뜻한 감성을 제공하는 전통적인 건축 방식으로, 최근 현대 건축에서 재평가받고 있습니다. 목재는 재생 가능한 자원이며 탄소 중립성이 우수하고, 시공이 상대적으로 간단합니다. 다만 화재 저항성, 습기 관리, 해충 방제 등에 대한 특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현대 목구조 기술의 발전으로 대규모 건축물도 가능해졌으며, 지속 가능한 건축의 관점에서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구조 방식입니다.
-
하이테크 건축과 예술의 관계, 전망, 미래 10페이지
대주제| 현대 건축소주제| 하이테크 건축의 특징과 그 경향, 발전 방향 제시1. [서론] 하이테크 건축2. [본론] 하이테크 건축의 사례 분석3. [결론] 하이테크 건축을 통해 보는 건축의 흐름현대산업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 High-tech 개념이 도입되었습니다. 70년대 중반부터 건축 분야에서도 High-tech를 이용한 건축이 등장하기 시작하였는데, 현대 사회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기술’이고, 그 기술을 이용한 건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가치 있는 학습이라 생각되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습니다....2015.11.10· 10페이지 -
스틸하우스(Steel House) 28페이지
STEEL HOUSE 아무개 아무개 아무개 아무개 아무개 아무개 교수님 REPORT정의 개념 나라별 스틸하우스 발생배경 특징 비교분석 2X4Frame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그 외 구조 구조 및 시공 구조 하중전달 접합부 시공 시공방법 시공순서 시공사례 사례 해외사례 ( 나라별 특징 ) 국내사례 목 차스틸 하우스란 “Steel framed House” 를 지칭하는 것으로 기존의 조적조나 목조를 대체하는 새로운 구조 형태의 주택을 말한다 . 기존 주택은 골조로 목조나 벽돌 ( 조적조 ) 를 사용하지만 , 스틸하우스는 골조를 경량철...2010.12.09· 28페이지 -
섬유폐수처리 29페이지
섬유폐수처리과 목 명:교 수 명:소 속:학 번:이 름:제 출 일:목차-서론-? 섬유의 기본? 섬유 산업의 국내?외 현황-본론-? 섬유 가공 공정? 염색폐수의 특성? 염색폐수 국내?외 처리방법-결론-? 앞으로의 방향 및 결론-서론-? 섬유의 기본?섬유의 종류◎ 천연섬유 :천연으로 존재하여 비교적 단순한 공정에서 방직이 가능한 섬유◎ 인조섬유 :인공적으로 만들어 낸 섬유의 총칭?섬유의 사용◎ 의류,수예용품◎ 인테리어◎ 건축자재◎ 산업자재◎ 우주항공◎ 생체장기등*섬유는 일반적으로 의류를 만드는 재료라고 여겨져 왔다.석유의 발견과 그에 따...2011.11.23· 29페이지 -
환경친화형 이중 바닥 온돌 시스템(EO2 SYSTEM) 19페이지
환경친화형 이중 바닥 온돌 시스템 ( EO2 SYSTEM) HATOS(Heating Air- Conditiong Total Ondol System) 최원빈 박송이 박진선환경친화형 이중 바닥 온돌 시스템 (EO2 SYSTEM) 2004 년 건기연은 아파트 층간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에너지 효율을 크게 높일 수 있는 ‘ 환경친화형 이중바닥 온돌 시스템 ’ 을 개발했다 . 이번에 개발한 ‘ 환경친화형 이중바닥 온돌시스템’은 우리나라 전통고유기술인 온돌의 이중바닥구조에서 개념을 착안한 것으로써 온돌층 하부에 방진재와 공기층을 형성하여 아...2008.04.08· 19페이지 -
[논문] 건설공기 단축을 위한 지하골조 관련 주요공법 비교 및 개선 연구 (HWP) 39페이지
건설공기 단축을 위한 지하골조 관련 주요공법 비교 및 개선 연구A Comparative Study on the Major Methods about Earth work and Subterranean Frame Structure for reduction in construction time.건축공학과목 차0. 서론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1.2 연구의 범위2. 이론적 고찰2.1 지하골조 공법 관련 연구동향3. 일반적인 공기단축 전략의 분류3.1 인력과 장비의 추가투입3.2 설계변경3.3 고효율 장비 또는 신공법, 신자재의 사용3.4 ...2009.09.14· 39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