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력 및 유동가시화 실험 보고서
본 내용은
"
[A+]항력 및 유동가시화 실험리포트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3.09.25
문서 내 토픽
-
1. 항력 측정항력은 유체가 고체와 맞닿았을 때 발생하는 반력으로, 객체와 유체 사이에서 작용하는 수직방향의 힘입니다. 항력은 객체의 형상, 크기, 속도, 유체의 밀도와 점성에 영향을 받으며, 압력 분포의 차이가 항력을 발생시킵니다. 실험에서는 회류수조에 다양한 형태의 기둥(사각기둥, 원기둥, 익형)을 설치하고 RPM을 변화시켜 항력을 측정했습니다. 측정 결과 사각기둥이 가장 큰 항력을 보였고, 익형이 가장 작은 항력을 나타냈습니다.
-
2. 항력계수항력계수는 물체가 유체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항력을 설명하는 무차원 상수로, 공식은 CD = 2FD/(ρAV²)입니다. 항력계수는 물체의 형상과 유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실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 유선형에 가까운 물체일수록 항력계수가 낮아지며, 각진 부분이 적을수록 항력계수가 감소함을 확인했습니다. 레이놀즈 수에 따라 항력계수가 변하는데, 원형의 경우 전환 시 항력계수가 크게 감소합니다.
-
3. 유동가시화 기법유동가시화는 유체의 이동을 눈으로 볼 수 있게 가시화하는 기법으로, 정성적 유동가시화와 정량적 유동가시화로 나뉩니다. 정성적 기법은 smoke-tube, smoke wire, schlieren 방법이 있고, 정량적 기법은 PIV와 PTV가 있습니다. 본 실험에서는 PIV(Particle Image Velocimetry) 기법을 사용하여 입자의 움직임을 측정하고 속도 벡터를 구했습니다. PIV는 오일러 접근법을 통해 여러 입자에서 벡터를 얻어내는 방식입니다.
-
4. PIV 기법의 한계점 및 활용PIV 기법의 한계점으로는 2차원 평면 성분의 데이터만 촬영하기 때문에 z축 방향 성분을 측정할 수 없다는 점이 있습니다. 또한 실제 유속장 전체를 보는 것이 아닌 평균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지며, 비용이 많이 들고 강한 레이저로 인한 안구 손상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Stereoscopic PIV 기법으로 개선 가능하며, 의료계에서 심장마비 예측 등에 활용됩니다.
-
1. 항력 측정항력 측정은 유체역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실험 기법입니다. 정확한 항력 측정을 위해서는 고정밀 센서와 안정적인 실험 환경이 필수적입니다. 풍동이나 수조에서의 직접 측정 방식은 신뢰성이 높지만, 측정 장비의 비용과 유지보수가 상당합니다. 최근에는 수치해석 기법과 결합하여 항력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다양한 형상과 유동 조건에서의 항력 데이터 축적은 산업 응용에 매우 유용하며, 특히 자동차와 항공기 설계에서 연비 개선의 핵심 요소입니다.
-
2. 항력계수항력계수는 서로 다른 형상과 유동 조건의 항력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는 무차원 수입니다. 이를 통해 실험실 규모의 모형 실험 결과를 실제 크기의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입니다. 항력계수는 레이놀즈 수, 형상, 표면 거칠기 등 여러 요인에 영향을 받으므로, 정확한 값 결정을 위해서는 신중한 실험 설계가 필요합니다. 표준화된 항력계수 데이터베이스는 엔지니어들이 초기 설계 단계에서 빠르게 성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유동가시화 기법유동가시화 기법은 복잡한 유동 현상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해주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연기, 입자, 염료 등 다양한 추적자를 사용하여 유동의 흐름 패턴, 와류, 박리 영역 등을 시각적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고속 카메라 기술의 발전으로 시간에 따른 유동 변화를 상세히 기록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다만 추적자가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해야 하고, 조명과 카메라 설정이 결과의 질을 크게 좌우합니다. 수치해석과 함께 사용하면 시뮬레이션 결과의 검증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
4. PIV 기법의 한계점 및 활용입자영상속도측정(PIV) 기법은 비접촉식으로 2차원 또는 3차원 속도장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우수한 방법입니다. 그러나 높은 장비 비용, 복잡한 실험 설정, 그리고 입자 추적 오류 가능성 등의 한계가 있습니다. 또한 고온, 고압, 불투명 유체 환경에서는 적용이 어렵습니다. 측정 영역이 제한적이고 시간 해상도가 카메라 성능에 의존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류 구조 분석, 경계층 연구, 복잡한 유동 현상 이해에 필수적인 기법이며, 지속적인 기술 개선으로 활용 범위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
유동가시화 실험 보고서 5페이지
유동가시화 실험 보고서1. 실험 일시2. 실험 장소3. 실험 목적이 실험은 실험 장치를 이용해 유체의 흐름을 관측해 유동의 형태와 그에 따른 유선, 정체점, 박리점, 후류 영역을 관찰하는 실험이다. 실험을 통해 유체의 유동 속 장애물 형상에 따라 변화하는 유선을 가시화해 관찰하고 장애물의 형상과 유체 유동 형태의 관계에 대해서 이해한다.3. 실험 이론1) 유선(Streamline) : 유체가 흘러갈 때 각각의 점에서 주어진 순간의 모든 곳에서 속도 벡터의 접하는 선.그림 1 : 유선2) 유적선(Pathline) : 주어진 유체질점이...2022.02.14· 5페이지 -
기계공학실험B 유동가시화 결과보고서 (2024) 6페이지
기계공학실험B 인하대학교 기계공학과제출자: XXXRevision. 12024년도 1학기기계공학실험 BReport(XX 조)B-1B-2B-3B-4하이브리드 엔진 성능 실험냉동 사이클 실험전도/대류 실험발열량 측정 실험B-5B-6B-7B-8온도/압력 측정 실험열교환기 성능 실험풍동/팬 성능 실험유동 가시화 실험이 름 : XXX학 번 : XXX담당교수 : XXX 교수님담당조교 : XXX제출일자 :기계공학실험B 2024년 X월 X일○ 유동가시화 보고서 내용① 실험으로 확인한 유동의 형상 사진→유동가시화 실험 사진 첨부 및 각 사진에 대한 ...2025.01.05· 6페이지 -
[유체역학실험]유동가시화 실험(우수평가자료) 11페이지
유체공학실험 보고서실험 결과 요약유동의 실제 흐름을 육안으로 관찰하는 실험이었다. 경계층 박리, 와류, 후류, 정체점, 역압력구배 등을 직접 볼 수 있어서 무척 흥미로웠다.유동의 가시화를 위해서는 walltracing방법, tuft방법, tracer방법 등이 사용되는데 이번 실험에선tracer방법인 수소기포 가시화장치를 사용하여 platinum 와이어에 의해 생성된 작은 수소기포를 통해 원통형, 유선형, 계단형 단면을 통과하는 유동의 모습을 관찰하였다.유체가 자유흐름 중에 압력의 증가와 함께 전방 정체 점에서 정지하게 되고 이 점으...2012.10.03· 11페이지 -
[유체역학실험]유동가시화 실험(우수평가자료) 14페이지
유체공학실험 보고서실험 결과 요약이번 실험은 유동가시화 방법 중 tracer 방법(수소기포 가시화 실험 장치)을 사용하여 platinum 와이어에 의해 생성된 작은 수소기포를 통해 여러 형상에 대한 유동의 모습을 관찰하고 해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는 실험이었다.이전 까지 많은 조들이 이 실험을 하여 수소기포가 최대한 잘 보이는 환경을 알고 있었고 사진에 최대한 선명하게 나오도록 하는 촬영 방법을 듣고 실험을 행하여서 상당히 쉽게 실험을 할 수 있었다.첫 번째로 원형실린더 형태의 도형에서 유동가시화를 통하여 볼 수 있었는데, 유동이 실...2012.10.03· 14페이지 -
유동가시화 [유체역학] 8페이지
유체역학실험 보고서?실험 주제 : 유동 가시화 실험?실험 일시 :?실험 장소 :?실험 조원 :실험 결과 요약이번 실험은 유동 가시화 실험으로 유체의 흐름을 실험을 통해 직접 확인하고 그에 따른 유선 또는 박리점, 와류등 유체의 흐름을 관찰하는 실험입니다. 먼저 층류와 난류상태인 유량에 차이를 두어 유선의 변화를 측정하고 장애물 형상에서 유체가 만나면 어떻게 유선이 변화 되는지 직접 눈으로 관찰합니다. 각각에 실험에서 박리점에 위치를 파악하고 유량과 형상에서의 박리점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형상에 따른 유동박리가 각각의...2018.04.13· 8페이지
